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뉴욕 전시를 마친 '덕화 백자' 국제 순회 전시회가 11월 20일 미국에서 다시 개막했다. 중국 동남부 지역에 소재한 덕화현이 주최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해상 실크로드의 유명 거점인 광저우시에서 100여 점의 정교한 도자기 작품이 로스앤젤레스로 운반되어 미국 도자기 애호가들과 만났다. 미국인 관람객 프레드 슈테레(Fred Stehle)씨는 덕화 백자의 기술력과 뛰어난 아름다움에 감탄하며 "앞으로 중국 도자기 예술을 감상하고 중국 문화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느낄 기회가 더 많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약 3700년 전부터 도자기 제작이 시작된 덕화현은 당나라 후기에 이미 지역 도자기 산업이 형성되었던 것을 보여주는 중국 도자기의 상징적인 지역이다. 송나라 이후 번성했던 해상 실크로드 무역은 옥처럼 부드러운 질감과 정교한 조각 기법으로 유명한 덕화 백자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북동아프리카, 중동, 유럽, 아메리카 대륙으로 수출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오늘날 덕화현은 중국 최대의 도자기 예술품 생산 및 수출 거점 중 하나로 성장해 전 세계 190여 개국 및 지역에 도자기를 수출하고 있다. 데니스 멘차카(Denise Menchaca) 샌가브리엘 시장
마케팅 혁신을 위해 설립된 챌린저 네트워크 스태그웰(Stagwell, 나스닥: STGW)이 24일 싱가포르의 솔라리스(Solaris)에 새로운 아시아•태평양(APAC) 본사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솔라리스는 싱가포르 원 노스 혁신 지구(One North Innovation Precinct) 내에 위치한, 그린 마크 플래티넘(Green Mark Platinum) 인증을 받은 캠퍼스다. 새로운 본사는 2026년 1분기 개장 예정으로, 스태그웰의 책임 있는 성장 비전과 싱가포르 혁신 경제 속에서 회사의 목표를 반영한 현대적이고 지속가능한 업무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무엇보다 유연한 레이아웃과 기술 기반 협업 구역 및 창의성과 하이브리드 업무를 촉진하도록 설계된 커뮤니티 공간을 특징으로 한다. 이곳에선 ADK, 앨리슨(Allison), 어셈블리(Assembly), 포스만 앤 보덴포스(Forsman & Bodenfors), 해리스엑스(HarrisX), 잉크 글로벌(Ink Global), 로카리아(Locaria) 등 스태그웰의 싱가포르 에이전시들과 네트워크 내 다른 주요 브랜드들이 함께 모여 협업, 성장, 인공지능(AI) 기반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단일 공간을 창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UNESCO World Heritage Center) 라자레 엘룬두 아쏘모(Lazare Eloundou Assomo) 소장이 최근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 남동부 푸젠성 취안저우를 방문하면서, '송•원 중국의 해양 상업 무역 중심지'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 역사적 항구 도시가 다시 한번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유산 지정이 가져다준 글로벌 인지도는 취안저우의 인바운드 관광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세계유산 자원이 풍부한 이 도시는 최근 몇 년간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240시간 무비자 환승 프로그램 시행으로 취안저우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했다. 통계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2025년 상반기에 약 40만 3900건의 인바운드 관광객 수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5.5% 증가한 수치다. 해외 관광객으로부터 발생한 관광 수입은 29억 9500만 위안(미화 약 4억 2100만 달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3% 늘었다. 이 같은 수치 뒤에는 취안저우가 세계유산 지적재산(IP)를 활용해 개발한 독창적인 관광 루트가 자리하고 있다
중국과 해외 정부 대표자, 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싱크탱크 대표단이 월요일 JD.com의 글로벌 본사 캠퍼스를 방문해 기술 혁신의 생생한 현장을 눈으로 보고 느꼈다. JD.com 글로벌 본사 캠퍼스는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Beijing Economic-Technological Development Area)에 위치해 있으며 30헥타르가 넘는 대지에 연면적 2백만 제곱미터가 넘는 규모로, 기술적 정교함과 인간 중심 디자인이 결합된 현대적 사무공간이다. 대표단은 JD.com 본사 캠퍼스를 정밀하게 축소해 놓은 모형 앞에서 일정을 시작했다. JD.com 본사 클러스터와 글로벌 오피스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모형으로 JD.com의 글로벌 전략 비전과 발전 체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시설이다. 대표단은 이어서 문화 전시관으로 이동해 중관춘(Zhongguancun)의 작은 카운터에서 시작해 포춘지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이 되기까지 JD.com의 발전 과정을 명암 통합 기술과 실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살펴보았다. JD.com은 성장 과정에서 중국의 급속한 경제 발전을 함께 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시대에 혁신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적 기업으로 부상했다. 프랑스 오베
소비자 데이터 분석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이자 시전(Cision)의 계열사인 브랜드워치(Brandwatch)가 오늘 확장된 데이터 콘텐츠와 새로운 AI를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의 등장으로 마케팅팀과 홍보팀이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해석하며 이를 토대로 행동하는 방식이 재정립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술 발전의 중심에는 브랜드워치 제품군 전체에 구현된 지능형 처리 계층인 아이리스 AI(Iris AI)가 있다. 아이리스 AI는 기업이 정말 중요한 사안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며,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업계 최고의 AI 기술과 브랜드워치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모델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아이리스는 방대한 데이터에서 명쾌하고 실효성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한편, 추세의 이면에 숨은 원인을 규명하고, 투명성과 통제력을 중심으로 인간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이번 업데이트로 데이터 탐색 기능의 대화 방식과 문맥 이해력이 진일보하고 사용 방식 또한 더욱 직관적으로 변모했다. 아울러 프로세스의 자동화 수준과 효율성이 개선되고, 데이터 수집 범위도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디지털 채널과 소셜 채널로 확대되었다. 업계에서 가장
AI 콘텐츠 생성 플랫폼 '캐럿'의 운영사 패러닷(대표 장진욱)이 기업 전용 서비스 '캐럿 비즈니스'가 누적 고객사 100곳을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캐럿은 영상•이미지•음악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생성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이다. 별도의 디자인 툴이나 편집 프로그램 없이 AI와의 대화만으로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LG유플러스, 메리츠화재, CBS 등 주요 기업을 비롯해 패션•뷰티 커머스, 출판, 교육 등 다양한 업종에서 캐럿을 도입했다. 특히 부산광역시 등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정책 홍보 및 대민 소통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며 공공 분야로의 확산이 두드러지고 있다. 캐럿 비즈니스는 ▲전담 매니저 및 강사의 AI 전환(AX) 교육을 통해 AI 활용 경험이 없는 기업도 손쉽게 전문가급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캐럿 비즈니스 도입 시 챗GPT, 미드저니, 클링AI 등 주요 AI 모델을 개별 구독하는 것 대비 최대 75% 이상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장진욱 패러닷 대표는 "캐럿은 누구나 손쉽게 고품질
올해로 3회를 맞이한 사우디 국제 공예 주간 축제인 '바난(Banan)'이 공식적으로 막을 올렸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의 프린세스 누라 빈트 압둘라흐만 대학교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오만, 바레인, 요르단 등 40여 개국에서 온 400명 이상의 장인이 함께한다. 올해에는 특별히 중국이 주빈국(Guest of Honor)으로 참여하여 행사를 빛낸다. 게다가 2025년은 공예의 해(Year of Handicrafts 2025)로 지정된 해라 이번 축제의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11개 전문 위원회 중 하나인 사우디 유산위원회(Saudi Heritage Commission)가 이 행사를 주관하는데, 사우디 유산위원회는 이번 행사를 통해 공예품이 사우디 문화유산의 핵심임을 부각하고, 전 세계 저명한 장인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교류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공예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우디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장화(Zhang Hua)는 주빈국 대표 자격으로 중국관을 방문하여 '바난'에 특별 초청된 전통 예술 계승자들의 시연을 참관했다. 장인들은 대를 이어 계승해 온 전통 공예품을 전시해 많은 방문객의 이목을
대형 창작 연극 '둘리틀을 찾아서(Searching for Doolittle)'가 지난 11월 15일부터 16일까지 취저우에서 초연됐다. 이 작품은 중국 공산당 취저우시 위원회 선전부(Publicity Department of the CPC Quzhou Municipal Committee)와 중국 석탄 광업 예술단(China Coal Mine Art Troupe)이 공동 제작했다. 해당 연극은 1942년 둘리틀 공습과 당시 공군 조종사들을 구출했던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각색됐다. 1942년 4월, 제임스 H. 둘리틀(James H. Doolittle) 중령은 도쿄 공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당초 조종사들은 취저우 비행장으로 귀환할 계획이었으나, 연료 부족으로 인해 저장성의 항저우, 닝보, 취저우 및 장시성 일부 지역에 낙하산을 타고 비상 착륙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미국인 조종사 75명은 용감한 중국군과 주민들의 구조로 목숨을 건졌으며, 이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기적적인 구조 작전 중 하나로 평가된다. 연극은 이러한 용감한 구조 작전을 배경으로, 선량한 지역 농민들, 국립서남연합대학의 애국 학생들, 비행장 건설에 참여한 민간 노동자들의 시선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