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한전·새만금개발청, 새만금산단 전력인프라 적기 구축 위한 MOU...전력인프라 건설로 기업투자 활성화 기대

 

한국전력(사장 김동철)과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2.20(목)전북 군산시 새만금개발청에서 새만금 이차전지 첨단 특화단지 전력인프라 적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내 기업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전력망을 적기에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이를 위해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이러한 수요집중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력망의 적기 건설이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법이다.

 

한전은 건설 중인 비응2(동비응) 변전소와 비응3(남비응) 변전소를 조기에 건설하고 154kV급 비응4 변전소를 신설하는 등 전력설비 적기 건설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새만금개발청은 한전의 비응4 변전소 및 연계 송전선로 건설사업 비용을 지원하고, 사업 진행에 따른 인허가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서철수 한전 전력계통부사장은 “전력망 건설을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지원과 입지선정부터 준공까지 지자체의 인허가 협조가 필수인데, 이번 새만금개발청과의 협약은 이러한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한전은 전력망 적기 건설을 통해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기업 유치에 크게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서울시, 현대엔지니어링과 '북서울꿈의숲'에 꿀벌 서식지 조성 서울시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2월 12일 현대엔지니어링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꿀벌 서식지 및 밀원 정원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과 엄홍석 현대엔지니어링 커뮤니케이션실장이 참석해 꿀벌 서식지 조성과 밀원정원 조성 등을 통해 꿀벌 개체수를 늘리고 수분 매개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도심 공원의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뜻을 모았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시 소유 공원에 꿀벌 서식지를 제공하고, 현대엔지니어링은 ▴꿀벌 서식지 및 밀원정원 조성 ▴시민 대상 체험 및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위한 직업 훈련을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꿀벌은 생태계 건강을 가늠하는 척도이다. 지난 2022년 4월 국내에서 약 78억 마리가 폐사했다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발표는 이러한 꿀벌 감소 현상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꿀벌 개체 수 감소는 도심 녹지의 과실수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쳐 꿀벌 서식지 보전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꿀벌 살리기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의 ESG 경영 실천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됐지만, 최적의 꿀벌 서식 장소 마련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