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한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협력의 폭을 넓히고 있다. 산업과 학계를 넘어 스타트업과 투자 생태계까지 교류가 확산되며, 양국 간 첨단기술 협력이 한층 입체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지난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린 '한–영 반도체 주간(UK–Korea Semiconductor Week)'은 양국 간 기술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반도체대전 SEDEX 2025 전시회에는 ABI 일렉트로닉스, 블루시프트 메모리, 아이스모스 테크놀로지, 인피니트시마, 테라뷰, 벡터 포토닉스 등 6개 영국 첨단기업이 참가해 컴파운드 반도체, 광자기술, 정밀측정 등에서 영국의 기술적 강점을 선보였다. 같은 기간 진행된 영국 반도체 연구자 미션(Researcher Mission)에서는 한국의 KAIST, POSTECH, 서울대학교 등 연구진이 영국의 주요 지역 클러스터인 맨체스터•리즈•셰필드•글래스고를 방문해 국립 그래핀연구소(National Graphene Institute), 브래그 소재연구센터(Bragg Centre), 첨단제조연구센터(AMRC), 국가제조혁신연구소(NMIS) 등과 공동연구 및 기술 세미나를 진행했다. 세계 3대 컴파운드 반도체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전문기업 영림원소프트랩(대표이사 권영범, 060850)이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GPTW는 전 세계 180개국 이상, 10만 개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신뢰 ▲존중 ▲공정성 ▲자부심 ▲동료애의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국제 표준 '신뢰경영지수(Trust Index)'를 통해 우수한 조직문화를 가진 기업을 선정한다. 영림원소프트랩은 임직원 대상 설문조사에서 높은 긍정 응답률을 기록하며 건강한 근무환경과 신뢰 기반의 조직문화를 인정받았다. 국내 대표의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브랜드인 영림원소프트랩은 '사람 중심의 디지털 혁신'을 핵심 가치로 삼고, 구성원의 성장을 곧 기업의 성장으로 연결하는 경영철학을 실천해왔다. 특히 자율 출근제와 수평적 '님' 문화, 동호회 활동 지원 등 구성원들이 스스로 몰입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번 인증은 영림원소프트랩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조직문화 혁신 활동의 성과로 평가된다. 회사는 질문을 통해 기업문
아랍에미리트의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사디야트 문화 지구(Saadiyat Cultural District)의 아부다비 자연사 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 Abu Dhabi)이 11월 22일에 개관한다. 아랍에미리트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이 박물관은 새로운 과학, 자연, 교육의 세계적 명소이자, 관람객이 지구 생명체의 역사를 탐구하고 지구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이다. 3만 5000제곱미터 규모의 이 박물관에서는 흥미로운 볼거리를 통해 아랍에미리트의 높아지는 문화적 위상을 엿볼 수 있다. 박물관 관람객은 빅뱅과 태양계의 태동부터 공룡의 전성기와 멸종을 비롯한 생명의 진화와 지구의 놀라운 생물 다양성에 이르기까지 138억 년간 이어진 자연사를 통해 몰입감 넘치는 여정을 만끽할 수 있다. 이 박물관의 백미로는 고대에서 온 시간의 여행자 셋을 손꼽을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스탠(Stan)이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화석인데, 6700만 년 전 지구를 지배했던 이 포악한 최상위 포식자의 골격이 거의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길이가 25미터로 지금까지 알려진 동물 중 가장 거대한 암컷 대왕고래의 골
세계 자동차 산업이 100년만의 대변혁을 겪으면서 새로운 개방과 협력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한때 틈새 투자 개념이었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원칙이 전 세계 산업을 바꾸는 핵심적 체계로 자리 잡았다. 유럽연합(EU) 같은 주요 시장에서는 발전하는 ESG 규정이 자동차 제조업체의 역할을 자동차 생산자에서 모빌리티 생태계 공동 창조자로 재정립하고 있다. 체리 그룹은 자사의 핵심 전략과 의사 결정 구조에 ESG를 반영하여 책임감 있는 성장에 솔선수범하고 있다. 120여 개 국가에 진출한 체리 그룹은 그저 제품을 수출하는 데만 얽매이지 않는다. 체리 그룹은 문화 및 생활양식 공동 창조자로 진화하여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세계 공동체를 실현하는 데 앞장선다. 2025년 체리 인터내셔널 유저 서밋(2025 Chery International User Summit)에서는 탈탄소화, 책임감 있는 공급망, 현지 사업, 생태 보호, 아동 발달, 인재 양성을 아우르는 체리 그룹의 포괄적인 계획이 실체화되면서 공동 이익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했다. 체리 그룹은 올해의 체리 인터내셔널 유저 서
의료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 BTL이 자사의 주력 의료기기 제품인 EMSCULPT NEO가 역사적인 우주 비행을 앞둔 우주비행사의 준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발표했다. HUNOR(Hungarian To Orbit) 프로그램은 BTL 헝가리와 손잡고 헝가리 연구 우주비행사 티보르 카푸(Tibor Kapu)의 국제우주정거장(ISS) 탑승 임무를 위한 비행 전 집중 훈련 프로그램에 EMSCULPT NEO를 도입했다. 우주비행사 훈련팀을 이끈 부다페스트 세멜바이스 대학의 심장 전문의이자 스포츠 의학 전문가인 노라 사이도(Nóra Sydó) 박사는 "연구에 따르면 우주비행사들은 임무 기간에 따라 궤도상에서 최대 30%의 근육량을 잃게 된다"면서 "EMSCULPT NEO는 근육 성능과 회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신체 훈련과 재활에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EMSCULPT NEO는 지구력, 근력, 균형감, 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종합 훈련 계획의 일부였다. 헝가리 올림픽 수영 대표팀을 포함한 여러 국내 스포츠 클럽의 팀 주치의로도 활동 중인 사이도 박사는 "이 기술은 기존 훈련을 뛰어넘는 결과를 가져왔다"면서 "의료 검사를 통해
말레이시아가 오늘 샹그릴라 쿠알라룸푸르(Shangri-La Kuala Lumpur) 호텔에서 2025년 국제기술포럼(Global Skills Forum 2025: GSF 2025)를 개최하면서 세계 인적 자본 역사에 기념비적인 이정표를 세웠다. 공교롭게도 아세안 기술의 해(ASEAN Year of Skills 2025: AYOS 2025)로 지정되고 말레이시아가 아세안 의장국을 맡은 해라 더욱 뜻깊은 2025년 국제기술포럼에서는 전 세계 정부, 업계, 지역 사회가 기술 변혁을 증진하고자 한 자리에 모여 혁신, 포용성, 영향력을 촉진하는 민간 부문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말레이시아 인적자원부(KESUMA) 산하의 인적자원개발공사(Human Resource Development Corporation: HRD Corp)가 주도하고, 아세안 사무국(ASEAN Secretariat),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국제경영자기구(International Organisation of Employers: IOE)의 지원으로 진행된 GSF 2025는 미래의 기술에 관한 대화, 협력, 그리고 실질적인 행동을 끌어
새로운 스마트 전기차 시대에는 우아함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할까? 체리 그룹(Chery Group)의 새로운 친환경 브랜드인 레파스(LEPAS)는 '우아한 주행(Elegant Driv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개척하면서 '우아한 모빌리티 라이프에 어울리는 브랜드(Preferred Brand for Elegant Mobility Life)'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안전은 '우아한 주행'의 전제 조건이다. 2025년 체리 인터내셔널 유저 서밋(Chery International User Summit)이 진행 중인 10월 20일에 레파스는 우후의 체리 룽산 테스트 센터(Chery Longshan Test Center)에서 처음으로 공개 안전 테스트를 시행했다. 레파스는 테스트 상황을 전 세계 언론과 자동차 딜러에게 공개하고, 진정한 우아함을 실현하려면 타협 없는 안전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체리 그룹의 견고한 안전 시스템은 '모든 사람, 모든 과정, 모든 상황, 모든 방향, 모든 국가(All People, All Processes, All Scenarios, All Directions, and All Markets)'라는 다섯 가지 원칙을 따르며,
DFSK의 첫 해외 신에너지 전략 모델인 E5 PLUS가 2025년 10월 22일 충칭 세레스 쌍푸 공장(Chongqing SERES Shuangfu Plant)에서 생산 라인을 공식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했다. 이번 역사적인 순간은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전 세계로 생중계되었다. 신에너지 및 스마트 기술을 향한 브랜드 전환을 알리는 플래그십 모델인 E5 PLUS의 생산 라인 가동은 DFSK의 20년 해외 여정의 새로운 출발점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 모빌리티를 요구하는 전 세계 사용자의 목소리에 부응하는 신호탄이기도 하다. 이 모델은 스마트 기능, 합리적인 가격, 다양한 사용자 이점에 대한 세부 내용과 함께 이집트와 에콰도르에서 곧 출시될 예정이다. 세레스 그룹(SERES Group)의 브랜드인 DFSK는 지금까지 20년 동안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한 덕분에 현재 70곳이 넘는 국가와 지역에서 50만 대가 넘는 수출 누적량을 자랑한다. 또한 남미 및 동남아 지역을 포함해 여러 해외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수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DFSK는 2005년에 상용차로 처음 해외 시장 문턱을 넘으면서 전 세계 중소기업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자동
통합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인 ZTE(ZTE Corporation. 홍콩 증권거래소 종목 코드: 0763, 선전 증권거래소 종목 코드: 000063)는 최근에 멕시코 멕시코 시티(Mexico City)에서 2025 브로드밴드 유저 콩그레스(2025 Broadband User Congress)를 개최했다. "브로드밴드의 이점을 촉진하는 AI(AI Boosting Broadband Benefits)"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행사에는 전 세계 ICT 업계 리더, 이동 통신사, 기업 혁신 전문가, 전략적 파트너 등 400명 이상이 참가하여 인공 지능 시대의 브로드밴드 혁신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서로 나누었다. 콩그레스를 여는 기조 연설에서는 ZTE 해외사업부 사장 샤오밍(Xiao Ming)이 나와 오늘날 브로드밴드가 디지털 신경 시스템의 역할까지 하면서 단순한 연결에서 지능으로 진화하는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ZTE는 "커넥티비티 공급자"에서 "인텔리전스 크리에이터"로 전환하는 여정을 통해 앞으로도 글로벌 파트너와 협업하여 개방성, 협업 및 상생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지능형 세상을 함께 만들어갈 것이다. 한편, ZTE는
신한카드(사장 박창훈)가 창립 18주년을 맞아 기후 위기 극복에 동참하기 위해 임직원이 직접 달리기를 통해 기부하는 ‘GIVE & RUN(이하 기부런)’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캠페인으로 마련된 기부금은 22일 서울 중구 신한카드 본사에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자연기금(WWF)에 전달됐다. 기부런은 2022년 사내 동호회를 중심으로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해 정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행사다. 임직원들이 캠페인 기간 동안 자율적으로 달린 기록을 합산해 그 거리에 비례하여 회사가 기부하고 있으며, 올해는 1km당 1천원의 매칭 기부를 진행했다. 특히 창립 18주년을 기념해 창립기념일 전후로 진행된 이번 캠페인은 지난달 22일부터 10월 12일까지 사내 러닝 동호회 및 개별 임직원 총 204명이 참여하며 의미를 더했다. 임직원들이 각자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달리고 기록을 인증하는 ‘버츄얼 러닝(비대면 러닝)’과 본사 인근 청계천과 경복궁 코스를 함께 달리는 ‘오프라인 러닝’으로 나누어 진행됐으며, 오프라인 러닝의 경우, 높아진 러닝 인기에 힘입어 총 10회에 걸쳐 69명이 참여하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 결과, 21일간 합산
NH농협손해보험(대표이사 송춘수)은 직원들이 자율적으로 팀을 꾸려 농촌을 방문하는 ‘자율참여형 일손돕기’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자율참여형 일손돕기’는 참여를 희망하는 직원이 자유롭게 팀을 구성해 방문 희망 지역과 활동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사회공헌 담당 부서가 이를 검토한 후 고령농·독거농 등 일손이 절실한 농가를 연결한다. 기존 일손돕기가 본부 및 부서 단위로 진행돼 참여 방식이 다소 획일적이었다는 의견을 반영했다. 직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장려하고 보다 즐거운 행사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지난 16일에는 입사 10~12년 차 직원 20여 명이 경기 포천군 일대 농가들을 방문해 천황대추 수확을 도우며 농민들과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참여한 직원은 “동기들과 함께 힘을 모아 농촌에 보탬이 될 수 있어 뿌듯했다”며 “일손 부족으로 인한 농가의 어려움을 체감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낸 것 같아 다음에도 꼭 참여하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와 농협금융지주, 농협손해보험, 농협은행, 농협생명, NH투자증권 등은 직원들이 즐겁게 농촌을 체험하고 농업의 가치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자율참여형 일손돕기’를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뉴트리션 브랜드 ‘마이핏’의 신제품인 ‘마이핏V 올인원 트리플 마스터팩’을 출시한다. ‘마이핏V 올인원 트리플 마스터팩’은 하루 1팩으로 간 건강부터 눈 건강, 혈행 개선, 항산화 관리까지 한 번에 챙길 수 있는 올인원 건강기능식품이다. 과학적인 ‘동국 포뮬러’를 통해 브랜드 최대 25가지 기능성, 비타민, 미네랄 원료를 3개의 정제에 담았으며, PTP 개별 포장으로 휴대가 간편한 것이 특징이다. 제품은 기능성 원료 3종인 루테인, 밀크씨슬추출물, 초임계 rTG 오메가3와 비타민 및 미네랄 22종을 함유해 하루 한 번 섭취만으로 건강을 챙길 수 있으며, 제품에 포함된 비타민C, 비오틴, 마그네슘, 요오드, 철, 구리, 나이아신, 망간 등 비타민과 미네랄 13종은 항산화 기능 개선과 에너지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밀크씨슬 추출물인 실리마린과 비타민 B2, B3, B12 등 비타민B군 6종, 엽산, 판토텐산, 아연 등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초임계 공법으로 추출한 rTG 오메가3는 원료 손상을 최소화해 체내 흡수율을 높였다. 여기에 마리골드꽃추출물의 루테인(20mg), 비타민D,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