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민항일전쟁과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을 기념하여 다큐멘터리 시리즈 '잊힌 동맹(Unsung Ally)'이 9월 9일 CGTN과 여러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첫 방송된다. 각 에피소드는 일본 침략에 맞선 중국 인민의 확고한 저항이 지닌 역사적 의미와 유산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다. 80년 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났을 때, 이는 선이 악을 이긴 승리로 기념됐다. 하지만 서방 관점의 역사 서술은 위대한 희생으로 이 역사적 승리를 확보하는 데 이바지한 동맹국, 즉 중국의 중요한 기여를 일관되게 축소해 왔다. '잊힌 동맹'은 마침내 그 역사를 바로잡으려 한다. 에미상을 수상한 CGTN 진행자 마이크 월터(Mike Walter)가 하얼빈의 중국 침략 일본군 731부대 죄증진열관(Museum of Evidence of War Crimes by Japanese Army Unit 731)과 난징대학살 희생자기념관(Memorial Hall of the Victims in Nanjing Massacre by Japanese Invaders)을 방문해 일본군이 저지른 잔혹 행위를 폭로한다. 1931년부터 중국은 일본의 침략에 맞서 14년에
선도적인 에너지 혁신 기업 시그에너지(Sigenergy)가 27일 중국 장쑤성 난퉁에 위치한 스마트 제조 허브의 상량식(上樑式)을 개최하며 회사의 글로벌 제조 확장에 중대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제 올해 초 착공한 본 프로젝트가 생산을 향한 또 다른 중요한 단계에 도달함에 따라 시설은 실제 운영 준비를 한층 더 갖추게 됐다. 시그에너지의 핵심 생산 기지 중 하나인 난퉁 스마트 제조 허브(Nantong Smart Manufacturing Hub)는 회사의 글로벌화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시설은 인버터, 주거용 및 상업•산업용(C&I) 에너지 저장 시스템(PACK), 에너지 게이트웨이의 대규모 공급을 지원할 예정이다. 완공 시 시설은 연간 30만 대 이상의 생산 능력을 갖춰, 늘어나는 전 세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강력한 제조 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설의 규모는 약 7.67헥타르(11만 5000m²)로, 약 7000만 달러가 투자됐다. 현대식 생산 작업장, 연구개발(R&D) 및 설계 센터, 창고, 종합 사무 건물, 지원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로 설계된 난퉁 허브는 글로벌 모범 사례에 맞게 생산,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JD 사이클링 페스티벌(JD Cycling Festival )' 에서 은회색 드롭바 접이식 자전거 DAHON P18 Ultra가 번개처럼 빠른 속도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 자전거의 우승으로 '휴대성과 속도가 공존할 수 없다'는 업계의 인식을 뒤집었다. 이 결정적인 승리는 사이클링 애호가들 사이에서 접이식 자전거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속도 측면서 다혼(DAHON)의 독점 자전거 기술인 DAHON-V가 주목을 받았다. DAHON-V 자전거 기술: 연구실에서 트랙으로 이어진 혁신적인 도약 DAHON P18 Ultra의 우승 비결은 바로 DAHON-V 기술 세트에 있다. 이는 대부분 자전거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한계를 효과적으로 보완하고, 모든 자전거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설계 및 테스트 기술•방법론이다. 특히, 델텍(DELTECH) 케이블과 슈퍼 다운튜브(Super Downtube) 같은 특허 기술을 적용해, 접이식 자전거가 처음으로 로드바이크에 필적하는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했다. 이동의 자유 실현: 일상적인 출퇴근부터 가벼운 레이싱까지 DAHON P18에 탑재된 선구적인 '원바이크, 듀얼 모드' 설
제12차 지구 온난화 대책 혁신 포럼(Annual Meeting of the Innovation for Cool Earth Forum, ICEF) 연례 회의가 일본 경제산업성(METI)과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주관으로 10월 8일(수)과 9일(목) 양일간 일본 웨스틴 도쿄에서 개최된다. 2014년부터 매년 산업통상자원부와 NEDO 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온라인으로도 중계되는 이번 ICEF 연례 회의에는 전 세계 업계, 학계, 정부를 대표하는 인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에 핵심이 되는 '혁신'을 촉진하게 된다. 올해로 열두번째를 맞는 이번 회의에서는 "녹색 혁명(GX)과 보안을 위한 혁신"이라는 대주제 아래 약 10개 세션이 진행될 예정이다. ■ 포럼 개요 《회의명》 지구 온난화 대책 혁신 포럼(ICEF2025) 《주관》 산업통상자원부(METI),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일자》 2025년 10월 8일(수)~9일(목) 《장소》 일본 도쿄 웨스틴 도쿄(주소: 1-4-1 Mita, Meguro-ku, Tokyo) (온라인 세션과 병행 예정) 《언어》 영어(일-영 동시 통역) 《참가비》 무료(사전 등록 필요) 《공식 홈페이지
글로벌 청정에너지 선도기업 블루에티(BLUETTI)가 아프리카 전역에서 지속 가능한 청정에너지 보급을 가속하기 위해 유엔 인간정주계획(유엔 해비타트)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케냐에서 올해로 4년째 진행 중인 '아프리카 가정에 빛을 밝히다(LAAF)'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이 프로그램은 도시 및 도시 주변 지역의 소외된 공동체 500가구와 2000여 명의 주민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중 다수는 여성 가장이 이끄는 가정이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블루에티는 케냐의 대표 정책 포럼인 '2025 지방분권 콘퍼런스(2025 Devolution Conference)'(8월 12~15일)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블루에티는 청정하고 경제적인 에너지 솔루션이 주택, 도시 회복력, 지능형 도시 발전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선보였다. 이번 콘퍼런스는 정당, 기관, 케냐 정부가 공동의 의지를 갖고 청정에너지가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미래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양측은 키수무 카운티의 급성장하는 도시 주변 지역인 무호로니, 나이로비 중심부의 비공식 정착촌인 엑스 그로곤과 마타레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블루에티는 교육과
상해전기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설계, 계획, 조달, 건설부터 장기적인 운영 및 유지보수에 이르는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했다. 이 통합 전략은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동시에 글로벌 태양광 기술 혁신을 진전시켰다. 상해전기는 정책적•기술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프랑스 EDF와 독특한 듀얼 트랙(dual-track) 협약을 체결해 오만의 까다로운 기술 요건을 충족시켰다. 이 과정에서 중국 엔지니어팀이 태양광 발전소 설계를 담당하고, 오만팀이 변전소 건설을 주도하는 '분할 팀' 방식을 적용했다. 이 접근법은 국제 표준과 현지 규정 간 충돌을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혁신적인 프로젝트 관리로 건설 공정을 11개의 직접 관리 구역으로 나누어 공사 기간을 22% 단축했다. 실시간 안전 보고 앱을 통해 924건의 안전 위험을 해결했으며, 400만 시간 무사고를 달성했다. 또한 동적 스케줄링으로 대형 장비 사용 효율을 90%까지 끌어올렸고, 상호 교육을 받은 작업자들의 현장 간 이동성을 높였다. 계획 단계에서는 59개 프로젝트 구역에서 경쟁 팀과 순회 점검 방식을 결합한 인력 전략을 채택했다. 설계팀은 변전소 건설 현장에 상주하며 감독 효율을 30%
오만 그린 수소 국가 전략의 주관 기관인 하이드롬(Hydrom)이 현재 진행 중인 제3차 그린 수소 경매를 통해 선정될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재정 인센티브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올해 초 하이드롬이 실시한 시장 조사와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 역학에 대한 대응으로, 세계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투자 준비가 완비된 수소 생태계 중 하나라는 오만의 입지를 재확인하는 것이다. 새로운 인센티브에는 개발 단계에서 토지 임대료 90% 감면, 생산 초기 단계에서 기본 로열티 대폭 감면, 최대 10년간의 법인세 면제가 포함된다. 또한 기본 설계(FEED) 단계에서도 추가 감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조치들은 초기 단계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지원하고, 내부 수익률을 개선하며, 최종 투자 결정까지의 진행을 가속화하도록 설계됐다. 유연성, 투명성, 확장성을 핵심으로 설계된 오만의 제3차 경매는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두쿰 지역에 최대 300km²의 토지 블록을 제공하고 최소 100km² 규모의 프로젝트 제안서를 받는다. 입찰자는 블록 내에서 프로젝트 면적을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어, 개별 개발 전략과 시장 요구 사항에 맞춘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그린 수소
대한민국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헌신하신 ‘오성 장군’ 김홍일을 기리는 제45주기 추모식이 8일 오전,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거행되었다. 사단법인 김홍일장군기념사업회(회장 김해석) 주관으로 열린 이날 추모식에는 전종호 서울지방보훈청장, 권오성 대한민국 육군협회장, 소형기 육군사관학교장, 권영우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 등 정부와 군 관련 인사를 비롯하여 서울권 13개 대학의 학군사관후보생(ROTC) 대표, 독립유관단체, 일반시민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오성 장군’ 김홍일(1898.09.23~1980.08.08)은 평안북도 용천군에서 출생하였으며, 정주 오산학교를 수석 졸업한 뒤, 1918년 9월 황해도 경신학교 교사로 재직 중 일제의 탄압을 피해 상해로 망명 후 독립운동을 펼쳤다. 1926년 10월 중국 국민혁명군에 입대하여 북벌전쟁, 중일전쟁 등에 참전했고, 특히 1931년 상하이 병공창의 병기창 주임 근무 시, 대한민국임시정부 김구 주석을 도와 한인애국단 이봉창 의사의 동경 일왕 폭탄 투척 의거(1932.01.08)와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의거(1932.04.29) 등에 폭탄을 제공하며 침체기를 겪던 독립운동에 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