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북랩, 고향을 그리워하며 써 내려간 자전적 소설 ‘한 편의 시를 위한 이야기’ 출간

실험정신 가득한 글쓰기 철학으로 시와 소설의 경계를 넘나들다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 경험담을 하나의 시처럼 엮어 정겨운 고향 풍경을 그대로 재현한 소설이 출간됐다.

북랩은 시적 표현을 사용한 독특한 구성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녹여낸 자전적 소설 '한 편의 시를 위한 이야기'를 펴냈다.

이 책은 우리 삶에서 흔히 접하는 친근한 일화들을 주제로 삼으면서도 개성 있는 글쓰기 방식을 고수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고향, 어린 시절, 가족 등 누구나 공감할 만한 이야기를 담았지만 틀을 깨는 구성, 전개, 묘사로 기존 소설과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일본의 하이쿠를 연상케 하는 5줄로만 이루어진 짧은 이야기를 '5줄 소설'이라고 이름 붙여 저자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확장한다. 저자는 궁극적으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이러한 형식적 실험을 통해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저마다의 고유한 시선을 가지게 되기를 고대한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됐다. 먼저 '한 편의 시를 위한 이야기'는 7개의 중심 사건과 그 배경을 설명하는 17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졌다. 이 이야기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돼 독자에게 주인공 '나'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 준다. '시와 작가'에서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작가가 된 '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의 다양한 풍경을 64편의 시로 풀어낸다. 마지막으로 '검도 기행'에서는 글쓰기와 함께 '나'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검도를 통해 삶을 대하는 태도를 가다듬는다.

작가 김점열 씨는 자신만의 확고한 글쓰기 원칙을 '글을 쓰는 방법을 배우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작가로서 투박하고 거칠어도 '세상을 바라보는 통찰력'을 지닌 글을 쓰기 위해 형식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 소설은 그런 원칙 아래 어린 시절의 경험담을 기존의 소설에서는 볼 수 없던 새로운 형식으로 엮어낸 것이다.

그는 왜곡되지 않는 글쓰기 방법을 고민하며 집필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 편의 시를 위한 아홉 편의 산문'(을지서적, 1994)와 '저잣거리의 현자'(좋은땅, 2010)가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거래내역 간편전송'서비스가 화제!, “사장님들 입소문 났다”... 7월 한 달은 사장님들에게 특별히 더 바쁜 달이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직접 거래 은행을 방문하거나 인터넷뱅킹, 은행 모바일 앱에서 금융거래내역을 발급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은행 업무가 디지털화됐지만, 많게는 연간 10만여 건에 달하는 거래내역을 발급받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요즘 사장님들 사이에서는 하나은행의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가 화제다.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면 하나은행의 입출금 계좌, 대출, 퇴직연금은 물론, 타 금융기관의 금융거래내역을 모바일 앱에서 한 번에 발급 받을 수 있다. 특히, 발급 받은 거래내역은 이메일로 바로 전송할 수 있어 사장님들의 수고를 덜었다. 실제로 지난 2023년 서비스 출시 이후 약 10만 명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했으며, 이용 건수는 17만 건을 넘어서는 등 손님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더불어 세금신고 업무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세무사들 사이에서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하나은행의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는 한 번에 발급받을 수 있는 거래내역 건수에 제한이 없다. 거래내역이 수만 건에 달하더라도 신청 한 번으로 자료를 받아볼 수 있어 기존 금융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