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한·체코 수소협회 및 양국 수소 관련 민간기업과 함께 체코 내 수소 산업 기반 조성에 나선다. 현대차는 28일(현지 시각) 체코 프라하 힐튼호텔에서 △체코 수소협회 HYTEP (HYDROGEN TECHNOLOGY PLATFORM) △한국 수소 보급 활성화 민관협의체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KOREA) △현대글로비스 △체코 지브라그룹(ZEBRA GROUP) △오를렌 유니페트롤(ORLEN Unipetrol) 등 13개 기업 및 기관과 함께 체코 내 수소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브라그룹(ZEBRA GROUP)은 다목적 상용차 개발 및 제조사이며, 오를렌 유니페트롤(ORLEN Unipetrol)은 원유 처리와 연료 및 석유화학제품 생산·유통·판매 기업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과 체코 산업통상부 페트로 메르바르(Petr Mervart) 수소특임대사, 수소융합얼라이언스 문재도 회장, HYTEP 마틴 파이다르(Martin Paidar) 부회장, 현대자동차 신승규 상무, 현대글로비스 김기철 상무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전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이 화석연료에서 환경친화적이면서도 가격은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에너지로 대전환하는 시점에서 수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공통된 인식 아래 추진됐다. 현대차를 비롯한 양국 MOU 주체들은 △수소 분야 정보교류 △수소모빌리티 제조 및 실증 △수소 충전 및 운송 인프라 구축 △수소생산 기술 개발 및 실증 등을 추진한다. 수소생산에서부터 저장·운송·활용 등 전 주기에 걸친 협력으로 체코 내 수소 생태계 구축이 본격화되는 것이다. 현대차는 지브라그룹 등 MOU 참여 체코기업에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공급하고 관련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체코 시장에 최적화된 소형 다목적 수소 트럭 등의 수소모빌리티 개발을 돕는다. 이를 통해 체코 현지 기업들은 다목적 수소 상용차 등 수소모빌리티를 제작하고,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실증 운행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수소 상용차 실증 운행을 통해 기존 경유 상용차 대체 가능성과 실수요를 확인하는 등 체코 시장에서 수소모빌리티 사업의 미래 전망과 지속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에너지와 수소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한 수소 인프라 구축에도 협력한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와 현대차는 체코 내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한국에서의 수소 충전소 구축·운영 노하우를 공유하고 수소 충전소 관련 기술도 지원한다. 수소생산 부문에서는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개발과 생산비용 저감을 추진한다. MOU에 참여하는 양국 수소협회와 기업들은 재생에너지와 저탄소 에너지원을 활용한 수소생산을 위해 공동 타당성 조사와 공동 기술개발 협력, 실증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는 공급망관리(SCM) 전문기업 특성을 살려 수소생산에서부터 활용까지 수소공급망 전 주기에 걸친 수소에너지 유통과 함께 수소 상용차 부품과 조립 장비 및 수소 충전소 설비 등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체코는 국가 주요 산업인 자동차산업의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여기에 수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체코 정부는 2020년 4월에 승인한 ‘국가 친환경 모빌리티 액션플랜(National Action Plan for Clean Mobility)’에서 2030년까지 4만~5만 대의 수소 전기차 보급 목표를 설정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국가 수소 전략(The Czech Republic’s Hydrogen Strategy)’을 통해 2050년까지 운송 부문을 포함한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공개했다. 또한 지난해 11월에 방한한 체코 산업통상부 페트로 메르바르(Petr Mervart) 수소특임대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수소융합얼라이언스와 현대차를 방문해 수소 활용 기반 및 수소 상용차 생태계 구축 등을 논의한 바 있으며, 이는 이번 다자간 협약 추진의 계기가 됐다. 현대차는 이번 협력사업이 체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에서 수소모빌리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체코에 다양한 수소 사업모델 개발이 촉진돼 수소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가 엔트리 SUV ‘캐스퍼’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상품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캐스퍼 커스터마이징 상품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차박, 카크닉 등 즐거운 아웃도어 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개인 취향과 상황에 맞게 차량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테마별 제품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9월 캐스퍼 출시에 맞춰 론칭했던 캠핑·차박 테마 상품 ‘여행의 정석(for Camping)’에 이어 이날 여행의 정석(for Picnic) 상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여행의 정석(for Picnic) 상품은 캐스퍼와 함께 새롭고 알찬 레저를 경험할 수 있는 △보냉백 및 피크닉 매트 △동승석 시트백 보드 트레이에 연결할 수 있는 동승석 시트백 보드 테이블 △사이드 어닝과 크로스바 등으로 구성됐다. 캐스퍼는 1·2열이 모두 앞으로 접히는 풀 폴딩(Full-folding) 시트를 적용해 높은 공간 활용성을 자랑하는 만큼 언제 어디서든 피크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여행의 정석(for Picnic) 상품에 대한 고객 니즈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캐스퍼 밴 고객 중 대형견을 기르는 펫팸족의 슬기로운 카 라이프를 지원하기 위한 ‘펫 프렌들리(with VAN)’ 상품도 출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약 15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30%에 달한다. 현대차는 지난해 9월 중·소형견 펫팸족을 위한 테마 상품 펫 프렌들리를 선보인 데 이어 최근 출시한 캐스퍼 밴에 특화한 펫 프렌들리(with VAN) 테마 상품을 새롭게 내놨다. 펫 프렌들리(with VAN) 상품은 캐스퍼 밴 고객이 반려견과 함께 훨씬 편리하고 안전한 카 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대형견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는 반려견 사다리 △주행 중 안전한 차량 거주를 보조할 넉넉한 사이즈의 켄넬 △청결한 차량 관리를 지원하는 파티션 보드 방오 커버 △2열 방오 매트로 구성됐다. 한편 현대차는 개성을 중요시하는 MZ세대 고객의 니즈를 적극 반영한 개인 맞춤형 액세서리 제작 서비스 ‘현대 바이 미(Hyundai by Me)’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현대 바이 미(Hyundai by Me) 서비스를 통해 고객은 다양하고 개성 넘치는 일러스트 디자인을 선택하고 직접 원하는 문구를 입력해 나만의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현대차 전 차종 공용△데칼 및 캐스퍼 전용 △그릴 뱃지 △휠캡 △리어 도어 뱃지, 팰리세이드 전용 △렌즈 교환식 도어 스팟 램프, 아반떼·투싼 등 일부 차종의 △휠캡에 적용할 수 있다. 현대차는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와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고려해 캐스퍼를 구매하는 고객이 더욱더 편리하고 다채로운 카 라이프를 누릴 수 있도록 테마 및 현대 바이 미(Hyundai by Me) 관련 상품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의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The Bigger Crash’가 20일부터 24일(현지 시각)까지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 최고 권위의 광고 축제 ‘2022 칸 국제 광고제(Cannes Lions International Festival of Creativity)’에서 은사자상(Silver Lions, 은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앞서 5월에는 유럽을 대표하는 광고·디자인 어워드 ‘D&AD (Design and Art Direction)’에서 포토그래피(Photography) 부문 그래파이트 펜슬(Graphite pencil, 은상)을 수상했으며, 미국 ‘원쇼 광고제(The One Show Award)’ 7개 부문 본상과 독일 ‘ADC 광고제(The Art Directors Club)’ 2개 부문 은상과 동상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캠페인 The Bigger Crash는 2005년 북미 남동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 2013년 아시아에서 발생한 태풍 제비 등 실제 자연재해로 인해 파괴된 도시에서 강풍으로 뒤집힌 자동차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카트리나 280km/h’, ‘제비 285km/h’ 등 자동차의 속도가 아닌 자연재해 당시의 풍속을 활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증가로 더욱 거세지고 있는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전달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친환경 움직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칸 국제 광고제에서 지면광고(Print) 및 옥외광고(Outdoor) 부문 은사자상을 수상했으며, 디자인(Design) 부문에서는 입선에 해당하는 쇼트리스트에 선정되는 등 총 3개 부문에서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수상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현대차의 움직임에 고객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진정성 있게 소통한 결과이며, 앞으로도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비전 ‘인류를 위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하에 친환경 모빌리티 방향성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1954년에 시작된 칸 국제 광고제는 광고계 최대 규모의 행사 중 하나로, 올해는 전 세계 90여 개국에서 약 2만5000개가 넘는 작품이 출품됐다.
삼성전자가 국내 최대 캠핑 축제 ‘2022 고아웃 캠프’에 참가해 캠핑 필수 아이템으로 떠오르는 포터블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의 브랜드 체험존 ‘The FreeDOME(더 프리돔)'을 운영한다. 원형 돔으로 규모감 있게 꾸며진 더 프리스타일의 더 프리돔 부스에서는 나만의 스크린부터 블루투스·인공지능(AI) 스피커, 무드등, 인테리어 월까지 언제 어디서나 다재다능한 기능으로 캠핑을 더 신나게 해주는 올라운드 플레이어 더 프리스타일을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다. 삼성 더 프리스타일 더 프리돔 체험존은 △캠핑 필수 아이템 더 프리스타일의 디스플레이 공간 ‘스타일존’ △핑크 샌드 비치에서의 서핑 캠핑, 오로라 쏟아지는 숲속 캠핑, 환상 불꽃놀이와 함께하는 카라반 캠핑 등 더 프리스타일로 연출한 포토존 △편안한 휴식과 제품 대여 To-Go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존’ △오토 스크린 세팅 기능으로 즐기는 코스튬 플레이 ’게임존'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캠퍼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830g의 가벼운 무게와 한 손에 들어오는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야외에서도 부담 없는 더 프리스타일은 180°까지 자유자재로 회전해 텐트나 카라반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대각선 길이 254㎝(100형)의 대화면과 FHD 고화질을 자랑한다. 특히 ‘오토 키스톤’, ‘오토 레벨링’, ‘오토 포커싱’ 등 화면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오토 스크린 세팅’ 기능이 강점이며, 별도 스피커 연결 없이도 공간을 꽉 채우는 360 사운드가 몰입감을 더한다.
삼성전자 차량용 픽셀(PixCell) LED가 21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광융합 O2O 엑스포’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20년 인간중심조명(HCL·Human Centric Lighting) 기술로 대통령상을 받은 데 이어, 이번 PixCell LED 수상으로 다시 한번 차세대 LED 분야 기술 리더십을 확인했다. PixCell LED는 삼성전자의 첨단 LED 광원 기술이 집약된 차량용 LED 모듈로, 최근 완성차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에 맞춘 전기 자동차, 자율주행차 등에 적용되는 지능형 헤드램프(ADB·Adaptive Driving Beam)용 광원이다. 삼성전자 PixCell LED는 더욱더 정교한 지능형 헤드램프 기능을 구현해 전방에서 운행하는 차량이나 반대 차선에서 마주 오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맞춰 정밀하게 헤드램프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1개의 세그먼트* 역할을 하는 개별 LED를 기판에 실장 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100여개 세그먼트를 하나의 LED로 집적해 일반적인 지능형 헤드램프용 LED 모듈 대비 발광 면적을 1/16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헤드램프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PixCell LED를 사용할 때 광학 시스템과 방열 구조 등을 단순하게 설계하고, 헤드램프 크기를 30~50%까지 줄일 수 있다. 또 각 세그먼트에 격벽 구조를 적용해 세그먼트 사이의 빛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기존 LED 대비 300:1의 명암비를 구현해 LED 광원 집적 기술에 대한 차별성을 강화했다. 삼성전자 LED사업팀 전략마케팅팀 맹경무 상무는 “삼성전자의 차량용 LED 기술의 우수성은 물론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향한 삼성전자의 혁신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PixCell LED를 중심으로 미래 자동차에 걸맞은 고품질 광원 솔루션을 제공하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지속 가능성을 위한 혁신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세그먼트(Segment)는 1개의 LED 칩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발광 소자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포스트 오미크론 이후 일반의료체계로의 전환에 따라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인 정신건강증진시설의 대응을 기존의 중수본,국립정신병원 중심에서 현장,지자체 중심으로 전환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지난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앞으로는 시도와 시군구의 감염취약시설 전담팀에서 정신건강증진시설에 대한 감염 예방과 확진자 대응을 전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 시도는 관할 지역 내 정신질환자 치료병상과 이송자원을 사전에 확보해 재유행에 대비한 대응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각 시설에서의 감염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100병상 병원급 의료기관 233곳에 대해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 설치를 강제토록 하고 교육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정신건강증진시설에서 코로나19로 확진된 정신질환자와 종사자는 25일 기준으로 누적 3만 7874명이다. 이는 전체 확진자의 0.2%에 해당한다. 특히 정신건강증진시설은 대표적 3밀 기관으로 감염에 취약하고 확진자 발생 시 연쇄 집단감염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보다 세심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앞으로 공공기관도 32만여 명의 인물정보를 등재한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DB)'에 접속해 필요한 인재를 직접 찾을 수 있게 된다. 인사혁신처는 다음 달부터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 직접 검색 서비스'를 350개의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일부 공공기관(130개)에서만 가능했던 직접 검색을 전 공공기관으로 확대해 사용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채용시험 면접위원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공공기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인사처는 설명했다.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는 정부 주요직위에 우수 인재를 임명,위촉할 수 있도록 공직후보자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민간의 우수 인재가 공공부문에 활발히 진출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 등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국가기관,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 인사수요가 발생하면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적격 후보자를 발굴하거나 각급 기관이 직접 국가인재를 검색할 수 있다. 현재 경제,교육,과학기술,정보통신,보건복지 등 30개 분야의 전문가로 등록된 32만여 명을 개방형 직위, 행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