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CTD2 및 AKAP11의 희귀 기능 상실 변이, 양극성 장애 위험 높여

 

 

 

양극성 장애는 극심한 기분 변화, 조증 또는 경조증 에피소드, 우울증 에피소드가 반복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는 심각한 정신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자살률이 높아진다. 양극성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분 안정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양극성 장애의 약물 치료는 부작용이 심할 수 있어 더 나은 치료법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 15년 동안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GWAS)을 통해 양극성 장애를 포함한 정신 질환의 위험과 관련된 수백 개의 바이오마커, 즉 DNA 염기서열 변이체가 확인되는 등 상당한 연구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바이오마커는 각각 미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전체적으로 정신 의학적 특성 및 장애의 변이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유전자의 기능 상실을 유발할 것으로 예측되는 변이는 드물지만, 근본적인 생물학적 기전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희귀 기능 상실(LOF) 변이체에 포함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아이슬란드와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 분석 데이터에서 LOF 변이체의 유전자 기반 집계를 사용하여 양극성 장애에 대한 변이 부담 분석을 수행하고, 양극성 엑솜 연구를 사용하여 복제 및 추가 메타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를 통해 HECTD2 및 AKAP11 유전자의 LOF 변이가 양극성 장애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두 유전자 모두 양극성 장애와의 연관성이 이번 연구에서 처음 밝혀졌지만, AKAP11은 이전에 정신병 및 정신분열증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다.

 

AKAP11은 단백질 키나아제 A(PKA)의 조절 서브 유닛이 결합하는 앵커링 단백질을 암호화하여 PKA를 특정 세포 위치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HECTD2는 E3 유비퀴틴 리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단백질에 여러 유비퀴틴 그룹을 추가하여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되도록 표지하는 역할을 한다. AKAP11과 HECTD2의 단백질 산물은 GSK3β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GSK3β는 현재 양극성 장애 치료제 중 가장 효과적인 기분 안정제인 리튬에 의해 억제되는 단백질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양극성 장애에서 특정 세포 경로의 기능 이상이 존재함을 시사하며, 양극성 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찾는 데 있어 AKAP11 및 HECTD2의 유전자 산물을 GSK3β와 함께 유망한 표적으로 삼을 수 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