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한화시스템, 호주 ‘랜드 포스 2024’ 전시 참가… 대양주 방산전자 시장 정조준

 

한화시스템이 9월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되는 ‘랜드 포스(Land Forces) 2024’에 참가한다. 랜드 포스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육군 방산·보안 전시회로, 매년 2만여 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주 멜버른서 사흘간 개최… ‘초연결·다계층 솔루션’ 선보여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호주 육군을 위한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 솔루션’을 중점적으로 제시한다. 이는 지상군과 지상 무기를 공중·해양·우주 등 전 영역과 연결하는 솔루션으로, 군이 어떠한 전시 상황에서도 통신 단절 없이 작전 수행을 하도록 고용량·초고속·저지연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한화시스템, 호주 지상군에 ‘첨단 전술지휘통제통신’ 청사진 제시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저궤도 위성통신과 5G를 기반으로 한 초연결·다계층 ‘C4I 전술통신솔루션’ 기술력을 선보인다. C4I는 지휘(Command)·통제(Control)·통신(Communication)·컴퓨터(Computer)·정보(Intelligence)의 줄임말로, 육·해·공·우주를 연결해 다양한 전장 공간에서 군이 고속으로 통신하고 신속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첨단 전술지휘통제통신 솔루션이다.

군 인력 감소 추세에 들어서면서 호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가 유·무인 복합 작전(MUM-T, Manned-Unmanned Teaming) 및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Joint All Domain Command & Control)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C4I 솔루션은 이를 실현하는 핵심 통신체계로 부상하고 있다.

※ 유·무인 복합 작전(MUM-T, Manned-Unmanned Teaming): 무인체계의 이동 및 감시·정찰 등의 임무 수행, 유무인 체계의 협업을 통한 복합 전투 작전
※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Joint All Domain Command & Control): 육·해·공 각 군의 정보 및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지휘통제 체계

한화시스템은 △전술5G통신체계(Tactical 5G System) △저궤도 위성(LEO Comsat) △MOSS 플랫폼(Modular Open Suite of Standard Platform) 등 다양한 장비로 구성된 C4I 솔루션을 전시하며 미래형 전술통신체계 개발 역량을 강조했다.

특히 멜버른 전시장과 약 70km 떨어진 질롱시 레드백 생산공장에서 드론-차량-전시 현장 간 ‘실시간 영상 전송’ 시연도 펼친다. 달리는 차량에 이동형 5G 기지국을 탑재해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다시 저궤도 위성통신을 통해 전시장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전쟁 시 지상 통신망 단절과 관계없이 원활한 작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전술5G통신체계(Tactical 5G System)는 전장에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고해상도 영상 스트리밍, 신속한 지휘 결심 등을 지원하는 5G 네트워크 기술 기반 통신시스템이다. 지상 무기에 장착된 각 플랫폼이 5G 기지국 역할을 하며 다양한 센서 및 장비를 연결하고, 기동 간(On the Move) 통신을 지원한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호주군 통신시스템과도 연동 및 상호 호환이 가능해 통신시스템 전면 교체 적용의 불필요함을 줄였다.

한화시스템의 MOSS 플랫폼(Modular Open Suite of Standard Platform)은 미래 지상전투체계에 최적화된 지휘통제통신 통합 솔루션으로, 다양한 지상 플랫폼에 탑재 가능하다. 기존 전차·장갑차·지휘관차량 등의 기동형 플랫폼에 탑재되는 다양한 통신장비와 C4I 서버 및 시스템 관리 장비를 GVA 표준 기반으로 소형화·저전력화·경량화·모듈화한 후 1개의 플랫폼으로 통합해, 간편하게 지상 플랫폼에 실을 수 있도록 했다.

※ GVA(Generic Vehicle Architecture, 개방형 아키텍처 표준): 영국/호주/NATO에서 신규 지상무기체계 개발 시 통합전장시스템에 필수 요구되는 개방형 아키텍처 표준 규격이다. GVA 적용을 통해 수명주기 비용 절감 및 시스템통합 및 신기술 적용을 통한 성능 개선 등이 가능하며, 무기체계의 독립적인 통합전장시스템을 또한 설계할 수 있다.

지구로부터 거리가 200~2000km인 낮은 고도에 위치한 위성을 이용한 저궤도 위성통신은 전술5G통신체계와 결합해 저궤도 위성망과 지상망이 통합된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를 구현한다. 사막과 산중, 해양 등 공간을 뛰어넘는 통합 작전을 할 수 있으며, 적의 공격으로 망이 파괴돼 5G 통신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다.

전술5G통신은 지상에서 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궤도 위성 통신은 지상 외 장소에서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초고속·저지연 통신이 가능하다. 한화시스템의 C4I 솔루션은 이 두 가지 통신을 군이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해 두 통신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다. 드론과도 협업이 가능해 실시간 드론 영상 수집이 가능하며, 호주 지상군이 운용하고 있는 기존 통신시스템과도 상호 호환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앞으로도 미래 전장의 혁신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할 첨단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이번 랜드 포스 전시회에서 지상 장비·통신 기술과 함께 실시간으로 장비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MRO 시스템을 함께 제시하며, ‘토탈 디펜스 솔루션’과 무기체계의 가치를 높이는 밸류업(Value-up) 기술을 선보인다. 한화시스템은 이를 통해 통합적인 수출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한화시스템의 MRO(Maintenance·Repair·Overhaul) 플랫폼은 데이터 중심의 선제적 군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기체계 운영유지 플랫폼이다. 국내외 무기체계 운영 유지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플랫폼으로,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무기체계의 운용·고장·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통합 관제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을 통해 수요 및 고장 예측, 고장 트렌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무기체계가 최상의 전투준비태세를 갖출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모바일 앱을 통해 편리한 유지보수 활동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는 원격 정비 서비스가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현대엔지니어링, ‘현엔 드라이브’ 프로그램으로 친환경 실천 문화 조성 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이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친환경자동차 체험 프로그램인 ‘현엔 드라이브’의 이용자 수가 900명을 돌파했다고 7일(월) 밝혔다. ‘현엔 드라이브’는 2021년부터 시작된 사내 복지 프로그램으로, 평일에 업무용으로 활용되는 EV9, EV6, IONIQ5 등의 친환경차를 임직원이 주말 동안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해주는 서비스다. 지난 6월까지 총 915명의 임직원이 이용했다. 서비스 신청 후 선정된 임직원이 금요일 퇴근 시 차량을 수령해 주말 동안 사용한 뒤, 다음 주 월요일 출근 시 반납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이용 임직원을 위한 별도의 보험도 제공해 임직원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친환경차를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복지를 넘어, 친환경차에 대한 긍적적인 인식을 제고하고, 향후 차량 교체 및 구매 시 내연기관차 대신 친환경차를 고려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 참여 임직원으로부터 높은 만족도와 긍적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친환경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을 자연스럽게 확산시키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임직원들이 친환경차를 직접 주행함으로써, 친환경차에 대한

LIFE

더보기
신한은행,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 개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3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재 ‘신한 학이재 인천’에서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는 신한은행이 인천대학교 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와 함께 금융권 디지털 포용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선발한 인천대학교 재학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등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해 지역사회공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금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2기는 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를 목표로 ▲무인점포 및 모바일 금융 앱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지역사회 디지털배움터 ‘보조강사’ 역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한은행 직원들과 함께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도 공동 개발한다. 주요 내용은 ▲‘신한 SOL뱅크’ 앱 사용법 ▲‘지켜요’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법 ▲금융감독원의 ‘안심차단서비스’ 이용법 등으로 구성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천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금융소비자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겠다”며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