한국인 사망원인 1위 암 질환, ‘K-의료 빅데이터’로 극복한다

300만명 빅데이터 모아 항암 신약개발 가능한 ‘K-Cancer’ 구축 추진
2025년까지 K-심뇌혈관, K-호흡기 빅데이터도 완성…3대 사망질환 정복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정부는 어제(25일) 전국 주요 암 병원 데이터를 포괄하는 'K-Cancer 통합 빅데이터'를 2024년까지 완성해 암정복을 앞당긴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한 2025년까지 K-심뇌혈관, K-호흡기 빅데이터까지 'K-의료 빅데이터 트리오'를 완성해 데이터 기반으로 한국인 3대 사망질환 정복을 현실화할 방침이다.

이날 한국수출입은행에서 개최한 '제5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한국형 K-Cancer(암) 통합 빅데이터 구축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암, 심뇌혈관, 호흡기 질환 등 한국인 3대 사망원인 질환에 특화된 K-의료 빅데이터를 구축해 개인 맞춤형 질병예측-진단-치료-사후관리 등 전 주기 의료지원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첫걸음으로 전체 암 환자데이터의 70%를 차지하는 300만명 규모의 한국인 주요 암 10종에 대해 전국 암 병원의 암 진료데이터(영상 포함)와 건강검진 데이터, 유전체 데이터, 사망통계 등을 연계한 한국형 암 통합 빅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에 제시한 한국인 주요 암 10종은 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폐암, 유방암, 간암, 신장암, 췌담도암, 혈액암, 전립선암이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2월부터 K-Cancer 통합 빅데이터 세부 설계를 위한 연구(K-Cacncer 통합 빅데이터)를 추진하고, 5월까지 K-Cancer 통합 빅데이터 구축 설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K-Cancer 통합 빅데이터는 의료기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등 기관별로 흩어진 약 300만 명의 암 환자 데이터를 연계,결합해 안전한 클라우드 연구환경을 제공하는 국가 암 데이터 도서관으로서 다양하고 심도 있는 암 연구를 지원한다.

특히 암 진단 이전의 진료,검진 데이터, 사망데이터 등 암 관련 전 주기 데이터를 통합함에 따라 암 발병 이후 데이터가 구축되던 기존과 달리 암 예방,검진,진단,치료,예후,사망까지 장기추적 연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문자 데이터 위주의 수집에서 벗어나 영상, 이미지, 유전체 등 다양한 융합형 빅데이터를 구축해 질환 치료뿐만 아니라 DNA 구조 변이 등 암 발병 근본 원인까지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수집하는 암 종류도 10종으로 확대해 환자 수가 적어 개별 병원단위로는 연구가 어려웠던 혈액암(백혈병), 췌담도암도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개인맞춤형 표적 항암제, 암 예방,관리 인공지능, 암 진단 정밀의료기기 개발, 암 치료효과 비교검증, 항암제 부작용 최소화 등 암 진단,치료 수준의 획기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던 암 데이터를 전국적 네트워크와 연구 포털을 통해 지역 의료기관에까지 공유,활용함으로써 암 진료 및 연구 활동에 지역 간 균형을 도모할 방침이다.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빅데이터 구축도 중요하지만 모인 데이터를 개방해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 '미래 의료혁신 방향인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을 위해 한국인 100만명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도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3년부터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올해 4월 중에 문제해결형 K-의료빅데이터 구축 방안과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생태계 혁신을 위한 종합적 대책을 담은 보건의료데이터 활용혁신전략(2021~2025)을 발표할 계획이다.

기사제공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