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파이론테크, 인터솔라 2025에서 새로운 C&I 에너지 저장 솔루션 공개

글로벌 에너지 저장 분야 선도기업 파이론테크(Pylontech, SHSE:688063)가 '인터솔라 유럽 2025(Intersolar Europe 2025)'에서 급성장 중인 유럽 상업•산업용(C&I) 에너지 저장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액체 냉각식 시스템을 공개했다.

 

주거용 에너지 저장 분야의 개척자이자 선두 주자인 파이론테크는 핵심 셀 기술부터 완전한 시스템 통합에 이르는 수직 통합 연구개발(R&D) 및 제조 역량을 통해 강력한 글로벌 브랜드 입지를 구축했다. 최근 몇 년간 상업•산업용 시장의 수요 증가에 부응해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를 대폭 확장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파이론테크는 액체 냉각식 L2200 OMNI와 L3300 BAT를 새롭게 선보였다. 두 제품은 진화하는 시장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맞춤형 고성능 에너지 저장 솔루션이다.

 

 

L2200 OMNI는 PCS(전력변환장치), 변압기, EMS(에너지관리시스템), 화재 방지 시스템을 모두 통합한 올인원 컨테이너 시스템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을 통해 설치 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운전 시간을 최소화했다. 이 시스템은 종합적인 안전 메커니즘, 1C 레이트(1시간 내 완전 충•방전 가능) 지원 등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배터리 전용 시스템인 L3300 BAT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두 솔루션 모두 탁월한 안전성, 신속한 설치, 높은 C레이트를 통한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이 솔루션은 IEC, VDE, UN38.3 등을 포함한 주요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하면서 글로벌 규정 준수 및 시장 출시에 대비한 파이론테크의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파이론테크는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와 함께 '상업•산업용 액체 냉각식 배터리 ESS의 높은 환경 적응성(High Environmental Adaptability for Commercial and Industrial Liquid-Cooling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이라는 제목의 공동 백서를 발간했다. 이 백서는 온도 변화, 습도, 진동, 공간 제약 등 다양한 환경 요소에 따른 시스템 성능 안정성 확보의 필요성을 다루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사이트와 실제 사례를 제시한다.

 

제프리 송(Geoffrey Song) 파이론테크 부사장은 "지난 10년 동안 파이론테크는 에너지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일조하며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온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유럽에서 상업 및 산업 부문의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고객에게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남아 산업 내 동료들과 협력해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