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금융회사 ‘지역 재투자’ 평가…농협·기업은행 ‘최우수’ 등급

평가항목 개편해 코로나19 금융지원 노력·지역경제 상황 반영

 

[이슈투데이=김호겸 기자] 지역 예금을 받는 금융사가 지역경제 성장을 지원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도입한 지역재투자 평가에서 농협은행과 기업은행이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지역재투자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평가는 15개 은행과 12개 대형은행이 대상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시,도에서 지역 내 자금공급, 중소기업 지원, 서민대출 지원, 점포 수 등 인프라 등의 항목의 점수를 매긴다.

시중은행이 각 지역에서 최우수 등급을 취득한 수는 농협은행(7개), 기업은행(5개), 신한,국민은행(3개) 순이었고, 지방은행은 본점 소재지,인근 지역에서 우수한 자금공급 실적, 금융인프라 등으로 모두 '최우수' 또는 '우수' 등급을 받았다.

또 저축은행이 각 지역에서 최우수 등급을 취득한 수는 SBI저축은행(4개), 오케이,JT친애,페퍼저축은행(1개) 순이었다.

지역 예금을 수취하는 금융회사가 지역경제 성장을 지원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지역재투자 평가제도'를 지난해 도입해 그해 8월 첫 평가를 실시했으며, 올해에는 지난해 실적에 대해 제2차 지역재투자 평가를 시행했다.

제2차 평가에서는 은행권의 의견 수렴 및 시뮬레이션 등을 거쳐 지표를 개선하고 평가위원회도 확대해 구성했다.

코로나19 금융지원 노력 반영, 은행권역 점포폐쇄 감점 신설 등 지역경제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평가항목을 개편했다. 또한, 평가 내실화를 위해 민간위원장(이화여대 원숙연 교수)을 선임하고 행안부 정부위원도 추가했다.

은행권 지역재투자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지역자금 공급은 지난해 기준 평가지역에 대한 은행의 여신규모는 늘었으며, 기타 평가지표는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평가지역 여신증가율은 9.8%로 2019년(5.7%) 대비 상승했고, 전체 여신(수도권+비수도권) 중 평가지역(비수도권)에 대한 여신 비중은 35.7%이며, 2019년(36.1%) 대비 0.4%p 하락했다.

평가지역의 수신액 대비 여신액 비율(예대율)은 127.4%로 수도권(92.4%)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2019년말 126.1%)했고, 평가지역 총생산비중(48.0%)과 여신비중의 차이는 12.2%p이며, 2019년 대비 0.1%p 확대됐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의 평가지역 기업대출액 중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액 비중은 95.9% 수준이며, 2019년(95.4%) 대비 0.5%p 높아졌다. 은행의 평가지역에 대한 중소기업 대출액 증가율은 11.1%이다.

또한, 은행의 평가지역 가계대출액 대비 서민대출액 비중은 0.60% 수준으로, 2019년(0.65%) 대비 0.05%p 하락했고, 은행의 평가지역에 대한 서민대출액 증가율은 0.6%이다.

아울러, 은행의 평가지역에 대한 인구수(1만명) 대비 점포수는 1.12개로 수도권(1.33개)에 비해 적은 수준이며, 2019년(평가지역 1.18개) 대비 0.06개가 감소했다.(수도권 1.40개→1.33개)

금융위원회는 평가지표도 지역경제 상황 등을 감안하고 평가 타당성도 제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신한은행,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 개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3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재 ‘신한 학이재 인천’에서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는 신한은행이 인천대학교 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와 함께 금융권 디지털 포용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선발한 인천대학교 재학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등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해 지역사회공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금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2기는 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를 목표로 ▲무인점포 및 모바일 금융 앱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지역사회 디지털배움터 ‘보조강사’ 역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한은행 직원들과 함께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도 공동 개발한다. 주요 내용은 ▲‘신한 SOL뱅크’ 앱 사용법 ▲‘지켜요’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법 ▲금융감독원의 ‘안심차단서비스’ 이용법 등으로 구성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천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금융소비자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겠다”며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