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서경배과학재단, 2022년 신진 과학자 선정

면역세포의 휴지 기전, tRNA에서 새롭게 발견한 RNA 연구 선정해 지원
서경배과학재단 주관 학술 심포지엄 ‘SUHF Symposium 2022’ 통해 대중과 소통

 

 서경배과학재단(이사장 서경배)은 올해부터 연구를 지원할 2022년 신진 과학자 두 명을 선정했다. 연구자 선정을 축하하는 신진 과학자 증서 수여식은 26일(금) 서울시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열렸다.

서경배과학재단은 아모레퍼시픽그룹 서경배 회장이 사재 3000억원을 출연해 2016년 설립한 공익 재단이다. ‘생명과학 연구자의 혁신적인 발견을 지원해 인류에 공헌한다’는 비전 아래 매년 새로운 연구를 개척하는 한국인 신진 과학자를 선정한다. 재단은 2017년부터 올해까지 생명과학 분야 신진 과학자 22명을 선정했으며, 각각의 연구자에게 5년간 매년 최대 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재단 설립 이후 올해까지 신진 과학자에게 전달한 연구비는 총 300억원이 넘는다.

이번에 서경배과학재단에서 연구 지원 대상자로 최종 선정한 신진 과학자는 ‘T세포 휴지 기전 연구’을 제안한 황수석 교수(연세대 의과대학)와 ‘전령 RNA로부터 생성되는 비번역 RNA에 의한 유전자 발현 증가 기전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제안한 김학균 교수(중앙대 생명과학과)다.

황수석 교수는 T세포의 휴지 기전에 주목한다. T세포는 신체의 가장 강력한 면역 세포지만, 삶의 대부분 활성이 억제된 ‘휴지 상태’에 머무르며 잘못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황수석 교수는 T세포의 휴지 기전을 밝혀 새로운 관점에서 암과 면역 질환 치료에 응용하려고 한다.

김학균 교수는 tRNA에서 유래한 비암호화 RNA를 발견했다. 대부분의 RNA는 DNA에서 유전자를 복사해 단백질을 만드는 데 쓰이지만,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비암호화 RNA(non-coding RNA)’도 존재한다. 새롭게 발견한 비암호화 RNA의 유전자 조절기전을 알면 질병 치료와 단백질 생산에 응용할 수 있다.

서경배 이사장은 증서 수여식을 통해 “이번에 새롭게 선정된 신진 과학자분들이 눈에 보이는 하늘 밖에 또 다른 하늘이 있다는 천외유천의 믿음으로 무궁무진한 연구를 하기 바란다”며 “서경배과학재단 연구자분들이 앞으로도 생명을 키우는 숭고한 마음으로 더 나은 인류의 미래를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정원주 회장, 투르크메니스탄 방문 현지 시장 확대 및 사업 다각화 추진 대우건설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정원주 회장이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해 국가최고지도자, 대통령, 각 부처 부총리 등 고위급 인사를 예방하고 현지 사업 확대와 협력 강화를 위한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8일 투르크메니스탄 수도 아쉬하바트에서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Gurbanguly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국가최고지도자 겸 인민이사회 의장 및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Serdar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잇달아 예방한 정원주 회장은 “지난 투르크메나밧 미네랄 비료공장 건설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신 점에 대해 감사드리며 성공적인 수행을 약속드리겠다”며, “대우건설은 모든 건설 분야에서 글로벌 실적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투르크메니스탄에서 계획하고 있는 신규 가스전 개발 사업 및 석유화학 플랜트 사업을 비롯해 철도, 지하철, 초고층 빌딩 등 다양한 사업 참여를 통해 경제발전과 양국간 협력에 앞장서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날인 27일 정원주 회장은 바이무랏 안나맘메도브(Bymyrat Annamammedov) 건설/전력/생산담당 부총리와 만나 국영화학공사가 추진하는 신규 석유화학 플랜트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