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안랩, 불법 ‘정품인증 툴’로 위장한 악성코드 주의 당부

 

안랩(대표 강석균)이 최근 불법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려는 사용자를 노려 불법 정품인증 툴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공격자는 P2P 사이트, 불법 다운로드 사이트 등 다양한 경로로 MS 제품에 대한 불법 정품인증 툴인 ‘KMSAuto’, ‘KMSPico’ 등(이하 ‘불법 정품인증 툴’)으로 위장한 악성 실행파일을 유포했다. 사용자가 해당 악성 실행파일을 실행하면 비밀번호 입력창이 나타난다. 여기에 공격자가 제공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누르면 불법 정품인증 툴과 ‘비다르(Vidar)’ 악성코드가 동시에 설치된다.

비다르(Vidar) 악성코드는 감염 PC 내 주요 정보를 외부로 유출한다. 유출 대상 정보는 FTP 클라이언트 내 저장된 사용자 계정정보, 웹 브라우저 내 계정정보 및 자동채우기(Autofill) 값, 인터넷 쿠키, 암호화폐 지갑 주소 등이다. 정보 유출 행위 이후에도 다른 악성코드를 내려받아 추가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FTP 클라이언트는 File Transfer Protocol(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인터넷상에서 컴퓨터 간 파일을 교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자동채우기(Autofill)는 사용자가 입력한 계정정보나 검색기록 등의 정보를 웹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저장했다가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다시 입력할 때 자동으로 완성시켜주는 기능이다.

이번 악성코드는 실제 불법 정품인증 툴과 동일한 아이콘과 파일명을 사용하고 툴 설치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을 의심하기 어렵다. 현재 V3 제품군은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 및 차단하고 있다.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품 SW 및 콘텐츠 이용 △의심되는 웹사이트 방문 자제 △OS 및 인터넷 브라우저, 응용프로그램, 오피스 등 SW 최신 버전 유지 및 보안 패치 적용 △백신 프로그램 최신버전 유지 및 주기적 검사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등의 보안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안랩 분석팀 이재진 연구원은 “공격자에게 탈취된 정보는 추후 금전 탈취나 계정도용 등 다양한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을 생활화하고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나 P2P 이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거래내역 간편전송'서비스가 화제!, “사장님들 입소문 났다”... 7월 한 달은 사장님들에게 특별히 더 바쁜 달이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직접 거래 은행을 방문하거나 인터넷뱅킹, 은행 모바일 앱에서 금융거래내역을 발급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은행 업무가 디지털화됐지만, 많게는 연간 10만여 건에 달하는 거래내역을 발급받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요즘 사장님들 사이에서는 하나은행의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가 화제다.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면 하나은행의 입출금 계좌, 대출, 퇴직연금은 물론, 타 금융기관의 금융거래내역을 모바일 앱에서 한 번에 발급 받을 수 있다. 특히, 발급 받은 거래내역은 이메일로 바로 전송할 수 있어 사장님들의 수고를 덜었다. 실제로 지난 2023년 서비스 출시 이후 약 10만 명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했으며, 이용 건수는 17만 건을 넘어서는 등 손님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더불어 세금신고 업무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세무사들 사이에서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하나은행의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는 한 번에 발급받을 수 있는 거래내역 건수에 제한이 없다. 거래내역이 수만 건에 달하더라도 신청 한 번으로 자료를 받아볼 수 있어 기존 금융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