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오기영 개인전 ‘제주, 시간을 입히다’ 12일부터 인사동 동덕아트갤러리서 개최

“제주의 다양한 빛깔 머금은 ‘항’ 전시, 미술관으로 휴가 떠날까요?”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자연 미술을 추구하는 오기영 중견작가의 개인전 ‘제주, 시간을 입히다’가 8월 12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덕아트갤러리 전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8월 중순 여름휴가 절정기에 열리는 데다 17일 임시공휴일까지 껴있어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자연을 느끼며 힐링할 수 있는 ‘문화 바캉스’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를 소재로 한 작품 50여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회는 그동안 외부에 노출되지 않았던 작품들로 관람객들에게 다가간다. 이를 위해 갤러리 전관에서의 전시를 준비했다. 전시는 야경·색채·항아리 등을 섹션별로 선보인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끄는 것은 ‘항’이다. ‘항’은 항아리를 뜻하는 제주어로 ‘항’은 찰흙 그대로 구운 옹기로 풋풋한 일상의 정서가 배어 있는 민중의 벗이자 어머니의 체취를 간직한 삶의 기호이기도 하다. 제주에서는 용도에 따라 쌀항(쌀독), 물항(물독), 장항(장독)이라 부른다.

제주 출신인 오 작가는 ‘항’을 석고로 떠 틀을 제작 후 석고 틀 안에 종이를 붙이면서 캐스팅을 진행했다. 이때 사용되는 한지는 펄프와 닥에 제주의 화산송이, 현무암 돌가루 등을 혼합한 것이다. 틀을 빠져나온 ‘항’은 맑고 투명한 빛깔을 내고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단단해진다.

전시장에는 다양한 한지의 빛깔을 머금은 ‘항’들이 입체적으로 배치된 채 선보인다. 관람객들이 ‘항’을 주변 공간과 함께 오감으로 느끼고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오기영의 ‘항’은 자연 미술의 과정을 밟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김유정 미술평론가는 “오기영의 작품은 모든 재료를 자연에서 얻는다”며 “종이가 그렇고 색채의 염료가 그렇고 형태도 자연미 스스로 그러함을 취한다”고 말했다.

김유정 평론가는 오기영 작가의 작품에서 나오는 ‘항’은 바깥 환경과 관계를 맺는 유기적 통일성을 지향하고 있어 주변에서는 설치미술 혹은 오브제 미술이라고도 하지만 실제는 자연 미술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

40대 중반 넘어 늦깎이로 동덕여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작가는 일주일 중 3일은 서울에, 3일은 제주에서 각각 보내며 학업과 작품 활동을 겸하고 있다. 지금까지 스물한 번의 개인전과 약 100개의 단체전에 참가하는 등 왕성한 작품 활동을 벌여왔다.

그의 작품 일부는 태평양, 갤러리 라메르, 미술은행, 이레개발, UM갤러리, 제주도립미술관, 전주 우리들 요양병원, 광주 수완병원에 소장되어 있다.


미디어

더보기
삼성물산,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 대폭 강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본격적인 무더위에 앞서 건설 현장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앞장선다. 삼성물산은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을 대폭 강화해 고용노동부의 폭염 안전 5대 수칙인‘물·그늘(바람)·휴식·보냉장구·응급조치’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그늘’확보를 위해 혹서기 휴게시설 설치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최대 인원의 20%이상이 동시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시설 자체 설치 기준을 마련해 각 휴게시설에는 냉방장치, 음용수, 포도당을 비치해 운영중이다. 또한 모든 근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제빙기를 설치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여성근로자가 많은 현장에서는 별도의 여성 휴게시설도 설치한다. 휴게시설 접근이 어려운 경우는 사전에 파악해, 모든 근로자가 ‘도보 2분 거리’에서 쉴 수 있도록 간이 휴게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모든 근로자가 폭염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즉각적인 휴식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삼성물산 현장에서는 체감온도 31℃ 이상부터 휴게시간을 부여하고 탄력적으로 작업을 조정한다. 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등을 호소하며 더위로 작업중지를 요청할 경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