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 평택기지본부는 10월 28일 평택항 마린센터에서 6개 지역 유관기관과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만 운영을 위한 ‘평택·당진항 액체부두 통합 유지준설 사업 실시 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평택·당진항 액체부두 통합 유지준설 사업은 기존 개별 유지준설 과정에서 발생하던 선박 입·출항 안전성 저하, 조수대기에 따른 부두 이용성 감소 등 문제를 해소하고, 준설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추진되는 항만 통합 유지관리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은 가스공사 등 7개 기관이 민·관·공 협력 거버넌스를 통해 전국 항만 최초로 통합 행정 및 준설 모델을 구축하며 미래 항만 운영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기관 간 꾸준한 설득과 협의를 통해 당장 준설 필요성이 크지 않거나 법적 의무가 없는 기관들도 항만 안전과 국가 예산 효율화를 위한 대승적 차원에서 협의체에 참여함으로써 다자간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들 기관은 향후 공동 수심 측량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액체부두의 퇴적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최적 준설 주기 예측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통합 유지준설 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가스공사 등 액체부두 운영사는 재원 확보·조달, 평택지방해양수산청은 준설 사업 관련 인허가 업무 지원,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통합 유지준설 사업 전체 관리를 각각 맡는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내년 실시설계 및 인허가 절차를 시작으로 본격 추진될 예정”이라며, “항만 통합 유지준설 관리 체계 강화를 통해 LNG 수송 선박의 안전한 입·출항 환경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기여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