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KPR 대학생 PR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종합 커뮤니케이션그룹 KPR(사장 김주호)이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생 PR 아이디어 경연 '제21회 KPR 대학생 PR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 

 

전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2023년 11월 20일부터 2024년 1월 15일까지 주어진 14개 과제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 그에 따른 응모 작품을 제출하면 된다. 공모 부문은 △PR 기획(기업 PR, 마케팅 PR, 브랜드 PR, 디지털 PR, 공공 PR, IMC, CSR 등) △영상 콘텐츠(브랜드 PR 영상, SNS 콘텐츠 등) 2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참가팀 구성은 최대 4명까지 가능하며, 1차 심사를 통과한 출품작은 이후 2회에 걸쳐 참가 팀의 현장 프레젠테이션 방식으로 심사가 진행된다. 참가 신청 및 출품작 제출은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다. 

 

대상 수상팀에는 상패와 5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대상 수상팀 중 한 명에게는 KPR에서 6개월간 인턴 근무 혜택이 주어진다. 최우수상(2개 팀),우수상(2개 팀),장려상(4개 팀)에는 각각 200만원,100만원,50만원, 한국PR협회장상을 수상한 1개 팀에는 100만원이 수여되는 등 총 14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제21회 공모전은 한국레노버가 협찬하며, 한국PR협회(KPRA)와 한국PR기업협회(KPRCA)가 후원한다. 

 

KPR 대학생 PR 아이디어 공모전은 2003년 KPR이 국내 PR 기업 최초로 국제PR협회(IPRA) 골든어워드 수상을 계기로 대학생들의 PR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국내 PR 산업 발전 도모를 위해 산학 협동 차원에서 기획됐다. 2004년 제1회 공모전을 시작으로 제21회 대회까지 매년 이어지고 있어 가장 오랜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명실상부한 국내 대표 PR 공모전으로 자리매김했다. 

 

공모전 참가자들은 현직 PR 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PR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학창 시절에 한 번쯤 도전해 봐야 하는 공모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20회 공모전에서는 전국 83개 대학에서 총 205개 팀이 참가해 열띤 기량을 겨뤘다. 

 

KPR은 국내에서 PR 산업이 불모지였던 1989년 PR이 '사회의 선(善)을 추구하고 공익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는 창업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됐다.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PR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컬래버레이션, IMC, 영상 제작, ESG 컨설팅, 콘텐츠 플랫폼 운영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흐름에 최적화된 전략 컨설팅과 탁월한 실행력으로 고객 맞춤형 전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대회 홈페이지(http://www.kpr.co.kr/praward) 혹은 행사 사무국으로 문의 가능하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거래내역 간편전송'서비스가 화제!, “사장님들 입소문 났다”... 7월 한 달은 사장님들에게 특별히 더 바쁜 달이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직접 거래 은행을 방문하거나 인터넷뱅킹, 은행 모바일 앱에서 금융거래내역을 발급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은행 업무가 디지털화됐지만, 많게는 연간 10만여 건에 달하는 거래내역을 발급받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요즘 사장님들 사이에서는 하나은행의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가 화제다.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면 하나은행의 입출금 계좌, 대출, 퇴직연금은 물론, 타 금융기관의 금융거래내역을 모바일 앱에서 한 번에 발급 받을 수 있다. 특히, 발급 받은 거래내역은 이메일로 바로 전송할 수 있어 사장님들의 수고를 덜었다. 실제로 지난 2023년 서비스 출시 이후 약 10만 명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했으며, 이용 건수는 17만 건을 넘어서는 등 손님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더불어 세금신고 업무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세무사들 사이에서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하나은행의 ‘거래내역 간편전송’ 서비스는 한 번에 발급받을 수 있는 거래내역 건수에 제한이 없다. 거래내역이 수만 건에 달하더라도 신청 한 번으로 자료를 받아볼 수 있어 기존 금융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