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나라지식정보, NIA의 AI 학습용 데이터세트 구축 결과물 활용한 ‘AI공감대화’ 출간

인간에 의해 개발돼 인간의 감정을 담고, 인간과 공감하는 AI
AI 학습용 데이터의 다양한 활용 사례 중 하나
AI 기술 발전에 비례해 대두되고 있는 인간적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 탐구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추진한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공감형 대화' 데이터세트 결과물을 활용, AI 기술 발전에 비례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인간적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을 다룬 단행본 'AI공감대화'(저자 정유남,박혜숙, 커뮤니케이션북스)가 출간됐다. 

 

'AI공감대화'는 2022년 NIA의 '공감형 대화' 데이터세트 구축 책임자로 참여했던 나라지식정보 박혜숙 이사와 품질 검수를 담당했던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정유남 HK 연구교수가 공저한 산학 연계의 산물이다. 정유남 교수와 박혜숙 이사는 AI의 공감대화 능력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이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한다.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AI에 대한 기대 못지않게 우려도 커지고 있는 요즈음, AI가 인간 고유의 특성도 습득할 수 있어야 하며, 인간의 대표적인 특성 중 하나인 '공감 능력' 습득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가 출간한 'AI공감대화'는 대중에게 공감대화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AI 학습용 데이터의 구축 과정과 실제를 제공한다. 이 저서는 공감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AI의 공감 능력 함양 및 새로운 활용 방안을 제시해 향후 AI 응용 서비스의 질적 도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책은 기술 중심의 획일적 접근이 아닌 인간 중심의 공감 관점에서 AI 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I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인간다운 공감과 소통 능력을 AI에 심어주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는 기업 모토를 가진 나라지식정보는 한국의 언어, 역사, 문화 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AI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으로, 2008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통령기록관, NIA 등 50여 개 기관의 600여 개 데이터 사업을 수행했다. 2020년부터는 NIA의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과제 18개를 완수했으며, 2023년부터는 AI Hub에 공개한 데이터세트를 활용해 LLM 개발, 단행본 출간, 관광 서비스 개발 등의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