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맥심, 중대형 셀 구성 위한 업계 유일 ASIL-D 규격 IC ‘MAX17853’ 출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설계 기간 50% 단축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가 칩 하나만으로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용 ASIL-D 규격에 맞게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 모니터용 IC ‘MAX17853’을 출시했다.

MAX17853은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팩과 같은 중대형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셀 구성을 타깃으로 한다. 독특하고 유연한 아키텍처인 플렉스팩을 통해 추가 보드 제작 및 인증 과정 없이 모듈 구성을 신속하게 변경하고 시장 수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전성 준수를 위해 시스템에 중복 부품을 추가하는 경우가 있다. MAX17853은 중대형 셀 구성에 대해 관리 솔루션 중 유일하게 셀 전압과 온도, 통신 관련 ASIL-D 규격을 준수해 가장 높은 수준의 시스템 안정성을 구현한다. 첨단 배터리 셀 밸런싱 시스템은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각 셀을 시간과 전압별로 자동 밸런싱해 과충전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중화 된 비교 장치 등의 별도 구성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모두 구현 가능해 폼팩터 소형화에 유리하다.

엔지니어들은 각각의 모듈 구성에 따라 설계한 각각의 보드와 부품(BOM) 원가를 승인받아야 하기 때문에 유연성도 중요한 요소다. MAX17853은 업계 유일하게 하나의 보드로 다중 채널 구성(8~14개 셀)을 지원하는 IC로 검증·인증 시간을 줄여 설계 기간과 인증 업무를 최대 50퍼센트까지 단축할 수 있다. 경쟁사 솔루션에 비해 시스템 부품 원가를 최대 35퍼센트까지 절감하므로 BMS 솔루션에 대한 전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테이머 키라(Tamer Kira)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자동차 BMS 사업부 이사는 “MAX17853 출시로 OEM 자동차 업체들은 BMS 시스템 전체를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품별 여러 셀 모듈 구성을 지원하는 단일 보드를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맥심 MAX17853 및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 솔루션에 대한 상제 정보 및 고화질 이미지는 맥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현대건설, ‘2025 스마트건설기술 시연회’ 개최 현대건설이 건설 현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첨단 스마트건설 기술들을 공개하고 건설산업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대건설은 지난 27일(금), 경기도 남양주 왕숙 국도47호선 이설(지하화)공사 현장에서 ‘2025 스마트건설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날 시연회는 현대건설 토목사업본부 강용희 본부장, 한국토지주택공사 스마트건설안전본부 이상조 본부장,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조성민 연구처장 등 현대건설 임직원과 공공기관 관계자, 산학연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올해로 3회를 맞이하는 스마트건설기술 시연회는 현대건설이 국내외 현장에서 축적한 관련 기술들을 소개하고, 시연을 통해 현장 적용 노하우를 업계 관계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2020년부터 시행해온 행사다. 특히, 올해는 ‘로보틱스 기반의 건설 자동화 및 스마트 안전기술’을 주제로 작업자의 안전과 공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첨단 기술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해 참석자의 관심을 모았다. 현대건설은 스마트 항만, 스마트 터널, 스마트 교량, 스마트 토공 등 테마별 혁신 현장을 운영하며 스마트건설 생태계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에 시연회가 개최된 남양주 왕숙 국도47호선 현장은 경기도 남양주 진관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