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판매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45001’ 인증을 획득했다. ‘ISO 45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안전보건 관리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산업재해와 질병을 줄이고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갖춘 기업에 부여된다. 삼성전자판매는 전담 조직 운영과 지속적인 안전 문화 확산 활동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안전보건경영 환경을 구축해 왔다.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사업장 내 위험 요인을 사전에 예측·예방하며 지속 가능 경영을 한층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삼성전자판매는 △정기 안전 점검 △자연재해 대응 매뉴얼 수립 △연 2회 비상 대피 훈련 등 고객과 임직원의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또 임직원을 대상으로 △금연·체지방 제로 캠페인 △계절별 건강 정보 제공 △안마의자 및 발마사지기 지원 △임직원 자립형 회전 대차 지원 등을 실시하며 건강증진과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도 힘쓰고 있다. 삼성전자판매 피플팀 김영천 상무는 “이번 ISO 45001 인증 획득은 임직원과 고객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삼성전자판매의 의지를 상징한다”며 “
제네시스가 브랜드 대표 럭셔리 SUV GV80·GV80 쿠페의 연식변경 모델 ‘2026 GV80’ 및 ‘2026 GV80 쿠페’(이하 2026 GV80·GV80 쿠페)를 10일 출시했다. 2026 GV80·GV80 쿠페는 사양 최적화를 통해 판매 가격을 낮춰 고객에게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하고, 내·외장 디자인을 개선해 고급스러움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제네시스는 2026 GV80·GV80 쿠페의 기본 사양을 고객 선호 사양 위주로 재구성하면서 판매 가격을 각각 50만원 인하해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럭셔리한 이동 경험을 제공한다(※ 가솔린 2.5 터보, 2WD, 개별소비세 3.5% 기준).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I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II 등 인기 사양을 조합한 ‘파퓰러 패키지’에 고객 선호도가 높은 ‘빌트인 캠 패키지’를 추가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다. 제네시스는 2026 GV80·GV80 쿠페의 후면에 제네시스(GENESIS) 레터링을 제외한 모든 레터링을 삭제해 한층 깔끔하고 모던한 후면 디자인을 구현했다. 이는 제네시스가 추구하는 가치와 럭셔리 경험, 디자인에 대한 자신감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추후 출
LG화학은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장질환 환자 대상 고인산혈증 치료제 ‘네폭실’의 최신 학술 정보를 공유하는 ‘가이드(Guide Using LG’s Original Products for CKD Treatment)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네폭실(Nephoxil, 성분; ferric citrate hydrate)은 철분 기반의 비칼슘계 인결합제로 인 감소 및 부가적 철분 보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효용성 높은 치료제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국내 신장내과 전문의들이 참여해 검토 중인 ‘2025 KDIGO(국제신장학회) 빈혈 치료 가이드라인’ 주요 개정 사항과 치료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네폭실 임상 결과 기반의 효과적인 고인산혈증 치료 솔루션이 제시됐다. KDIGO는 혈액투석 환자들의 철분 매개 변수 모니터링 주기를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개정하며, 만성 신장질환(5단계) 혈액투석 환자에게 정맥주사(IV) 제형의 철분제 사용을 적극 권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LG화학은 철분 기반의 비칼슘계 인결합제인 네폭실은 새로 개정된 치료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제품이라며, 혈청 인 조절 효과에 부가적인 철분 보충 효과까지 더해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 산하 과학 지식 관리 전문 기관인 CAS가 새로운 지식재산권 검색 솔루션인 CAS IP Finder (STN™ 제작)를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CAS의 대표적인 과학 지식재산(IP) 검색 플랫폼인 CAS STNext®의 신뢰성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과학 및 특허 데이터베이스 전반에 걸친 전문가 수준의 정밀 검색 기능을 한층 확장했다. CAS STNext는 전 세계 데이터베이스, 과학자 큐레이션 콘텐츠, 특허 정보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며, 정밀 검색 및 분석 도구를 통해 지식재산권 전문가들을 지원한다. CAS IP Finder™는 AI 강화 기능과 확장된 콘텐츠를 도입해 더 넓은 사용자층이 정밀 검색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 솔루션은 2025년 가을에 공식 출시되며, 추가 기능이 단계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지식 재산권 분야에서 기업의 진화하는 지식재산 검색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CAS IP Finder는 조직이 더 빠르게 인사이트를 확보하고, 리스크를 줄이며, 보다 확신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전 세계 특허 출원 건수가 계속 증가하고, 과학
독일 작센주가 세미콘 타이완(Semicon Taiwan)에서 유럽 최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클러스터인 '실리콘작센(Silicon Saxony)'을 소개하고, 첨단 제조와 연구의 프리미엄 거점으로서의 강점을 내세워 기업과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홍보에 나섰다. 세계 최대 대만 반도체 제조업체인 TSMC의 첫 유럽 공장이 들어서면서, 작센주는 고도의 혁신적인 생태계를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서 북미, 아시아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글로벌 반도체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이 입지를 더욱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 타이베이에서 열린 이번 박람회에서 디르크 판터(Dirk Panter) 작센주 경제부 장관는 작센의 장점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드레스덴에서 진행 중인 독일 최대 규모의 건설 프로젝트와 수십 년간의 경험, 대규모 투자를 효율적으로 집행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우리는 안정성, 신뢰성, 혁신성, 그리고 국제 파트너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러한 이유로 더 많은 기업과 공급업체들이 우리의 성공 스토리에 함께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설명했다. 토마스 혼(Thomas Horn) 작센주 투자진흥청(Saxony Trade & Invest C
"글로벌 연결성을 위한 지능형 산업(Intelligent Industry for Global Connectivity)"을 주제로 한 '2025 글로벌 산업 인터넷 통합 발전 교류 대회(2025 Exchange Conference on Global Industrial Internet Integrated Development)'가 지난 9월 6일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 선양에서 열렸다. 이날 선양에서 개막한 '2025 글로벌 산업 인터넷 컨퍼런스(2025 Global Industrial Internet Conference)'의 메인 포럼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11개국 정부 및 기업 대표 300여 명이 참석해 산업 인터넷의 새로운 발전 동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글로벌 산업 경제의 고품질 발전 증진을 도모했다. 브라질 통신부의 헤르마노 테르시우스(Hermano Tercius) 통신국장은 "글로벌 연결성은 단순히 기술 문제가 아니다"라며 "기술 외에도 디지털화를 위한 글로벌 지능 구축의 지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차세대 산업 혁명의 성과를 인류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루세로 카레온(Lucero Carreón) 멕시코 대외무역·투자·기술
산업용 장비 및 에너지 장비 제조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인 상하이 일렉트릭(Shanghai Electric)(홍콩 증권거래소 상장 번호: 2727,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장 번호: 601727)이 2025년 6월 30일로 끝나는 상반기에 대한 중간 실적 결과를 발표했다. 이 그룹은 전년 대비 8.9% 증가한 543억 300만 위안(미화 76억 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고, 지배기업 주주지분 순이익도 7.3% 급증했다. 이러한 호성적은 상하이 일렉트릭이 신흥 시장에서 전략적으로 성장하고 국제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힌 데 힘입은 결과이다. 상하이 일렉트릭의 3대 핵심 사업 부문인 에너지 장비, 산업용 장비, 통합 서비스에서 운영상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 덕분에 매출 구성과 수주 포트폴리오 모두 구조적으로 호전되었다. 에너지 장비 부문에서는 전년 대비 22.2% 증가한 301억 1600만 위안(미화 42억 1800만 달러)의 영업수익이 발생했다. 산업용 장비 부문은 전년 동기와 거의 비슷한 185억 9800만 위안(미화 26억 4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통합 서비스 부문은 3.8% 증가한 82억 6000만 위안(미화 11억 5600만 달러)의 매출을
현대로템이 철도 분야의 디지털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 현대로템은 미국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인 윈드리버와 협력해 WRSD(Wind River Studio Developer)를 활용한 철도 부문의 소프트웨어(SW) 개발 환경을 구축한다고 9일 밝혔다. WRSD는 가상화된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최신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부터 다양한 개발 도구를 활용해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 개발 기간 단축 등을 가능하게 한다. 현대로템은 이번 협력으로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을 철도차량 개발 분야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철도 시스템의 설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적기 납품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DV는 차량 기능을 하드웨어(HW)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개발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개발 환경이 철도차량의 주요 장치나 개발 담당자별로 제각각 구성돼 산발적으로 개발이 이뤄졌다. 여기에 실물 장치에 직접 적용해 일일이 시험이 이뤄지는 등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됐다. 하지만 WRSD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자동화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