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너는내운명, 감 지옥 갇힌 류승수 까라면 까! 장인 불호령에 혼비백산 26일 방송

(이슈투데이) SBS ‘동상이몽 시즌2 - 너는 내 운명’ 배우 경력 21년 류승수가 ‘감 지옥’ 속에서 새로운 천직을 찾았다.



26일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SBS ‘동상이몽 시즌2 - 너는 내 운명’(이하 ‘너는 내 운명’)에서 류승수-윤혜원 부부의 ‘감 지옥 수난기’가 공개된다.



지난번 청도에서 장작 패기, 텃밭 작물 호박잎 따기 등 끊임없는 일거리로 지옥문을 경험했던 류승수가 다시 한 번 청도를 찾았다. 지난해는 한 개도 열리지 않았던 감나무가 올해는 풍년이 들어 600여 개가 넘는 ‘감 지옥’을 예고했다.



주변에 감을 나눠주고도 한참 남은 감을 처리하기 위해 류승수네는 본격 겨울맞이 ‘곶감 만들기’에 돌입했다. ‘작업 반장’ 장인의 진두지휘 하에 류승수, 윤혜원은 물론, 장모와 세 살 난 딸 나율이까지 소매를 걷어붙이며 곶감 만들기 일손을 도왔다.



하지만 끝없는 감들의 향연에 장인은 “속에서 천불이 난다, 천불이”라며 자리에서 박차고 일어나 결국 신문물을 투입했다. 신문물을 이용한 장인의 감 깎기 시범에 류승수는 “왜 진작 가져오지 않으셨어요”라며 “아버님 혼자서 다 하실 수 있겠는데요?”라며 얕은 꼼수를 부려 웃음을 자아냈다.



한편, 장인의 불호령에 신문물 앞에 앉게 된 류승수는 생각보다 능숙한 감 깎기 솜씨에 가족들은 물론 스튜디오도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는 후문. 배우 경력 21년 만에 제대로 된 천직을 찾은 류승수의 감 깎기 실력은 26일 밤 11시 10분에 방송되는 ‘동상이몽 시즌2 - 너는 내 운명’에서 공개된다.


미디어

더보기
DL건설,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 사고 관련 입장 발표 DL건설이 지난 8일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깊은 애도의 뜻과 사과를 전하며, 전사적인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DL건설은 “이번 사고로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께 깊고도 무거운 애도의 뜻을 표하고, 유가족분들께도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고 직후 모든 현장의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전사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해 안전이 확실하게 확인되기 전까지는 작업 중지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생업을 위해 출근한 근로자분들이 안전하게 일하고 퇴근할 수 있도록, 안전한 현장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DL건설은 “안전체계에 대한 확신을 이루어 내기 위해 대표이사 이하 전 임원, 팀장, 현장소장은 보직을 걸고 현장 안전을 위한 업무에 임할 것”이라며, “사즉생의 각오와 회사의 명운을 걸고 반드시 안전한 현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표이사와 CSO(최고안전책임자)를 포함한 전 임원, 팀장, 현장소장이 자발적으로 동참해 11일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한편 DL건설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우선 11일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이후 안전이 확인되어 작업이 재개된 현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