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젊은 강유전체 연구자상’ 국내 최초 수상

강유전체 응용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
2006년부터 시상된 해당 학회에서 국내 최초 수상으로 세계적 실력자로 인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가 지난달 26일 미국 클리브랜드에서 개최한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ISAF) 학회에서 Ferroelectrics Young Investigator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Ferroelectrics Young Investigator Award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전문가 모임인 미국 전기전자학회 IEEE의 만 40세 이하의 젊은 강유전체 연구자 중 해당 분야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와 공헌을 하며 세계적으로 연구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과학자 1명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박민혁 교수는 산화하프늄 강유전체의 기본 메커니즘 규명 및 관련된 다양한 새로운 응용을 제시한 기여를 인정받아 국내에서는 최초로 수상했다.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계(전기장)를 가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두 가지 이상의 전기적 분극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이진법 기반의 비휘발성 반도체, 초저전력 반도체,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고체상태냉각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유망한 소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반도체 미래기술 로드맵에서도 차세대 반도체용 유망 신소재로 포함된 소재이다.

박민혁 교수는 최근 차세대 반도체 및 에너지 소자 용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강유전체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2008년부터 15년 이상 진행해왔으며, 특히 2011년 발견된 신소재인 산화하프늄 강유전체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한화투자증권, ‘제4회 연금 아카데미’ 성료...최신 연금 정보 공유 한화투자증권(대표이사 한두희)은 지난 3일 FKI타워(구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4회 연금 아카데미(Pension Academy)’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한화투자증권은 2022년부터 매년 고객사 연금 실무자를 위한 ‘연금 아카데미’를 개최해 최신 연금 정보를 공유하는 다양한 강연과 참석자 간 네트워킹 기회를 마련해왔다. 이번 행사는 ‘연금, 무엇이 달라지는가?’를 주제로 국민연금법 개정안 주요 내용과 변화하는 연금 이슈 등 실용적인 정보를 실무자에게 제공했다. 또 세종사이버대학교 김덕진 교수가 초청연사로 나서 ‘HR 측면에서의 AI 활용’을 주제로 연금 관련 인사업무에서 AI 기술의 활용 가능성과 실제 사례를 소개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강연 후 전문가와 질의응답을 통해 한층 깊이 있는 정보를 습득하고 적극적으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며 연금 업무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시간을 가졌다. 한화투자증권 연금본부 김승모 상무는 “앞으로도 연금 아카데미를 통해 고객사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며, “연금 가입 고객들이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는 연금 솔루션 제공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