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정국 ‘Standing Next to You’, 美 빌보드 ‘핫 100’ 18주 연속 차트인…자체 신기록!

지민·정국, 빌보드 ‘글로벌 200’·‘글로벌(미국 제외)’ 쌍끌이 흥행 지속
정국 ‘Seven (feat. Latto)’, ‘제38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서 ‘송 오브 더 이어 바이 다운로드’ 수상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글로벌 팝스타' 정국이 미국 빌보드 '핫 100' 자체 최장기 차트인 신기록을 세웠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음악 전문 매체 빌보드가 발표한 최신 차트(3월 16일 자)에 따르면, 방탄소년단 정국의 솔로 앨범 'GOLDEN'의 타이틀곡 'Standing Next to You'가 메인 송차트 '핫 100'에서 전주 대비 2계단 반등한 85위에 자리했다. 

 

'Standing Next to You'는 '핫 100'(2023년 11월 18일 자)에 5위로 첫 진입한 후 18주 연속 순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정국의 개인 곡 중 '핫 100' 최장기 차트인 신기록이다. 

 

정국이 발표한 곡 중 'Standing Next to You' 다음으로 긴 기간 '핫 100'에 머문 노래는 찰리 푸스와의 협업곡 'Left and Right (Feat. Jung Kook of BTS)'(17주)이다. 그리고 지난해 7월 공개된 솔로 싱글 'Seven (feat. Latto)'(15주)이 그 뒤를 잇는다. 

 

'Standing Next to You'는 최근 10년간 '핫 100'에 진입한 한국 솔로 가수의 노래 가운데 가장 오랜 시간 순위권을 지킨 곡이기도 하다. 이처럼 'Standing Next to You'는 '2023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2023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정국에게 트로피를 안긴 'Seven'을 잇는 또 다른 메가 히트송이 됐다. 

 

'Standing Next to You'가 수록된 'GOLDEN'은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 200' 90위에 올랐다. 이 앨범 역시 18주 연속 '빌보드 200'에 랭크되면서 한국 솔로 가수의 음반 중 최장기 차트인 신기록을 자체 경신했다. 

 

'글로벌 200'과 '글로벌(미국 제외)'에는 지민과 정국의 솔로곡들이 롱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정국의 'Seven'(28위), 'Standing Next to You'(37위), '3D (feat. Jack Harlow)'(132위), 지민의 첫 솔로 앨범 'FACE'의 타이틀곡 'Like Crazy'(144위)가 '글로벌 200'에 올랐다. '글로벌(미국 제외)'에는 'Seven'(21위), 'Standing Next to You'(30위), '3D'(84위), 'Like Crazy'(112위)가 포진했다. 

 

한편, 13일 일본레코드협회가 발표한 '제38회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수상자 명단에 따르면, 정국은 'Seven'으로 '송 오브 더 이어 바이 다운로드' 아시아 부문을 수상했다. 

 

[출처] 빅히트 뮤직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