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기업살인법을 제정하라!... 삼성과 1회용 컵처럼 버려진 사람들

- 반복되는 삼성의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 왜?
- 재난 대응 계획인가? 사고 은폐 계획인가?

(이슈투데이) 지난 9일 밤 11시에 방송되는 ‘스트레이트’에서는 삼성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의 원인과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삼성의 부실한 사고 대응에 대해 방송했다.

지난 9월 5일 경기도에 있는 삼성전자 기흥공장에서 화재 진압용 이산화탄소가 유출됐다. 이 사고로 삼성전자에서 일하던 하청 노동자 3명이 이산화탄소에 질식해 의식을 잃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자체 소방대만 출동하고, 사고가 일어난 지 1시간40분이 지나서야 소방서에 사고 발생 사실을 알렸다. 삼성은 늑장 신고 논란에 “산업안전보건법에 사망 사고가 났을 경우에만 즉시 신고 의무가 규정돼 있어서 병원에서 첫 사망 판정을 내리기 전까지 신고하지 않은 것은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결국 이날 사고로 하청 노동자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태에 빠졌다.

또, 4년 전인 지난 2014년에도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에서 역시 이산화탄소 누출로 하청 노동자 1명이 숨졌다. 이때도 경보장치는 울리지 않았다. 삼성의 자체 소방대는 사고 발생 1시간 뒤 숨진 피해자를 발견했고, 역시 늑장 신고 논란이 일었다. 초일류 기업 삼성에서 왜 이렇게 똑같은 사고와 논란이 반복되는 것일까? 이른바 ‘반도체 부문 재난대응 계획’에는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삼성의 사고 대응 행태를 밝혀줄 비밀이 담겨 있다. 재난 대응보다 은폐 매뉴얼에 가깝다고 해도 할 말이 없는 이 계획에는 도대체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 ‘스트레이트’가 집중 보도했다.

한편 삼성전자의 3차 하청업체에서는 지난 2015~2016년 동안 6명의 노동자들이 메탄올에 중독돼 실명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들은 “우리는 1회용 컵처럼 버려졌다”고 울부짖었다. 도대체 왜 이런 사고는 끊이지 않는 것일까? 그리고 왜 하청노동자의 산업재해 사망률은 원청 노동자의 8배에 이르는 것일까?

반복되는 삼상의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와 부실한 사고 대응 그리고 하청업체에서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산업재해와 관련된 진실은 지난 9일 밤 11시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방송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쿠팡, 로켓직구 ‘일본’ 1주년 기념 슈퍼 세일...”인기 아이템 1만6000개 최대 70% 할인” 쿠팡이 일본 로켓직구 서비스 1주년을 기념해 일본 현지 인기 아이템을 최대 70% 파격적인 혜택가로 선보이는 ‘로켓직구 일본 슈퍼 세일’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오는 3일(금)까지 진행된다. 행사 기간 동안 1만6000여 개 일본 인기 상품을 선보인다. 컵누들로 유명한 닛신과 같은 베스트셀러 브랜드는 물론, 일본 현지를 방문해야만 구매 가능한 내수 전용 상품들이 총출동한다. 대표적으로 일본 돈키호테 인기 아이템인 ‘나데코시 쌀 팩(1만원대)’과 면세점 필수 구매 품목인 ‘시로이 고이비토(1만원대)’가 있다. ‘칼디 메론빵 스프레드(5000원대)’, ‘세이코 쿼츠 크로노그래프 손목시계(10만원대)’, ‘제브라 사라사 클립 젤펜 10색 세트(1만원대)’ 등도 특가에 판매한다. 참여 브랜드도 다양하다. 일본 주요 편의점에서 인기 있는 건강 간식 브랜드 ‘베이스푸드’를 국내 최초로 선보인다. 시세이도 계열 브랜드의 마죠리카 마죠르카·프리오르·인터그레이트·아쿠아라벨·에투세 등 뷰티 브랜드가 참여한다. 또한 세이코·카시오·시티즌 등 시계 브랜드와 펜텔·미쓰비시 등 프리미엄 문구 브랜드도 선보인다. 고객을 위한 할인 쿠폰도 마련했다. 1만5000원 이상 구매 시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