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세아베스틸지주, 특수강 제품 탄소발자국 검증 국제표준 ‘ISO 14067’ 획득

특수강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측정∙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세아베스틸지주(대표이사 이태성·김수호)가 국제표준 ‘ISO 14607’ 탄소발자국 산정 솔루션 검증을 획득하며 본격적인 탄소중립 이행에 나선다.

 

세아베스틸지주는 국제 공인 인증기관 로이드인증원(LRQA)로부터 자회사 세아베스틸·세아창원특수강이 생산하는 특수강 전 제품에 대해 국제표준 ‘ISO 14067’ 탄소발자국 산정 솔루션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ISO 14067’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로 측정하기 위해 제정한 국제표준으로, 이번 세아베스틸지주의 ‘ISO 14067’ 탄소발자국 검증은 세아베스틸·세아창원특수강이 국내 사업장에 구축한 탄소배출량 측정·관리 솔루션의 신뢰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실제로, 세아베스틸지주는 각 사업장에서 생산하는 길이 등 규격에 따른 특수강 전 제품의 표준화된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분류 및 정제하는 작업을 지난 2년 간 진행해왔으며, 이를 통해 원자재 조달부터 전체 생산공정, 출하, 운송, 최종 리사이클 등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구축했다.

세아베스틸지주는 유럽 및 미주 등 글로벌 부품사와의 공급계약 체결 및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는 가운데, 특수강 제품의 탄소발자국 검증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신뢰도 높은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탄소중립 활동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세아베스틸지주는 국제 기준인 온실가스 프로토콜(GHG Protocol)에 맞춰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직·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스코프 1, 2), 사업장 외부 간접배출(스코프 3) 등 단계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서도 로이드인증원의 제 3자 검증을 완료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정합성 또한 높일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서울시, 현대엔지니어링과 '북서울꿈의숲'에 꿀벌 서식지 조성 서울시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2월 12일 현대엔지니어링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꿀벌 서식지 및 밀원 정원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과 엄홍석 현대엔지니어링 커뮤니케이션실장이 참석해 꿀벌 서식지 조성과 밀원정원 조성 등을 통해 꿀벌 개체수를 늘리고 수분 매개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도심 공원의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뜻을 모았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시 소유 공원에 꿀벌 서식지를 제공하고, 현대엔지니어링은 ▴꿀벌 서식지 및 밀원정원 조성 ▴시민 대상 체험 및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위한 직업 훈련을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꿀벌은 생태계 건강을 가늠하는 척도이다. 지난 2022년 4월 국내에서 약 78억 마리가 폐사했다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발표는 이러한 꿀벌 감소 현상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꿀벌 개체 수 감소는 도심 녹지의 과실수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쳐 꿀벌 서식지 보전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꿀벌 살리기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의 ESG 경영 실천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됐지만, 최적의 꿀벌 서식 장소 마련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