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첨단소재 인력 대규모 채용

배터리 소재, 엔지니어링 소재, IT 소재 등 첨단소재 전 분야서 전방위 채용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 분야서만 세 자릿수 규모 인원 선발, 배터리 소재를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LG화학이 배터리 소재 등 첨단소재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규모 인력 채용에 나선다.

LG화학은 배터리 소재 인력 확충을 위해 첨단소재사업본부에서 세 자릿수 규모의 신입 및 경력사원 채용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2019년 첨단소재사업본부가 출범한 이래 단일 규모로는 최대 규모다.

이번 채용에서는 양극재, 분리막 등 배터리 소재 △친환경 재생 폴리카보네이트(PCR PC) 등 엔지니어링 소재, OLED 등 IT 소재, 역삼투압(RO) 필터 등 전 사업 분야에서 전방위적으로 인재를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만 세 자릿수 규모의 인원 선발을 통해 NCMA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를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입사 지원자들은 11일까지 입사지원서를 접수하면 된다. 서류심사 이후에는 인,적성검사를 거쳐 1차 면접 및 2차 종합면접으로 진행된다. 최종 합격자들은 7월 중 입사하고 입문 과정을 거쳐 각 조직에 배치된다.

LG화학은 이번 인력 채용을 통해 급성장하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 분야 등에서 시장 기회를 선점하고 미래 경쟁력을 한 층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LG화학은 지난달 28일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서 올해는 전지 소재 집중 육성을 주요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첨단소재 부문에서 올해 매출 4조 후반을 예상한다며 향후 5년 내 매출을 두 배 정도 올리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또 IT 소재는 TV용과 모바일용 OLED 소재,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는 전기차용 소재 등을 집중 육성하면서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서 고함량 리사이클을 적용한 친환경 제품 확대를 적극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LG화학은 현재 배터리 소재 분야 육성을 위해 공장 증설과 신규 착공 등을 통해 관련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해 말부터 청주 공장에 3만톤 규모의 신규 증설을 진행 중이다. 청주 공장 증설을 비롯해 올해 말 착공 예정인 연산 6만톤 규모의 구미공장까지 완공되면 LG화학의 양극재 생산능력은 지난해 말 약 4만톤에서 2026년 26만톤 규모로 7배가량 확대된다.

이와 함께 배터리 신규 소재 사업도 적극 육성하고 있다.

LG화학은 올해 초 방열접착제, BAS(Battery Assembly Solution), 음극 바인더, 양극 분산제, 전해액 첨가제 등 여러 사업 부문에 산재돼 있던 배터리 소재 관련 사업의 역량과 자원을 첨단소재사업본부로 통합해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해당 소재들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물론 고속충전, 수명, 저온 특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등 배터리의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다.

첨단소재사업본부장은 '첨단소재 사업을 성공으로 이끌 강한 실행력을 갖춘 인재 확보를 통해 배터리 소재 등 성장동력을 육성하며 사업 경쟁력을 한 층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

더보기
현대건설, 수면케어 솔루션 ‘헤이슬립’ 국제 학회서 성과 발표 현대건설의 AI 기반 수면케어 솔루션 ‘헤이슬립(Hey,Sleep)’이 의학적 검증과 세계적인 권위의 수면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수면 개선 효과를 공식적으로 입증했다. 국내 최초로 수면환경 품질 인증인 ‘굿슬립 마크 골드’(한국수면산업협회)를 획득한 헤이슬립은 현대건설이 슬립테크 스타트업(에이슬립)과 공동개발한 수면케어 기술이다. AI 기반 수면 데이터 분석과 자동화 기술을 융합해 온도·조도·습도·환기·차음 등 다양한 요소를 제어하여 수면의 질을 높이는 통합 솔루션이다. 현대건설은 실제 수면환경 기술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용인시 마북동 기술연구원에 실증시설과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헤이슬립의 기능을 정밀하게 검증했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생명윤리위의 승인을 받아 진행된 이 실험은 주거 솔루션을 대상으로 한 업계 최초의 의학적 검증이다. 헤이슬립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수면시간 17.3% 증가 ▲수면효율 11.81% 증가 ▲수면 중 각성시간 55.9% 감소 ▲깊은수면 200.4% 증가 ▲램수면 28.4% 증가 등 수면 품질 지표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세계적인 권위의 수면 학술대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