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나비엔이 공정거래위원회가 주관하는 '2025 대리점 동행기업'으로 선정됐다. 분야는 ‘온·오프라인 상생 노력’으로, 지난해 업계 최초로 선정된 데 이어 2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경동나비엔은 ‘온라인 파트너’ 제도와 다양한 교육 지원 등을 통해 대리점과의 동반 성장을 실천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상생을 확대할 계획이다. ‘대리점 동행기업’이란 대리점과의 상생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2021년 도입한 제도이다. 신청일 기준 최근 1년 간 대리점법 위반이 없고 표준대리점계약서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자 중 ▲계약기간 또는 계약갱신요구권 보장기간 5년 이상 설정 ▲대리점 인테리어·리뉴얼 비용 70% 이상 지원 ▲금리·임대료 지원 등 금융·자금 지원 제도 운영 ▲온·오프라인 상생모델 모범적 활용 ▲대리점 분야 협약이행평가 최우수·우수 기업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기업을 심사해 선정한다. 경동나비엔은 지속가능한 동반 성장을 실천하는 ‘온라인 파트너’ 제도와 온라인 교육 등의 노력을 인정받아 ‘대리점 동행기업’으로 선정됐다. ‘온라인 파트너’ 제도란, 경동나비엔의 콜센터와 온라인 플랫폼 ‘나비엔 하우스’로 접수된 제품 상담을 지역 관할 대리점에 이관해 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중인 SK텔레콤 정예팀이 대학생, AI 연구자들과 함께한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워크숍은 크래프톤이 서울 성수동에 마련한 SKT 정예팀 전용 공간 ‘워룸(War Room)’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SK텔레콤 정예팀(이하 SKT 정예팀)이 AI 연구자, 대학생 등 다양한 관계자들에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소개하고, 국내 AI 기술 발전을 위한 상호 의견을 교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참여한 SKT, 크래프톤, 포티투닷(42dot),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서울대학교, KAIST 등 8개 기관은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의 최신 기술과 응용 사례를 공유하며 국내 AI 생태계의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발표 세션에서는 ▲대규모 모델 학습(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선행 연구(서울대·KAIST) ▲AI 반도체(리벨리온) ▲현업 응용 사례(크래프톤)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대한민국 AI 국가대표, SKT 컨소시엄이 만드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주제로 국내에서는 이례적
넷마블(대표 김병규)은 모바일 MMORPG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개발사 넷마블에프앤씨) 출시 7주년 업데이트를 앞두고 스페셜 쿠폰 예약 페이지를 오픈했다고 18일 밝혔다. 넷마블은 오는 25일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 출시 7주년을 기념해 오리지널 클래스 '비도술사'를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비도술사는 날카로운 '비도'를 주 무기로 삼아 원거리에서 적을 압박하고, 독과 은신을 활용해 상대를 제압하는 암살형 전투 스타일의 직업이다. 이 직업은 빠르게 이동하는 '유영'과 함께 비도를 투척할 수 있어 근접해 오는 적을 따돌리며 동시에 공격하거나, 멀어지는 적을 추적하며 끊임없이 압박할 수 있다. 스페셜 쿠폰 예약에 참여하면 '7주년 대축제 선물상자'를 100% 증정한다. '7주년 대축제 선물상자'에는 100% 고대 손상 복구 쿠폰, 수호신령, 무공패, 역왕서 등 풍성한 혜택이 주어진다. 또한, 넷마블은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 서비스 이후 처음으로 '붉은 신석' 페이백 이벤트를 오는 25일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해당 이벤트는 7주년 업데이트와 함께 오픈할 신규 서버에서만 진행된다. 넷마블은
11월 18일, GAC가 시드니에서 브랜드 및 신차 발표 행사를 개최하고, 호주 현지 전략인 'GAC: 호주 신뢰 증진(GAC: Growing Australian Confidence)'을 공식적으로 공개했다. 이는 글로벌 'One GAC 2.0' 전략의 현지화 실행 방안이다. 이는 GAC의 글로벌 전략인 'One GAC 2.0'을 현지화한 것으로, GAC는 일련의 장기적인 전략 투자를 통해 호주 시장에 깊숙이 통합하고자 한다. GAC는 '호주에서, 호주를 위해, 호주에 봉사하며, 호주에 기여'한다는 목표 아래 저탄소, 친환경, 지능형 모빌리티를 제공하여 더 나은 삶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이 이정표는 GAC가 호주와 광범위한 남태평양 지역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새 장을 열었음을 의미한다. 이번 행사의 주요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세 가지 전략적 글로벌 신차의 동시 공개였다. '스페이셔스 인텔리전트 SUV, AION V', '다목적 럭셔리 MPV, M8 PHEV'(호주 최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MPV), '스타일리시 인텔리전트 SUV, EMZOOM'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 모델은 순수 전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등 다양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며,
지난 일요일 베이징에서 열린 싱크탱크 컨퍼런스에서 중국 10대 메가시티 거버넌스 사례가 공개되었다. 혁신적이고 우수한 메가시티 거버넌스 실제 사례와 방법, 실무를 보급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번 사례들은 PKU 도시 거버넌스 연구소(PKU Institute of Urban Governance)와 칭화대학교 디지털 정부 거버넌스 연구소(Digital Government and Governance of Tsinghua University), 신화 디지털 정부 연구센터(Xinhua Research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 이렇게 세 싱크탱크가 함께 선정했다. 베이징에서는 스마트 지방정부 서비스 플랫폼 '징반'(Jingban)이 현재 16개 행정구 전체에 서비스되고 있어 서비스 수요, 지역사회 거버넌스, 공공 편의 서비스, 기타 핵심 정부 서비스 시나리오 접수 시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이 스마트 '집사'형 플랫폼은 600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합, 디지털 거버넌스를 통해 도시 발전의 질을 드높이고 있다. 기술 지원은 JD 클라우드가 맡고 있다. 중국 남서부 산악 도시 충칭에서는 각급 지방 정부 부처들을 관장하는 도시 디지털 운영 거
GMI Cloud는 NVIDIA와 협력해 총 5억 달러를 투자한 차세대 「AI 팩토리」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 시설은 NVIDIA가 추진하는 글로벌 AI 팩토리 전략에서 아시아 지역의 핵심 거점으로 평가된다. 이번 AI 팩토리는 기업이 대규모 AI 모델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학습•추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미국의 최신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각국이 데이터와 연산 자원의 주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핵심 시스템은 NVIDIA GPU 7,000개, 96개 고밀도 랙, 초당 약 200만 토큰 처리 성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초거대 모델 추론, 파인튜닝, 멀티모달 AI 등 다양한 워크로드를 지원한다. 여러 파트너사도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한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Trend Micro: 디지털 트윈 기반 사이버보안 강화 WiAdvance: AI 스마트 제조 및 컴퓨터 비전 적용 CSI: 5G•AIoT•데이터센터 운영을 포함한 통합 ICT 서비스 VAST Data: 대규모 GPU 클러스터용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 GMI Cloud는 이번 구축이 아시아 지역에서 AI 활용이 실험 단계에서 실제 도입 단계로 전환되는 주요 계기가
30여 명의 국제 전문가가 11월 25일과 26일 양일간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Smart City Expo Doha)에서 만나, 중동 지역 도시의 효율성, 지속가능성, 그리고 거주 적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피라 데 바르셀로나(Fira de Barcelona)와 카타르 정보통신기술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MCIT)가 주최하는 이 행사에서는 AI가 교통, 설계, 도시 관리 같은 분야에 미칠 파급 효과를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통신망 구축을 넘어: 첨단 기술 중심의 번영하는 미래로 가는 지름길인 디지털 솔루션(Beyond Connectivity: A digital solutions pathway to a smarter, thriving future)'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2025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SCE Doha 2025)에는 5가지 주제(혁신적인 디지털 스마트 기술, 파격적인 기술, 미래의 디지털 경제와 인재, 커넥티드 인프라(Connected Infrastructure), 미래의 정부)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주목할
중국석유화학집단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HKG: 0386, 이하 '시노펙')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수에서 실시한 PBST(polybutylene succinate-co-terephthalate) 생분해성 멀칭 필름(mulch film) 시범 운영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시노펙이 100% 독자적으로 개발해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PBST 멀칭 필름은 기존 폴리에틸렌(PE) 멀칭 필름을 사용한 대조구 밭과 비교했을 때 거의 동등한 면화 수확량을 보여줬다. 또한 필름의 분해 성능과 보습•보온 능력 모두 설계 목표를 충족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안정적인 면화 수확량을 유지하면서 잔류 필름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실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태적•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고, 친환경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주요 면화 생산지 중 하나인 신장은 토양 수분을 보존하고 토양 온도를 높이기 위해 PE 멀칭 필름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이 필름은 자연 분해가 어려워 잔류 플라스틱 필름이 심각하게 축적되는 결과를 야기했다. PBAT 등 다른 완전 생분해성 필름은 자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