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제약

호주 치과의사들, 쿤밍 글로벌 심포지엄에서 스마티의 하악 재배치 장치 기술에 찬사

임상 전문가들, S8-SGTB 장치가 치료 결과를 가속하고, 환자 만족도를 높이며, 제2급 부정교합에 대한 비침습적 해결책을 제공한다고 호평

스마티 덴티-테크놀로지(Smartee Denti-Technology)가 최근 중국 쿤밍에서 열린 글로벌 심포지엄(Global Symposium)에서 호주의 치과 전문가와 파트너를 초청해 하악 재배치 기술과 그 임상 적용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특히 제2급 골격성 부정교합을 위한 혁신적인 S8-SGTB 장치가 주목을 받았다. 호주 임상의들은 이 장치가 정형적(orthopedic) 및 치아 교정적(orthodontic)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치료 기간이 짧고 환자 친화적 디자인이라며 찬사를 보냈다.

 

 

시드니 월드타워 치과(Dental Clinic @ World Tower Sydney)의 노크스 킴(Dr. Knox Kim) 원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과거에는 성장기 환자의 제2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투명 교정 시작 전 트윈블록 장치를 사용해야 했다. 개선을 확인하는 데 최소 3개월에서 6개월이 걸렸다. 그러나 스마티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아래턱이 앞으로 밀려나는 것을 느끼기까지 단 1~2주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환자와 부모에게 전후 사진을 보여주었을 때, 이렇게 빠른 반응과 개선에 매우 만족했다."

 

블로섬 덴탈 케어(Blossom Dental Care)의 제니 J. 송(Dr. Jenny J. Song) 치과의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기존의 기능성 교정장치나 고정식 장치에 비해, Smartee GS는 하악 전진과 치아 이동을 동시에 유도하는 지능적인 설계를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치료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도 향상됐다."

 

시드니의 사브리나 리우(Dr. Sabrina Liu) 일반 치과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매우 놀라웠다. Smartee GS 투명 교정장치를 사용해 하악 재배치에 성공한 다양한 사례를 보면서, 투명 교정장치가 해낼 수 있는 치료 효과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바뀌었다. 더 많은 호주 치과 의사들이 이 기술을 익혀 환자 치료에 적용하길 바란다."

 

 

스마티 하악 재배치 기술의 핵심에는 S8-SGTB가 있다. 이는 제2급 골격성 부정교합을 치료하도록 설계된 투명하고 비침습적 장치로, 턱 수술이나 발치의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성장기 환자와 성인 환자 모두를 위해 설계된 이 장치는 정형적 기능과 치아 교정적 기능을 하나의 투명교정 장치에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하악 재배치 및 치아 배열을 동시에 유도
  • 해부학적 교합 스플린트와 고정 구조를 통해 관절 위치의 안정적 전진 유지
  • 발치 또는 수술의 필요성 최소화
  • 부피가 큰 기능성 장치에 비해 눈에 띄지 않고 편안한 디자인

 

S8-SGTB는 복잡한 골격성 교정 케이스에서도 임상적으로 효과적이면서 환자 중심의 치료 경로를 제공하려는 스마티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 기술이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