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피플

무너지는 경제허리, 3040 고용률 OECD 38개국 중 30위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경제허리 3040(30~49세, 이하 '3040') 취업자수와 고용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040의 고용률이 OECD 38개국 중 30위로 나타나 3040을 위한 일자리 정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040 취업자 수는 지난 5년간 연평균 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40 취업자 수는 '10년 이후 '14년까지는 약간씩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15년부터 감소하고 있다. 한편 3040 고용률은 지난 5년간 0.7%p 감소하였으며, '17년부터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3040 고용률(76.2%)은 38개국 중 30위로 낮은 편이다. G5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독일 85.8%, 일본 85.1%, 영국 85.1%, 프랑스 81.9%, 미국이 76.6%로 우리나라보다 높으며, 한국은 독일보다 9.6%p 낮아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추세적으로도 한국은 '15년 대비 '20년 고용률이 0.7%p 감소했지만, G5 국가인 독일(84.9 → 85.8%), 일본(82.4 → 85.1%), 영국(83.0 → 85.1%), 프랑스(80.8 → 81.9%)는 '15년 대비 '20년 3040 고용률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국은 코로나19 여파로 '20년 고용률이 급감('19년 80.7 → '20년 76.6%)하여 '15년에 비해 1.6%p 감소했다. 이는 미국이 코로나19 사태에 고용유지대책보다 실업급여 지원 등 실업대책 위주로 대응한 것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19년 대비 '20년 3040 취업자가 가장 많이 감소한 산업은 숙박음식점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음식점업은 '19년 대비 7만 6,516명이 감소하였고, 그 다음으로 교육서비스(-7만 1,102명), 도소매업(-5만 3,743명), 제조업(-5만 406명)이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3만 76명이 증가한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이었으며, 운수 및 창고업(2만 1,904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만 3,425명) 순으로 증가했다.

2020년 기준 3040 취업자 비중이 높은 산업은 제조업(19.6%), 도소매업(14.1%), 교육서비스업(8.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7.5%), 건설업(7.1%), 숙박음식점업(5.8%) 순이다.

취업자 비중이 높은 산업의 최근 5년간 취업자 연평균 증감율을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외에는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가 많은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의 감소율이 각각 3.3%, 2.8%로 높았으며, 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역시 2.7% 감소하였다. 취업자가 많은 이들 업종에서 추세적으로도 일자리가 하락하고 있어 관련 업종의 활성화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신한은행,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 개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3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재 ‘신한 학이재 인천’에서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는 신한은행이 인천대학교 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와 함께 금융권 디지털 포용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선발한 인천대학교 재학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등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해 지역사회공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금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2기는 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를 목표로 ▲무인점포 및 모바일 금융 앱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지역사회 디지털배움터 ‘보조강사’ 역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한은행 직원들과 함께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도 공동 개발한다. 주요 내용은 ▲‘신한 SOL뱅크’ 앱 사용법 ▲‘지켜요’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법 ▲금융감독원의 ‘안심차단서비스’ 이용법 등으로 구성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천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금융소비자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겠다”며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