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활용해 장애예술 담아낸 ‘Future Wide Open : 2023 신기술기반 장애예술’ 쇼케이스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2월 22~25일 장애예술과 기술이 어떻게 조우할 수 있을지 끝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여정을 'Future Wide Open' 쇼케이스에서 선보인다. 

 

'Future Wide Open : 2023 신기술기반 장애예술 창작실험실'(이하 Future Wide Open 2023)은 장애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동시대를 고찰하고, 예술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시작됐다. 2023년 9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장애감수성 및 장애감각을 주제로 기술융합 장애예술 작품개발을 다각도로 지원했으며, 장애예술인의 표현력 제고를 위한 신기술 창작도구를 개발했다. 

 

참여 예술인의 고유한 감각세계를 드러내는 작품과 저명한 해외 초청작, 확장된 시선의 창작도구, 융복합 장애예술의 담론을 형성하는 토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다. 

 

Future Wide Open 2023에 참여한 예술인들은 기술을 탐구하는 '신기술활용 워크숍'과 주제의식을 고민하는 '창,제작 멘토링'을 통해 작품을 발전시켰다. 보기엔 익숙하면서도 다루기엔 낯선 기술이 장애예술과 어떻게 조우할 수 있을지 끝없이 고민하고 도전하는 시간으로 과정에 가치를 두고,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며, 서로 도우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총 10개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선보이는 쇼케이스를 마련했다. 

 

Future Wide Open 2023은 기술융합 장애예술 창작 과정을 공유하는 쇼케이스다. '모두에게 열려있는'이라는 의미의 'Wide Open'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Future'를 더한 'Future Wide Open'은 누구나 제약 없이 실험하고 창작하는 미래를 기대한다. 

 

첫 번째 'Future' 섹션에서는 미래 가능성을 탐구한다. 참여 예술인의 다채로운 작품과 그들이 감각하는 고유한 세계를 통해 장애예술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두 번째 'Wide'는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섹션으로, 저명한 해외 초청 작품과 창작도구의 개발 과정을 선보임으로써 신기술기반 장애예술의 확장된 시선과 방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Open'은 지속 가능성을 도모하는 섹션으로, 융합 장애예술 담론을 형성한다. 누구나 들어와 탐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관람객을 초대하는 토크로 구성돼 있다. 2월 23일 전맹 미술 감상자 시라토리 겐지(白鳥建ニ)와 함께하는 감상 워크숍 '보이지 않을 때 볼 수 있는 것'과 라운드 테이블 '보이지 않는 너머를 함께 이야기 하다'로 구성돼 있으며, 2월 24일에는 참여 예술인과 테크 메이트 및 멘토가 함께하는 '기술로 감각하는 장애예술' 라운드 테이블도 진행될 예정이다. 

 

더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moduarttheater.or.kr/product/performance/252831)와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future_wide_open)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