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제주 디아넥스, 놀고 먹고 즐기고 모든 게 완벽한 ‘안캉스’ 호텔

새로운 문화체험 공간 포도뮤지엄, 32만 관람객 기념 7/5~9/4 무료개방 행사 진행

 

에스케이핀크스는 날씨 변화가 잦은 7~8월 휴가철 ‘안캉스(실내+바캉스)’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제주 디아넥스 호텔을 추천했다.

제주 중산간에 위치한 디아넥스 호텔은 다양한 부대시설을 보유해 날씨 영향없이 완벽한 ‘안캉스’를 즐길 수 있는 호텔이다. 43객실로 적은 객실 수 대비 실내 수영장과 국내 최고 수준의 아라고나이트 고온천, 국제 정식 규격의 테니스 코트 등 풍성한 부대시설을 갖춰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디아넥스 호텔 인근에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생각을 공유하는 제주의 특별한 열린 문화공간인 포도뮤지엄이 있다. 포도뮤지엄은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 전시가 32만명의 관람객을 기록한 것을 기념해 7월 5일부터 9월 4일까지 무료개방 행사를 진행한다. 디아넥스 호텔 투숙객은 포도뮤지엄 무료입장과 더불어 안도 다다오의 유명 건축물 본태박물관 제휴를 통해 입장권 3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포도뮤지엄 맞은편에 위치한 해밀레스토랑에서는 여행에서 빠질 수 없는 맛있는 음식과 음료를 맛볼 수 있다. 해밀레스토랑에서는 포도뮤지엄 무료개방 행사에 맞춰 뮤지엄 관람 이후 식사를 위해 방문하는 고객 대상으로 무료 음료(커피 또는 청포도에이드 중 택 1) 제공 이벤트를 진행한다.

에스케이핀크스는 7~8월 궂은 날씨에도 걱정 없는 다양한 부대시설과 인근 문화 시설 및 레스토랑을 보유한 디아넥스 호텔에서 완벽한 ‘안캉스’를 즐기길 권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포스코이앤씨, 혹서기 온열질환 예방 총력…경영층 주도 특별 안전 점검 실시 포스코이앤씨가 폭염과 장마철을 앞두고 전국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함양과 잠재적 위험 요소 예방을 위한 혹서기 대응 활동을 전개하고 경영층이 직접 참여하는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등 안전 경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먼저, 포스코이앤씨는 안전보건센터 내 ‘혹서기 비상대응반’을 구성해 실시간 안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현장별 온열질환 예방 시설 구축 상태를 점검했다. 그리고 전국 현장의 일일 단위 기상 모니터링을 통한 폭염 단계별 작업 주의 사항을 안내하고 휴식 시간을 운영해 오고 있다. 현장별로 폭염을 대비한 충분한 수량의 보냉 장구와 휴게시설도 확보하고 있다. 2023년부터 도입한 친환경 휴게시설을 현장에 설치했고, 휴게시설 설치가 어려운 현장에는 버스를 이용한 ‘찾아가는 이동 쿨 쉼터’를 활용해 근로자들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매주 근로자들의 혈압·혈관 건강을 측정해 건강상담을 진행하는 ‘능동 건강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해 근로자들의 건강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고위험군 근로자는 매일 혈압, 체온, 혈관 관리 체크 등을 실시해 집중 관리하고 있다. 온열질환 예방교육과 작업 거부권 안내도 병행해 근로자들의 건강

LIFE

더보기
BNK 부산은행, ‘모바일 동백패스’ 7월1일 전면 시행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은 동백패스 이용 편의성 증대 및 활성화를 위해 오는 7월 1일부터 ‘모바일 동백패스’ 서비스를 본격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기존 동백전 후불교통카드 기반의 동백패스 서비스는 반드시 실물카드를 소지해야만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 모바일 동백패스 서비스 도입으로, 삼성월렛에 부산은행 동백전 후불체크카드를 등록하면 실물카드 없이도 간편하게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6월 중 동백전앱(App)을 통해 카드 발급 및 동백패스 가입, 환급 적용카드 등록 또는 변경을 완료하면 7월부터 모바일 동백패스 혜택이 정상 적용된다. 단, 실물카드 또는 삼성월렛에 등록된 모바일카드는 각각 별도의 결제 수단으로 인식되며, 두 카드 중 이용 실적이 높은 카드 1개만 동백패스 실적으로 인정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부산은행 이주형 디지털금융그룹장은 “이번 모바일 동백패스 서비스가 부산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부산 대표 지역화폐 동백전 사업자로서 시민의 일상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유용한 지역화폐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