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GLG, 미국 관세가 아시아 태평양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고서 발간

 

 

300명 이상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절반이 미국 중심의 무역에서 탈피하고 있으며, 25% 이상은 가격 인상, 인력 감축 및/또는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제조 거점 이전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인 전문가 네트워크인 GLG는 오늘 미국 관세 및 무역 정책이 아시아 태평양(APAC)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미국에 수출하는 APAC 지역 기업의 경영진 300명 이상이 참여했다. 대다수 응답자는 미국의 정책으로 인해 자사의 재무성과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고, 무역 상대로서 미국에 대한 신뢰 역시 하락했으며, 관세 부담을 떠안는 대신 가격을 인상하거나 시장 점유율 감소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주,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 모든 국가의 응답자가 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추세는 인플레이션을 비롯한 다른 거시경제적 추세나 AI 같은 메가트렌드가 아닌, 무역 및 관세 정책의 불안정성이라고 답했다. 설문조사에 응한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소비재, 식품, 그리고 농산물 수출업체의 절반 이상이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고 답했다. 이런 현상은 중국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중국의 모든 산업 분야 응답자 중 65% 이상이 미국 이외의 시장을 공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이 보고서는 50개에 달하는 미국 수입업체의 인사이트와 가격 인상, 인력 감축, 기회 등에 대한 요약 정보도 함께 다루고 있다.

 

GLG의 모에 알리(Moe Ali)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책은 "경기가 끊임없이 요동치는 와중에 아시아 태평양 전역의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경영진들이 이번 설문조사에 응했으며, 이번 보고서에서는 관세의 최근 영향과 향후 예상 조치에 대한 독보적인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고 전하면서 "인사이트를 아낌없이 공유해 준 최고의 전문가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GLG의 현장 경험이 풍부한 검증된 전문가들을 활용해 고객이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뿌듯하다."라고 밝혔다.

 

GLG는 싱가포르와 호주에서 대면 행사와 웹캐스트를 진행해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볼 예정이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글로벌자산관리센터(GWM) 통해 국내 최초로 국경 없는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한다!!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지난 23일 서울 삼성동 Place1에 글로벌자산관리센터(Global Wealth Management Center)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오픈한 글로벌자산관리센터는 자산의 글로벌 재배치가 본격화되는 흐름에 맞춰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자산관리센터에는 신탁 컨설턴트,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애널리스트 등 분야별 최고의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리빙트러스트 ▲부동산&주식 ▲대체투자뿐 아니라 ▲국제조세 ▲글로벌부동산 ▲거주국 변경 등 복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한다. 특히, 해외로 이주한 손님에게는 현지 하나은행 영업점 및 제휴기관과 직접 연계하여 투자이민, 가업승계 등 현지 기반의 맞춤형 자산관리 컨설팅을 제시하고, 국내로 귀국한 역이민 손님에게는 해외체류 경험 및 해외 비즈니스 커리어를 반영한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 환리스크 관리 등 최고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하나은행은 전 세계 27개 지역 112개의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손님이 원하는 지역이라면 어디든지 최상의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이번 오픈에 맞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