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초! 중국 치메롱 그룹 수 지강 회장, IAAPA 명예의 전당 헌액

11월 17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란도에서 열린 'IAAPA 레전드: 명예의 전당 축하 행사'(IAAPA Legends: A Hall of Fame Celebratory Affair)에서 치메롱 그룹(Chimelong Group)의 수 지강(Su Zhigang) 회장이 중국인으로서는 최초로 2025 IAAPA 명예의 전당에 공식 헌액되었다.

 

 

수 회장으로서는 2024년에 테마 엔터테인먼트 협회(Themed Entertainment Association, 줄여서 TEA)에게 받은 버즈 프라이스 어워드(Buzz Price Award) 이후 잇따른 쾌거다. 회장 본인의 글로벌 리더십과 중국의 선구적 문화 관광 브랜드로서 치메롱의 국제적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IAAPA는 1918년에 설립되어 100여개국 7,500여 회원사를 거느리고 있는 세계 최대 놀이공원 휴양지 국제단체다. 1990년 만들어진 IAAPA 명예의 전당은 혁신과 경영능력, 개발의 지속 가능성 등 헌액 기준이 매우 엄격하기로 정평이 나 있어 전 세계 휴양 시설 업계에서는 특히 영예로운 상으로 알려져 있다.

 

제이콥 발(Jakob Wahl) IAAPA의 사장 겸 CEO는 "수 지강 회장의 남다른 전략적 비전으로 인해 아시아 휴양 산업의 규모와 지형도가 크게 달라졌으며, 그 파장이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다. 생태 보존과 문화 보전, 관광과 엔터테인먼트의 융합을 향한 수 회장의 헌신은 업계에 귀감이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에서 버즈 프라이스 테아 상과 IAAPA 명예의 전당 상을 모두 받은 사람은 8명뿐이다. 이 중 중국인은 수 지강 회장이 유일하다.

 

수 회장은 수락 연설에서 "조국에게 또 중국의 개혁 개방이 만들어낸 기회에 감사를 표한다. 중국의 개혁이 있었기에 농부의 아들인 내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면서 "어디에 있든 초보자의 자세로 늘 배우고 노력하겠다. 이번 IAAPA 명예의 전당 헌액은 영광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출발점이기도 하다. 오늘 수상을 계기로 각국 동종 업계 관련 기업과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선진 기술과 경영 전문 지식을 적극 도입해 중국의 문화 관광 산업을 한 단계 더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수 회장은 광둥성의 한 농가에서 태어났으며 1989년 식당업으로 시작해 1997년 중국 첫 사설 사파리 동물원을 연 입지전적 인물이다. 지난 36년 동안 치메롱을 이끌며 오직 문화 관광이라는 한 길만 걷고 있다. 꾸준한 혁신과 남다른 창의력으로 세계에서도 인정 받은 리조트 세 곳(치메롱 광저우 리조트, 치메롱 헝친 리조트, 치메롱 칭위안 리조트)을 성공리에 건설했다.

 

치메이롱 그룹의 관광 명소들은 기네스북에 17건 등재되고 TEA와 IAAP에서도 여러 차례 상을 받으며 중국 문화 관광 브랜드를 전 세계에 알리는 첨병이 되고 있다. 매년 전 세계에서 수백만 명이 치메롱의 명소들을 찾고 있어 글로벌 관광 업계에서 중국의 성장 역량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수 회장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혁신을 주도하고, 새 비즈니스 모델과 개발 경로를 모색하는 한편 첨단 기술을 도입하고, 세계인 누구나 좋아하는 색다른 테마 파크를 만들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정원주 회장, 아누틴 찬위라꾼 태국 총리 예방 대우건설은 지난 11월 18일 정원주 회장이 태국 정부청사에서 아누틴 찬위라꾼 (Anutin Charnvirakul) 태국 총리를 예방, 신규 사업 추진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예방에서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대우건설의 52년 건설 노하우와 최근 베트남에서의 성공적인 부동산 개발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태국에서도 현지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디벨로퍼로 적극적인 역할을 희망한다”며, “한류에 기반한 다양한 산업을 개발사업에 접목시킨 K시티를 조성하여 관련 한국 업체의 투자 확대 및 경제 활성화라는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내고자 한다”고 현지 사업 진출 의지를 밝혔다. 특히 정회장은 “K컬쳐를 공연할 수 있는 아레나를 건설하게 되면 K팝 뿐 아니라 K뷰티, K푸드, K클리닉 등 연계 사업을 확장 유치하여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대우건설이 마스터 디벨로퍼가 되면 타 한국 업체들이 대우건설을 믿고 추가 투자를 하게 되는 이른바 더블, 트리플 외화투자로 이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누틴 찬위라꾼 총리는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우건설이 태국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투자해 주기를 희망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