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3일 개최되는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 의안에 대한 국내 및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들의 분석 보고서가 기관투자자들에게 모두 전달된 가운데, 국내 자본시장업계에서는 유달리 ‘한국ESG기준원’의 보고서가 돋보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의 입장에서 주목해야 할 사안들에 대해 타 의결권 자문사들과는 달리 심도 있는 분석과 다방면의 논거를 제시했음을 물론, ‘고려아연의 기업가치 제고’라는 궁극의 목적을 위해 주주들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결권 자문사로서 상세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자본시장 관계자는 “한국ESG기준원이 공신력과 독립성 뿐만 아니라, 보고서 내용에서도 기관투자자들이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사안들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짚어줌으로써 다른 자문사들의 보고서와 크게 차별됐다”고 말했다.
고려아연 임시주총의 핵심 안건으로 평가 받는 집중투표제에 대해 한국ESG기준원은 ‘반대’ 권고를 하면서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 중 유일하게 기업의 지분구조에 따라 집중투표제 실효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소수주주 보호에 기여하고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는 데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평가를 한 다른 의결권 자문사들과는 확연히 차별되는 부분이다.
한국ESG기준원은 현 고려아연 이사회에 M&A/재무/회계 분야 전문성 제고가 요구된다며, MBK·영풍 측의 김광일, 권광석, 강성두 후보에 대해 찬성을 권고했다. 또 향후 고려아연 및 경영진에 대한 검찰 조사 등 리스크에 노출돼 있음에 따라 MBK·영풍 측의 변현철 후보에 대해 찬성했다.
ESG 관점에서는 주주권익보호담당으로 지명된 MBK·영풍 측의 천준범 후보를 추천했으며, 사업전략 관점에서도 신사업 분야의 전문성 제고 및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1대 주주가 추천한 손호상, 정창화 후보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