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북랩,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차지하는 가까운 미래에 무엇을 하며 살 것인지 묻는 SF 소설 ‘넥스트 키워드’ 출간

가상현실을 이용한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일자리 창출하는 3인의 활약상을 풍부한 상상력으로 묘사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인공지능에 일자리를 빼앗긴 세대가 가상현실을 이용한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돌파구를 마련하는 과정을 그린 SF 소설이 출간돼 화제다.

북랩은 갈수록 대면 일자리가 줄어들고 그나마 인공지능에 자리를 내주는 가까운 미래에 3명의 청년들이 가상현실을 이용한 직접 판매, 즉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사업을 일으키는 내용의 SF 소설 '넥스트 키워드'를 출간했다.

이 책은 예기치 않은 전염병으로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지고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는 현재 시점에서 가까운 미래에 어떤 직업이 창출되고 어떤 사업이 전개될 것인지 조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저자 봉성훈 씨는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에 따라 미래에는 비대면 산업이 지금보다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에 따라 국가와 기업 모두 '디지털 역량'을 갖추는 것이 곧 성장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는 특히 네트워크 마케팅 분야에 집중해 미래 세계 시장에서도 직접 판매가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와 그 유망성을 보여 준다.

이 책은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가상 인물들의 모험을 그린 SF 소설 형식을 취하고 있다. 총 4부로 나뉘어 2028년과 2025년, 두 시점이 공존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2028년에는 우주 지도자 'M'의 눈으로 2016년부터 2025년까지 격동의 시기를 바라본다. 'M'과 인공지능 '지니'의 대화로만 진행되지만 파피루스 상인 이야기 같은 액자식 구성을 취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2025년의 이야기는 '애니', '힐튼', '윤정'이라는 'Z 세대' 주인공들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에 일자리를 빼앗긴 세대가 힘을 모아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성장담을 담았다.

이 책은 가상의 이야기지만 정치,경제 상황에 관한 저자의 면밀한 해석을 바탕으로 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에서 지급하는 기본 소득, 가상 국가를 건설하는 'G 기업', VR,AR의 상용화 등 이 책에 등장하는 미래 상황은 우리 앞에 바짝 다가온 현실과 닮았다. 그중에서도 주인공들이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직접 판매의 활로를 가상 현실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대면 일자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주인공들은 가상 현실을 통해 네트워크 마케팅으로 인적 교류를 이어 간다. 저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돌파구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거나 네트워크 마케팅에 입문하는 이들에게 이 책이 흥미로운 안내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인 봉성훈 씨는 다년간 네트워크 마케팅 전문가로 활동해 제5회 2020 대한민국 파워리더대상에서 '4차 산업혁명 혁신 리더' 부분 대상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출범한 중소기업권익보호특별 위원회 네트워크 마케팅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나를 깨우는 행복 DNA', '4차 산업혁명으로 요동치는 네트워크 마케팅'이 있다.


미디어

더보기
롯데건설, 전 현장 ‘무재해 달성 안전 릴레이’ 캠페인 시행 롯데건설은 올해 하반기 중대재해를 근절하고 무재해를 달성하고자 지난 7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에 있는 현장을 대상으로 ‘안전 릴레이’ 캠페인을 시행한다. ‘안전 릴레이’ 캠페인은 주택, 건축, 토목, 플랜트 등 롯데건설의 각 사업본부가 전국 현장을 권역별로 나눠 현장별로 특별안전활동을 실시한 후 다음 현장으로 ‘안전 바통’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롯데건설은 지난 21일 주택 현장을 시작으로, 26일 플랜트 현장이, 28일 건축 현장이 캠페인에 돌입했으며, 토목 현장도 다음달 4일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안전 바통’을 받은 현장은 첫날 현장소장 주관으로 모든 근로자가 참여하는 무재해 선포식을 시작으로, 무재해 달성을 향한 근로자들의 다짐과 염원을 담아 2주간 특별안전활동을 진행한다. 개별 활동 기간이 끝나더라도 각 현장은 계속해서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면밀히 살피고, 추락, 낙하, 전도, 붕괴 등 주요 위험요소에 대하여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혹서기 ‘집중 건강관리 기간’인 9월까지는 냉수 및 보냉장구 제공, 휴게공간 및 휴식시간 보장, 옥외작업 관리 등 온열질환 예방대책도 함께 점검하고 이행한다. 이 기간에 모든 현장을 대상으로 온열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