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다이나믹스 365 비즈니스 센트럴(Microsoft Dynamics 365 Business Central)을 기반으로 한 전사적 자산 관리(EAM) 솔루션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인 베로소포트(Verosoft)가 오늘 단순히 질문에 답하는 수준을 넘어 정비 작업을 직접 진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최초의 에이전틱 AI 생태계인 모비멘토 AI(mobiMentor AI)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오늘날 정비 팀은 날로 심화하는 인력 부족 현상, 갈수록 복잡해지는 장비, 그리고 더 적은 자원으로 장비 가동 시간을 극대화해야 하는 압박에 시달린다. 기술자가 여전히 일과 중 많은 시간을 행정 작업에 허비하는 실정인데, 모비멘토 AI가 산업 부문에 사용자를 대신해 행동하는 AI라는 획기적인 기술 개념을 제시한다. 알렉시스 터전(Alexis Turgeon) 베로소포트 혁신 담당 이사는 "기술자가 장비 수리라는 본연의 업무보다 복잡한 시스템 사용법과 씨름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낭비한다"라고 지적하고, "모비멘토 AI는 작업 현장에서 파트너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기술자가 '이 작업 완료 처리해 줘'나 '저 펌프에 대한 작업 요청서 작성해 줘'라고 말하면, 모비멘토
슈퍼마이크로 컴퓨터(Super Micro Computer, Inc., SMCI)가 데이터 센터 빌딩 블록 솔루션(Data Center Building Block Solutions® , DCBBS)을 활용하는 완벽한 턴키 솔루션을 출시한다. 이 솔루션은 최신 세대의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 플랫폼을 탑재한 엔비디아 인증 시스템(NVIDIA-Certified Systems™)을 기반으로 하고,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데 효과적이다. 업계 최고를 자랑하는 슈퍼마이크로의 AI 최적형 시스템 포트폴리오, 엔비디아 소프트웨어 스택, 엔비디아 스펙트럼-X 이더넷(NVIDIA Spectrum-X Ethernet)으로 구성된 토털 솔루션이 AI 개념 구상부터 본격 가동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의 능률을 극대화한다. 슈퍼마이크로의 AI 팩토리(AI Factory) 솔루션은 엔비디아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NVIDIA Enterprise Reference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하며, 슈퍼마이크로의 철저한 사전 검증과 테스트를 마친 상태로 출고되므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손쉽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인공지능/머신러닝(AI/ML),
중동, 아프리카, 남아시아 지역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금융 센터인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 DIFC)가 금융의 미래(Future of Finance) 6차 보고서를 통해 기성 금융 중심지의 위기 속에서 신흥 금융 도시의 치솟는 경쟁력을 분석했다. DIFC가 연구 파트너인 아시아 하우스(Asia House)와 공동으로 발간한 6차 보고서에서는 신흥 도시가 혁신적인 방식을 동원해 글로벌 자본, 인재, 기업을 유치함으로써 뉴욕, 런던, 홍콩 같은 기성 금융 중심지를 어떻게 앞지르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번 보고서에서는 두바이, 마이애미, 밀라노, 상파울루, 선전 같은 차세대 금융 도시의 등장을 역설하면서 세계 금융 역학 관계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차세대 금융 도시는 도시 발전 현황을 종합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GFCI(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같은 국제 지수와 GPCI(Global Power City Index), IMD 스마트 시티 지수(IMD Smart City Index), 리어스 베어 부유층 라이프스타일 보고서(Julius Baer Wealth
LG유플러스가 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한 2025년 ESG 평가에서 5년 연속 종합 A(우수)등급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는 기업의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분야의 리스크와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발표하는 지표다. LG유플러스는 5년 연속 종합 A(우수)등급을 받음으로써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구축해 온 노력을 인정받게 됐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올해 환경 분야에서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한 ‘A+(매우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 경영 등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점을 높게 인정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LG유플러스는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TNFD(자연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가이드라인에 따른 생물종 다양성 리스크 평가를 시행하고, 이와 관련된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고효율 네트워크 장비 도입 등 활동을 전개하여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대전 R&D센터 내에 1천kw급 자가 태양광 발전 설비를 적정 운영함으로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고 있다. 나아가 자가 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중인 SK텔레콤 정예팀이 대학생, AI 연구자들과 함께한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워크숍은 크래프톤이 서울 성수동에 마련한 SKT 정예팀 전용 공간 ‘워룸(War Room)’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SK텔레콤 정예팀(이하 SKT 정예팀)이 AI 연구자, 대학생 등 다양한 관계자들에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소개하고, 국내 AI 기술 발전을 위한 상호 의견을 교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참여한 SKT, 크래프톤, 포티투닷(42dot),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서울대학교, KAIST 등 8개 기관은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의 최신 기술과 응용 사례를 공유하며 국내 AI 생태계의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발표 세션에서는 ▲대규모 모델 학습(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선행 연구(서울대·KAIST) ▲AI 반도체(리벨리온) ▲현업 응용 사례(크래프톤)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대한민국 AI 국가대표, SKT 컨소시엄이 만드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주제로 국내에서는 이례적
지난 일요일 베이징에서 열린 싱크탱크 컨퍼런스에서 중국 10대 메가시티 거버넌스 사례가 공개되었다. 혁신적이고 우수한 메가시티 거버넌스 실제 사례와 방법, 실무를 보급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번 사례들은 PKU 도시 거버넌스 연구소(PKU Institute of Urban Governance)와 칭화대학교 디지털 정부 거버넌스 연구소(Digital Government and Governance of Tsinghua University), 신화 디지털 정부 연구센터(Xinhua Research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 이렇게 세 싱크탱크가 함께 선정했다. 베이징에서는 스마트 지방정부 서비스 플랫폼 '징반'(Jingban)이 현재 16개 행정구 전체에 서비스되고 있어 서비스 수요, 지역사회 거버넌스, 공공 편의 서비스, 기타 핵심 정부 서비스 시나리오 접수 시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이 스마트 '집사'형 플랫폼은 600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합, 디지털 거버넌스를 통해 도시 발전의 질을 드높이고 있다. 기술 지원은 JD 클라우드가 맡고 있다. 중국 남서부 산악 도시 충칭에서는 각급 지방 정부 부처들을 관장하는 도시 디지털 운영 거
GMI Cloud는 NVIDIA와 협력해 총 5억 달러를 투자한 차세대 「AI 팩토리」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 시설은 NVIDIA가 추진하는 글로벌 AI 팩토리 전략에서 아시아 지역의 핵심 거점으로 평가된다. 이번 AI 팩토리는 기업이 대규모 AI 모델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학습•추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미국의 최신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각국이 데이터와 연산 자원의 주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핵심 시스템은 NVIDIA GPU 7,000개, 96개 고밀도 랙, 초당 약 200만 토큰 처리 성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초거대 모델 추론, 파인튜닝, 멀티모달 AI 등 다양한 워크로드를 지원한다. 여러 파트너사도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한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Trend Micro: 디지털 트윈 기반 사이버보안 강화 WiAdvance: AI 스마트 제조 및 컴퓨터 비전 적용 CSI: 5G•AIoT•데이터센터 운영을 포함한 통합 ICT 서비스 VAST Data: 대규모 GPU 클러스터용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 GMI Cloud는 이번 구축이 아시아 지역에서 AI 활용이 실험 단계에서 실제 도입 단계로 전환되는 주요 계기가
30여 명의 국제 전문가가 11월 25일과 26일 양일간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Smart City Expo Doha)에서 만나, 중동 지역 도시의 효율성, 지속가능성, 그리고 거주 적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피라 데 바르셀로나(Fira de Barcelona)와 카타르 정보통신기술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MCIT)가 주최하는 이 행사에서는 AI가 교통, 설계, 도시 관리 같은 분야에 미칠 파급 효과를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통신망 구축을 넘어: 첨단 기술 중심의 번영하는 미래로 가는 지름길인 디지털 솔루션(Beyond Connectivity: A digital solutions pathway to a smarter, thriving future)'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2025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SCE Doha 2025)에는 5가지 주제(혁신적인 디지털 스마트 기술, 파격적인 기술, 미래의 디지털 경제와 인재, 커넥티드 인프라(Connected Infrastructure), 미래의 정부)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주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