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미래 -- 예술과 기술이 만나다

중국(항저우) 예술과 기술 비엔날레(China (Hangzhou) Art and Technology Biennale)가 10월 18일 중국 항저우의 위항미술관(Yuhang Art Museum)에서 개막했다. 이번 비엔날레는 중국미술학원(China Academy of Art, CAA)을 비롯한 여러 예술 기관과 정부 부처가 공동 주최했다. 제3회 량주 포럼(Liangzhu Forum) 기간 중 열리는 주요 국제 문화•예술 교류 행사로, 20여 개국 및 지역에서 온 160명 이상의 예술가, 과학자, 창작자들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제3회 량주 포럼의 주제인 '문명의 부흥: 문화유산과 인류 문화의 다양성(Revitalization of Civilization: Cultural Heritage and Human Culture Diversity)'에 대한 응답이기도 하다.

 

 

문명의 '능선'을 다시 방문하다

 

이번 비엔날레는 '기술적 반복 속의 문화 생태 재건(Cultural Ecological Reconstruction Amidst Technological Iteration)'을 주제로, '하늘, 땅, 인간, 기계' 사이의 대화를 네 가지 핵심 섹션을 통해 시작한다. '연결: 체화된 상호작용(Connections: Embodied Interaction)'은 방문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 기계, 세계 사이의 관계를 체험하게 한다. '공생: 디지털 교육 (Symbiosis: Digital Education)'은 디지털 교육을 통해 인문학과 기술의 공존을 증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사색: 생태 재건 (Speculation: Ecological Reconstruction)'은 기술과 환경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선언: 철학적 탐구(Manifesto: Philosophical Inquiry)'는 예술과 기술 융합의 가치와 윤리적 경계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

 

전시장에는 하늘과 맞닿은 듯옥종왕(玉琮王)이 우뚝 서 있다. 중국미술학원의 류이홍(Liu Yihong) 팀과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 연구진이 공동으로 제작한 '중국 공룡 프로젝트 | 넘버 20241123(China Dinosaur Project | Number 20241123'는 초기 쥐라기 시대 윈난에서 새로 발견된 용각류 화석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연구팀은 현장 조사, 마이크로 CT(μCT) 스캐닝, 지층 분석, 수치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영상화 기법 등을 통해 고생물학의 '하드 데이터'를 감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시각적 공간'으로 전환해 냈다.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 정점

 

'트라이솔라리스 컴퓨팅 콘스텔레이션(Trisolaris Computing Constellation)' 프로젝트는 저장연구소(Zhejiang Laboratory)와 글로벌 파트너들의 협력을 통해 우주 기반 컴퓨팅 인프라(space-based computing infrastructure)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또한, 중국미술학원 혁신•디자인학원(School of Innovation & Design)과 중국과학원이 공동 제작한 '심해 지능형 무인잠수정(Deep-Sea Intelligent Unmanned Submersible)'은 가상 시뮬레이션과 인터랙티브 설치를 결합한 작품으로, 첨단 다기능 심해 탐사 기술을 형상화한다. 이 밖에도 세계 각국 예술가들의 선구적인 작품이 전시된다. 자크 리버만(Zach Lieberman), MIT 미디어랩(Media Lab) 출신의 뉴미디어 예술가는 실시간으로 관람객의 몸짓, 음성, 표정을 인식해 추상적이고 역동적인 그래픽을 생성하는 '데일리 스케치(Daily Sketches)'를 선보인다. 핀란드 예술가 듀오 그룬룬드-니수넨(Grönlund-Nisunen)의 작품 '오르빗(Orbit)'은 지름 35cm의 스테인리스스틸 공이 중력과 마찰의 힘으로 원형 트랙을 따라 끊임없이 움직이며, 물리적 원리 속에서 '영원한 운동'을 시각화한다. 전시회는 12월 18일까지 진행된다.



미디어

더보기
우미건설,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 분양 경기도 서남부 서해안 주거벨트를 이끄는 남양뉴타운에서 5년만에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가 선보인다. 우미건설이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 2198번지 일원에서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4층, 6개 동, 전용면적 84㎡, 총 556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특히, 공공택지인 남양뉴타운 내 위치해 있는 만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합리적인 분양가가 책정될 예정이다. ‘화성 남양뉴타운 우미린 에듀하이’는 화성시청 이전, 서해선 복선전철 등 예정됐던 주요 인프라가 속속 들어서고 있는 남양뉴타운 내에서도 교육여건이 우수하다. 단지 바로 앞 위치한 새동초등학교∙중학교가 2026년 3월 개교를 앞두고 있고 화성시립남양도서관, 남양뉴타운 학원가 등도 가깝다. 편리한 교통여건도 강점으로 꼽힌다. 지난해 말 서화성~홍성 구간이 개통된 서해선 화성시청역이 가까이 있고, 서해선(2026년 12월 개통예정) 원시~서화성 구간과 노선을 공유하는 신안산선신설(2028년 12월 개통예정)도 예정돼 있어 향후 대곡, 김포공항, 시흥시청 및 여의도 등 서울 주요 업무지구 접근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또한, 올 초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서해선 KT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글로벌자산관리센터(GWM) 통해 국내 최초로 국경 없는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한다!!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지난 23일 서울 삼성동 Place1에 글로벌자산관리센터(Global Wealth Management Center)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오픈한 글로벌자산관리센터는 자산의 글로벌 재배치가 본격화되는 흐름에 맞춰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자산관리센터에는 신탁 컨설턴트,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애널리스트 등 분야별 최고의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리빙트러스트 ▲부동산&주식 ▲대체투자뿐 아니라 ▲국제조세 ▲글로벌부동산 ▲거주국 변경 등 복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한다. 특히, 해외로 이주한 손님에게는 현지 하나은행 영업점 및 제휴기관과 직접 연계하여 투자이민, 가업승계 등 현지 기반의 맞춤형 자산관리 컨설팅을 제시하고, 국내로 귀국한 역이민 손님에게는 해외체류 경험 및 해외 비즈니스 커리어를 반영한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 환리스크 관리 등 최고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하나은행은 전 세계 27개 지역 112개의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손님이 원하는 지역이라면 어디든지 최상의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이번 오픈에 맞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