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체기사 보기

제조·하드웨어 기술기업 성장 지원 공간 ‘팁스타운 S5’ 개소

중기부,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 추진계획 발표…최대 100억원 지원

  [이슈투데이=김호겸 기자] 제조,하드웨어 기반 기술기업의 스케일업(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공간이 문을 열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7일 서울 강남 역삼동에서 '팁스타운 S5'의 개소식을 열고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스케일업 팁스는 제조,하드웨어 기반 기술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제도로 민간 운영사(VC+R&D전문회사컨소시엄)가 성장 단계의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먼저 투자하면 정부가 나중에 지분투자와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것이다. 전용공간인 팁스타운 S5는 스케일업 팁스의 핵심요소인 VC, R&D전문회사 간 유기적인 협력을 공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공간이다. 팁스타운 S5는 5개층, 1000㎡ 규모로 네트워킹 카페, 평가장, 전담부서, 운영사 입주공간, 행사장 등으로 구성됐다. 스케일업 팁스를 관리하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등 3개 기관으로 구성된 전담 부서도 입주해 있다. 중기부는 이날 중소벤처기업 주도의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 추진계획도 발표했다. 지난 1월 발표한 '중소기업 R&D 제도혁신 방

소상공인 창업지원 공간 ‘혁신허브’ 조성

기존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확대·개편…설치 후보지역 모집

  [이슈투데이=김호겸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다음달 7일까지 소상공인의 창업과 혁신을 지원하는 '소상공인 혁신허브' 설치 후보 지역을 모집한다고 17일 밝혔다. 소상공인 혁신허브는 예비 소상공인 교육을 지원하는 기존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확대 개편한 창업공간이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이 이곳에서 일하고 생활하고 놀 수 있게 교육+체험+운영의 복합공간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소상공인 혁신허브에서는 교육 지원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코워킹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은 정기적으로 열리는 피칭대회를 통해 아이디어를 평가받고 창업상담,지도를 받을 수 있다. 또 예비창업자들은 교육장에서 교육을 받고 보육공간을 지원받는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역 유휴자산(우체국, 지자체 유휴공간 등)을 활용해 소상공인 혁신허브를 구축, 예산낭비를 막는 한편 혁신허브를 지역 생활창업의 중심으로 만들어 유휴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공모를 통해 총 3개 이내의 후보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다. 신청 공간은 전용면적이 600㎡ 이상이어야 하고 건물용도가 현재 근린생활시설이거나 즉시 근

정부 “EU 원자재·탄소중립법 초안, 차별조항 없어”

입법까지 1~2년 소요…업종별 영향 분석 후 대응계획 수립

  [이슈투데이=김호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일 유럽연합(EU)이 공개한 핵심원자재법,탄소중립산업법 초안에 대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달리 차별적인 조항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 산업부는 핵심원자재법 초안은 EU 역외 기업에 대한 차별적인 조항이나 원자재 현지 조달 요구를 담지 않고 있고, 탄소중립산업법도 EU 역내 기업과 수출기업에 동일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산업부는 두 법안이 EU 집행위원회 초안인 만큼 향후 유럽의회,각료이사회 협의를 거쳐야 해 입법 과정에 1∼2년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부에 따르면 EU 집행위는 16일(현지시간) 2030년까지 EU의 전략 원자재 소비량의 65%이상을 특정한 제 3국에서 수입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핵심원자재법을 발표했다.  EU는 이를 토대로 역내 대기업 중 전략 원자재를 사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감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 2030년까지 EU 원자재 소비량의 10% 역내 채굴, 40% 가공, 15% 재활용을 목표로 회원국이 오염물질 수집,재활용 관련 조치를 마련할 것을 규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EU가 함께 초안을 공개한 탄소중립산업법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생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