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이크 술탄 빈 모하메드 알 카시미(Sheikh Dr Sultan bin Mohammed Al Qasimi) 샤르자 최고위원회(Supreme Council) 회원이자 샤르자 국왕(통치자)이 샤르자 도서청(Sharjah Book Authority, 이하 SBA)이 600만 달러의 기금을 지원해 추진하는 유네스코 글로벌 아카이브 디지털화 협약 서명식을 참관했다. 이번 서명식은 수요일 아침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가족 문제 최고 위원회(Supreme Council for Family Affairs) 의장인 그의 부인 셰이카 자와헤르 빈트 모하메드 알 카시미(Sheikha Jawaher bint Mohammed Al Qasimi) 여사와 오드레 아줄레(Audrey Azoulay)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협약은 셰이카 보두르 빈트 술탄 알 카시미(Sheikha Bodour bint Sultan Al Qasimi) 샤르자 도서청 청장과 제니퍼 린킨스(Jennifer Linkins) 유네스코 행정•관리 담당 사무차장보가 서명했다. 샤르자 국왕의 지침을 따라 5년간 진행될 이 프로젝트는 전 세계 유산 보존, 중요 문서 보호, 디지털 접근성 확보를 목표로
뉴욕시립대학교(CUNY)의 주요 연구소가 인도의 저명한 교육자이자 사회 개혁가로 KIIT와 KISS를 설립한 아추타 사만타 박사(Dr. Achyuta Samanta)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이는 인도, 특히 사만타 박사의 고향인 오디샤주에 매우 자랑스러운 순간일 뿐만 아니라 양국 교육계에 획기적인 발전을 의미한다. 연구소는 '아추타 사만타 인도 이니셔티브 CUNY 크레스트 연구소(Achyuta Samanta India Initiative CUNY Crest Institute•ASIICCI)'로 명명되었으며, 화요일 미국 각지에서 온 유명 학자와 귀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소식이 열렸다. 미국 연구소 이름이 인도인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건 이번이 처음일 만큼 역사적인 일이다. 이에 따라 이는 사만타 박사뿐만 아니라 오디샤 주민 모두 및 전 세계 KIIT 및 KISS 커뮤니티에게도 큰 자부심을 안겨주는 순간이다. 신설된 연구소는 미국 학생들에게 오디샤의 풍부한 예술과 문화유산을 연구할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사만타 박사가 다양한 부족 사회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한 점과 교육 분야에서 그가 이룬 업적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이 명예로운 인정과 더불어 사만타
세계 농업 유산의 왕관에 새로운 보석이 추가됐다. 5월 19일, 유엔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는 저장 더칭 담수 진주담치 복합 어업 시스템(Zhejiang Deqing Freshwater Pearl Mussel Composite Fishery System, 이하 '더칭 진주 시스템')이 2025년 세계중요농업유산 시스템(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목록에 추가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최초의 양식 분야 세계급 농업문화유산 프로젝트가 된다. 더칭은 농업농촌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Affairs) 산하 유산으로, 담수 진주 양식이 가장 일찍이 기록된 지역이다. 이미 남송 시대에 인공 담수 진주 양식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푸시 거리의 샤오산양 지역에서는 맑은 물속에서 물고기가 미끄러지듯 유영하고 담치(진주조개)가 자라고 있다. 물고기 사료 찌꺼기와 배설물은 식물성 플랑크톤을 키우고, 이는 진주를 품은 담치의 먹이가 되어 물을 정화하는 생태 순환을 이
5월 19일 베이징에서 열린 도서 출간 행사 및 심포지엄에서 중국이 건설한 인프라가 외국 화폐에 등장한 사례들을 조명하는 신간이 공개됐다. 이는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elt and Road Initiative)'를 통해 세계로 뻗어 나간 중국의 영향력을 부각하고 있다. '세계 화폐 속 중국의 흔적(가제)(Chinese Imprints on World Currency)'은 중국과 연계된 인프라 프로젝트가 세계 각국에서 발행한 주화와 지폐에 어떻게 등장했는지를 기록한 책으로, 책 속에 소개된 구조물이 일대일로 프레임워크 안에서 이뤄진 국제 협력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홍레이(Hong Lei) 외교부 차관보, 왕하이화이(Wang Haihuai) 중국교통건설공사(CCCC) 총경리, 이 책의 저자인 두샤오젠(Du Xiaojian)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와 기업 지도자들이 참석했다. 카보베르데, 알제리, 피지, 스리랑카, 이집트를 포함한 10여 개국 대사들도 자리를 빛냈다. 이 책에는 58개국에서 발행된 121개의 동전과 지폐를 기록하고 있으며, 각 지폐는 중국이 인프라를 매개로 맺어온 글로벌 파트너십에 대한 고유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체 공학적 업무 환경 분야를 선도하는 콜브룩 보슨 손더슨(Colebrook Bosson Saunders, CBS)가 오는 6월 3일부터 5일까지 열리는 오가텍 도쿄 2025(ORGATEC TOKYO 2025, 일본 도쿄 사무 가구 및 기자재 박람회)에서 새롭게 재출시된 Flo 모니터 암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4월에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이전 세대가 아시아에서 거둔 성공에 힘입어, CBS는 박람회 방문객들에게 현대적인 스크린에 최적화된 플로의 첨단 인체공학과 업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CBS는 부스 S1-F09에 위치하며, 이번 행사의 유일한 실버 스폰서로 참가한다. 여러 동아시아 국가가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면서 노동 인구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으며, 근로자 복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일본은 고령 인구가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거나 더 오래 근무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고 아사히 신문(The Asahi Shimbun)이 전했다. 세실 황(Cecil Huang) CBS APMEA 마케팅 총괄 매니저는 "업무 환경과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인간 중심 디자인은 우
역사적인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6월 5일 오후 9시 24분(중부유럽표준시)에 전통 스웨덴식 오두막인 작고 빨간 집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하는 집이 될 예정이다. 문하우스(The Moonhouse)로 알려진 이 예술 작품은 일본의 달 착륙선 리질리언스(RESILIENCE)에 실려 4개월 넘게 우주를 여행하다가, 이제 가장 중요한 단계에 진입한다. 바로 달의 '추위의 바다(Mare Frigoris)'에 연착륙하는 것이다. 예술과 기술을 독특하게 융합한 이 프로젝트는 대담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1999년, 스웨덴 예술가 미카엘 겐버그(Mikael Genberg)는 붉은 오두막을 달에 세우는 상상을 했다. "과학의 전초기지나 정치적 상징으로서가 아니라," 겐베그는 말한다. "인류와 상상력, 그리고 집이라는 개념을 조용히 상기시켜주는 장소로서. 희망의 등불이자, 창백한 푸른 점인 지구를 바라보는 눈으로서요." 그 이후로 이 아이디어는 수많은 엔지니어, 몽상가, 후원자들의 손을 거쳐왔다. 그들은 겐버그와 함께 수십 년, 여러 대륙, 그리고 이제는 깊은 우주를 가로질러 이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달 착륙은 우주 비행에서 가장 어려운 도전 중 하나다. 20
현재 집권 연정을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몽골 인민당(Mongolian People's Party•MPP)의 당대회 투표를 앞두고 실시된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 몽골 인민당, 민주당(DP), 훈당(HUN) 간의 연정이 몽골 유권자들로부터 여전히 강력한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리서치 기관인 생크록스 정치 자문회사(Sancrox Political Advisory)가 지난 4월 16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42%가 몽골 인민당, 민주당, 훈당 간의 연정 결성 결정에 찬성했으며, 36%는 반대했다. 19%는 찬반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년 몽골 인민당을 지지한 유권자의 57%가 연정 결성을 지지했고, 29%는 반대했다. 2024년 민주당 지지자의 51%가 연정 결성에 찬성했고, 30%는 반대했다. 2024년 훈당 지지자 45%가 연정 결성에 찬성했고, 29%는 반대했다. 본 조사 결과는 연정이 참여 정당들 사이에서 견고한 지지 기반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몽골 인민당 당대회 투표를 앞두고 현재 연정 유지에 찬성하는 여론이 우세한 상태다. 생크록스 정치 자문회
암젠(Amgen)의 자회사인 디코드 제네틱스(deCODE genetics)의 연구진이 네이처(Nature)지에 실린 "임신 초기의 염기서열 다양성 손실"이라는 논문에서 임신 136건당 1건 정도가 태아의 새로운 변이로 인해 유산된다고 추정했다. 전 세계적으로 돌연변이로 인한 유산은 매년 수백만 건에 달한다. 인간 게놈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게놈에는 개인 간 염기서열 변이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위치가 있다. 이는 이러한 위치의 염기서열이 인간 발달에 필수적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필수 게놈 염기서열의 돌연변이는 신경 발달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산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 디코드 제네틱스의 연구진은 노르딕 협력(Nordic Collaboration)의 일환으로 헨리에트 스바레 닐슨(Henriette Svarre Nielsen)과 에바 호프만(Eva R. Hoffmann)이 시작한 전향적 연구에서 얻은 467개 유산 샘플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흥미롭게도 연구진은 유산한 태아의 게놈을 부모와 비교해 태아가 성인과 비슷한 수의 새로운 돌연변이를 보유하고 있음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