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트나이트(BrightNight)의 아시아·태평양(APAC) 사업부가 8월 6일부로 별도의 독립 법인으로 분사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성장의 집중도를 높이고, 지역 내 더 심도 있는 교류를 위한 새로운 장이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이번 결정으로 APAC 사업부는 시장을 확장하고 지역 내 고객과 투자자에게 장기적 가치를 제공하는 데 더욱 매진할 예정이다. 성장 가속 위한 전략적 전환 인도, 호주, 필리핀, 싱가포르, 네덜란드에 프로젝트와 팀을 보유한 APAC 사업부는 야나라(Yanara)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면서 전력회사, 일반 기업, 지역 사회 수요에 맞춰 공급 조절이 가능한 안정적인 전력 솔루션을 제공하는 APAC 지역 전문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로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마틴 헤르만(Martin Hermann) 브라이트나이트 및 야나라 창립자는 "야나라의 출범은 우리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여정에서 자연스러운 진화를 상징한다"면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우리는 이 지역 전반에서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다. 이런 상황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솔루션을 대규모로 제공할 수 있는 전용 플랫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야나라는 늘어나고
글로벌 신에너지 산업의 저명한 리서치 기관인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loomberg New Energy Finance, BNEF)가 오늘 '2025년 3분기 BNEF 에너지저장장치 티어 1 리스트(BNEF Energy Storage Tier 1 List 3Q 2025)'를 발표했다. 포티스엣지(PotisEdge)는 BNEF 티어 1 에너지저장장치 제조업체로 5회 연속 이름을 올렸다. 이러한 지속적인 선정은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포티스엣지의 지속 가능한 혁신, 글로벌 시장 성과, 업계 리더십을 반영한다. BNEF는 글로벌 신에너지 분야의 권위 있는 제삼자 리서치 및 데이터 기관으로서, 엄격한 공급업체 등급 시스템으로 투명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BNEF의 티어 1 평가는 기술 혁신, 시장 성과, 재무 안정성,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포함한 엄격한 프로젝트 금융지원 타당성을 기준으로 한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저장 분야의 입증된 선도 기업 이번 획기적인 성과는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포티스엣지의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할 뿐만 아니라, 주거용, 상업용/산업용(C&I) 및 유틸리티 규모 부문에 걸쳐 고성능의 확장 가능하고 금융 지원도 가능한 에
산이(SANY)가 6월 말 짐바브웨에서 1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공식 착공했다. 중국 광산 회사가 추진 중인 이 프로젝트는 짐바브웨에서 산이의 첫 태양광 프로젝트이자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혁신적인 'EP+F'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한 사례다. 이 모델은 공학, 조달, 금융을 통합한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금융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준다. 이 프로젝트는 산이가 자체 개발한 710 고효율 태양광 모듈을 채택한다. 모듈은 첨단 인버터 및 고강도 지지대와 결합되어 설치된다. 총 설치 용량이 10MW인 이 프로젝트는 2025년 말까지 전력망에 연결될 예정이다. 가동이 시작되면 연간 1800만 kWh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짐바브웨의 전력 부족 문제를 크게 완화하고, 지역 산업과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지역 내 저탄소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이 실리콘 에너지(SANY Silicon Energy)의 첫 번째 'EP+F' 비즈니스 모델인 이 프로젝트는 미래 국제 재생에너지 협력에 필요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 모델은 고객의 재정 부담을 크게 줄여줌으로써 신흥 시장에서 청정에너지 채택과 실현 가능성
2025 세계 인공지능 콘퍼런스(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Conference, WAIC)가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인공지능 시대의 글로벌 연대"를 주제로 상하이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에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한 중국남방전망(China Southern Power Grid, CSG)은 'AI를 통한 전력 역량 강화'를 테마로 전시회를 열고 전력 분야 AI 기반 혁신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하였다. 또 중국 AI 산업 혁신 전시회(China AI Industry Innovation Exhibition)에서 각종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는 한편 에너지 및 전력 시스템에 AI를 적용하고 산업 생태계의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최신 사업도 소개하였다. CSG는 최근 몇 년 사이 신기술, 특히 인공 지능을 도입하여 여러 가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기술 기반 강화, 다양한 실증 시나리오 배포, 전력 부문 내 AI 생태계 구축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신에너지 시스템 및 신전력 시스템 구축과 업계의 저탄소 및 환경 책임 경영 전환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향후에도 디지털 차이나(Digital China) 이니셔티브, 종합 에너지
지속 가능한 수처리 기술을 선도하는 하이드로립(Hydroleap)이 최근 투자 라운드에서 미화 475만 달러를 추가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의 투자 플랫폼인 SG 그로스 캐피털(SG Growth Capital) 산하 EDBI를 비롯해 엔터프라이즈 싱가포르(Enterprise Singapore), 안타레스 벤처스(Antares Ventures), 워 헙(Woh Hup) 등 전략적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이로써 하이드로립의 누적 투자 유치액은 미화 1200만 달러에 근접했다. 하이드로립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에 대한 솔루션 공급을 확대하고 핵심 시장에 팀을 구성할 계획이다. 또한 제약, 반도체, 농식품 등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기술이 필수적인 고성장 산업을 대상으로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첨단 수처리 솔루션의 개발 및 상용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투자는 하이드로립의 기술이 지닌 경제적•환경적 잠재력을 인정한 전략적 파트너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EDBI, 안타레스 벤처스, 워 헙 등은 산업 현장에서 화학 약품 없이 폐수를 재활용하고 에너지 소비를 10%
미국에 본사를 둔 청정수소 기술 선도기업인 **Utility Global("Utility")**과 세계 최대 철강 생산업체 중 하나인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은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주이스지포라(Juiz de Fora)에 위치한 아르셀로미탈 제철소에서 청정수소 생산 프로젝트 개발을 공동 추진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Utility의 독자적 수소생산 시스템인 **H2Gen®**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기본설계(FEED, Front-End Engineering and Design) 단계에 착수하였습니다. Utility가 자체 개발한 특허 기술인 H2Gen® 반응기는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저열량 가스를 전기 사용 없이 고순도 수소와 고농도 이산화탄소 스트림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로, 수소는 천연가스를 대체하여 제강 공정 내에 재순환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고순도의 CO₂ 스트림은 후속 탄소포집•저장(CCS) 비용을 절감시키는 데 기여함으로써 철강산업의 탈탄소화에 효과적인 해법을 제시합니다. Utility는 본 프로젝트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초기 엔지니어링 단계를 주도하며, 아르셀로미탈 브라질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고
글로벌 에너지 저장 솔루션 선도 기업인 더사이 배터리(Desay Battery)가 7월 23일 중국 창사에서 대량 생산 출시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차세대 선제적 안전 배터리 셀 및 시스템 제품, UPS 2.0, 데이터 센터 에너지 통합(전원-그리드-부하-저장) 솔루션이 공개되면서 고성능 및 안전제일 기술을 향한 더사이의 핵심적인 이정표가 세워졌다. 또한 지역 에너지 구조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일련의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도 함께 이뤄졌다. 이번 행사의 핵심은 오랫동안 혁신과 성장의 기반이 된 더사이 배터리의 안전에 대한 새로운 약속이었다. 레온 청(Leon Cheng) 사장은 제품 설계 및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안전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더사이는 디지털화, 모듈화, 지능형 제조 분야의 발전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신뢰성과 비용 효율성을 강화하고 있다. 청 사장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대한 더사이의 약속은 고품질의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더사이 배터리는 자사의 혁신적인 안전 배터리 셀과 시스템을 통해 안전성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다. 첨단 스마트 제조 및 엄격한 품질 관
닷새간 진행된 제3회 중국 국제 공급망 박람회(China International Supply Chain Expo, CISCE)가 베이징에서 막을 내렸다. 미래를 함께 여는 세계의 연결(Connecting the World for a Shared Future)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박람회는 글로벌 산업 및 공급망 전반에 걸쳐 접근성을 넓히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려는 중국의 지속적인 의지를 보여줬다. CISCE는 출범 이후 꾸준히 글로벌 영향력과 이해관계자 참여를 확대해 왔다. 올해 박람회에는 중국을 포함해 74개 국가 및 지역에서 총 651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이 중 해외 참가업체 비율은 역대 최고치인 35%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 기업의 참여가 전년 대비 15% 증가하며 해외 참가업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참가업체의 65% 이상은 애플(Apple)•테슬라(Tesla)•엔비디아(NVIDIA) 등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또는 업계 선두 기업으로 나타났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는 사흘 연속 행사장을 찾았으며, 중국 공급망을 "기적"이라고 평가했다. 제3회 CISCE에서는 전년 대비 67% 증가한 152개의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