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가 업계 최초로 편의점 발상지인 미국에 진출한다. CU를 운영하고 있는 BGF리테일이 ‘BGF리테일 하와이 법인’을 설립하고 하와이 현지 기업 ‘WKF Inc.(이하 WKF)’’의 편의점 전문 신설 법인인 ‘CU Hawaii LLC’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이하 MFC)을 체결했다. 이번 MFC 체결식은 BGF리테일 민승배 대표, CU Hawaii LLC 로버트 쿠리수(Robert Kurisu)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MFC는 현지 기업에 브랜드 사용 권한 및 매장 개설, 사업 운영권 등을 부여하고 로열티를 수취하는 방식이다. BGF리테일은 이번 하와이 진출을 통해 국내 편의점 업계에서 가장 먼저 미국 시장에 진출하며 글로벌 기업으로서 위상을 더욱 높이게 됐다. 특히, 한국 기업이 편의점 산업의 시초 국가로 역진출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세계 최초의 편의점은 1927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탄생했다. 1989년 국내에 편의점이 처음 등장한 이후 36년 만에 아시아를 넘어 K편의점의 세계화를 실현하게 된 것이다. BGF리테일의 하와이 파트너사인 WKF를 포함한 파트너 소유 회사들은 현지에서 부동산 개발 및 투자 사업을 비롯해 출판과 미
에너지 기반 의료 및 에스테틱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자 시스람 메디컬(Sisram Medical)의 자회사인 알마(Alma)가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에서 개최된 제8회 알마 아카데미(Alma Academy)에서 차세대 이미징 플랫폼 Alma IQ를 공식 출시했다. 이번 행사에는 46개국에서 약 400명의 의사 및 파트너들이 참석해, 지금까지 개최된 알마 글로벌 교육 행사 중 가장 규모가 큰 이벤트 중 하나로 기록됐다. Alma IQ 는 독점적인 라이브 시연을 통해 전 세계 참가자들에게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 시술자와 환자가 에스테틱 치료에 접근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플랫폼이다 . 이 시스템은 피부 표면 아래 숨겨진 정보를 고화질로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 미용 전문가들이 더욱 정밀하고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 Alma IQ 의 핵심은 글로벌 피부 시각화 분야의 선두 기업 실턴 (Sylton) 과 공동 개발한 다중 모드 이미징 시스템이다 . 이 시스템은 10 초 이내에 고해상도 이미지를 캡처하며 , True UV, 교차 편광 (Cross Polarized), 평행 편광 (Parallel Polarized), 그리고 독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디저트 전문 브랜드 로로멜로와 손잡고 지난 15일 업계 최초로 선보인 ‘아이스브륄레 바닐라’가 하루 최대 매출 1억 2천만 원을 달성했다. 이는 GS25 아이스크림 상품 가운데 역대 최고 일 매출로 단숨에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 1위에도 올랐다. 아이스브륄레는 프리미엄 디저트 크림브륄레를 시원한 아이스크림 형태로 개발해낸 상품이다. 국내엔 일본 여행 필수템으로 처음 소개됐는데, 최근 유명 연예인을 통해 다시 한번 조명 받으며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GS25는 SNS를 검색 플랫폼을 활용하고, 여기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을 소비하는 트렌드가 확산되자, SNS 인기템을 업계 선도적으로 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아이스브륄레가 월드콘 등을 제치고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 1위에 올라 올해 GS25 여름 매출 성수기 쾌조의 스타트를 끊었다. GS25에서 출시한 로로멜로 아이스브륄레 바닐라는 진하고 시원한 크림 위에 화이트 초콜릿을 올린 뒤, 캐러멜 라이징 한 설탕으로 마무리해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조합이 특징이다. 가격은 4,500원이다. 22일 출시된 아이스브륄레 2탄 로로멜
편의점이 새로운 생활 뷰티 플랫폼으로의 성장과 입지를 다지기 위해 관련 시장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편의점 세븐일레븐(대표 김홍철)은 편의점 채널의 핵심 경쟁력인 접근성과 대중성을 앞세워 차별화된 소용량 가성비 화장품을 시리즈로 선보이고 있다. 특히 일상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기초 뷰티 제품을 중심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세븐일레븐은 지난 9일 초가성비 ‘무기자차선크림50ml’을 단독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21일 메디필 1회용 스틱형 파우치 선크림 2종(각4입)과 모공리프팅샷세럼(4입)을 선보였다. 무기자차선크림은 4천9백원, 메디필 1회용 스틱형 파우치 화장품은 3천원으로 모두 극가성비를 자랑한다. 이어 세븐일레븐은 화장품 연구개발 전문업체 한국콜마그룹 계열사 HK.inno.N의 뷰티 브랜드 ‘비원츠’와 손잡고 가성비 기초화장품 4종을 오는 28일 단독 차별화 상품으로 추가 출시한다. 세븐일레븐이 비원츠와 선보이는 상품은 ‘PDRN 필오프마스크팩(4입)’, ‘글루타치온 미세자극 세럼(6입)’, '시카 콜라겐 리프팅 크림(6입)’, 그리고 ‘시카 콜라겐 카밍 패드(10매)’다. ‘PDRN 필오프마스크팩’은 모공 특허 콤플렉
SK매직(대표이사 김완성)이 사단법인 온기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부금 전달과 함께 손편지 답장 봉사활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한다고 23일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22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SK매직 노원지국에서 열렸으며, 박미영 SK매직 중부4총국장, 조현식 온기 대표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날 SK매직은 온기우편함 운영 활성화를 위한 기부금 600만원을 전달하고, 전국 단위 손편지 답장 봉사활동을 연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온기우편함’ 손편지 답장 봉사활동은 사단법인 온기가 운영하는 비영리 정서돌봄 프로그램이다. 전국 85개 지점에 설치된 우편함을 통해 익명으로 접수된 고민 편지에 자원봉사자들이 손글씨로 용기와 위로를 전하는 봉사활동으로 이웃들의 정서적 안정과 우울감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SK매직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전국 24개 지역, 총국장과 지국장으로 구성된 조직장 총 240명과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 방문관리 서비스를 담당하는 MC(Magic Care)로 구성된 봉사단이 복지시설 퇴소 후, 독립을 준비하는 자립준비청년을 비롯한 다양한 이웃에게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협약식에
글로벌 가전 및 소비자 전자제품 분야 선도기업인 하이센스(Hisense)가 23일 구글(Google)의 새로운 홈 API(Home API)를 자사의 커넥트라이프(ConnectLife) 앱에 통합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사용자들은 올가을부터 타사 스마트 홈 기기를 커넥트라이프 생태계에 연결해 쓸 수 있게 됐다. 이번 결정으로 커넥트라이프 앱 사용자는 하이센스의 TV, 냉장고, 에어컨뿐만 아니라 인기 있는 다른 다양한 타사 스마트 홈 기기까지 원활하게 연결해 제어할 수 있어, 더욱 통합된 스마트 홈 경험을 누릴 수 있다. 이번 발표는 구글 주최로 5월 20~21일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인 '구글 I/O 2025'에서 구글의 새 스마트 홈 발표와 동시에 이루어졌다. 이 자리에서 하이센스는 구글의 새로운 홈 API의 출시 파트너로 선정됐다. 이번 통합은 구글 홈 API가 스마트 홈 기기용 통합 표준인 매터(Matter) 기반 기기, Works with Google Home 인증 기기, 구글 네스트(Google Nest) 기기 등 7억 5000만 대 이상의 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한다. 확장된 연결성으로 기기의 호환성과 첨단 자동화 기능이 강화됨으로써
인체 공학적 업무 환경 분야를 선도하는 콜브룩 보슨 손더슨(Colebrook Bosson Saunders, CBS)가 오는 6월 3일부터 5일까지 열리는 오가텍 도쿄 2025(ORGATEC TOKYO 2025, 일본 도쿄 사무 가구 및 기자재 박람회)에서 새롭게 재출시된 Flo 모니터 암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4월에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이전 세대가 아시아에서 거둔 성공에 힘입어, CBS는 박람회 방문객들에게 현대적인 스크린에 최적화된 플로의 첨단 인체공학과 업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CBS는 부스 S1-F09에 위치하며, 이번 행사의 유일한 실버 스폰서로 참가한다. 여러 동아시아 국가가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면서 노동 인구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으며, 근로자 복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일본은 고령 인구가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거나 더 오래 근무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고 아사히 신문(The Asahi Shimbun)이 전했다. 세실 황(Cecil Huang) CBS APMEA 마케팅 총괄 매니저는 "업무 환경과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인간 중심 디자인은 우
전 세계 인구 구성이 변화하면서, 고령화는 제품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제137회 중국 수출입박람회(캔톤 페어, Canton Fair)에서 중국 기업들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고령층의 안전, 자립, 존엄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술 기반의 고령층 중심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눈에 띄는 참가업체인 에이아이큐브 케어(Guangzhou SELAQUA Sanitary Ware Co., Ltd., Aicube Care)는 고령층 사용자를 위한 모듈식 욕실 시스템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2010년 해당 분야에 진출한 이래, 이 회사는 고급 접근성 디자인에 주력해 왔다. 여기에는 빌트인 의자가 있는 온도 조절 샤워 패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라믹 세면대, U자형 안전바, 지지용 팔걸이와 등받이가 있는 벽걸이 샤워 시트 등이 포함된다. 케이티 펑(Katie Peng) 에이아이큐브 케어 영업 관리자는 "고령화가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르면서 많은 바이어가 이 분야의 수요 증가를 인식하고 있다"며 "기존에 관심도 없던 바이어들도 이제 우리 솔루션을 본 뒤 적극적으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고령층을 겨냥한 혁신은 캔톤 페어 최초의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