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이탈리아영화예술제, 주한이탈리아대사와의 파티로 마무리

10월 22일~11월 2일 12일간 영화사진전, 영화 상영 등 선보이고 성황리에 폐막
11월 1일 주한이탈리아대사와의 파티로 화려한 피날레 장식


(뉴스와이어)제7회 이탈리아영화예술제(Italian Film Art Festival)(www.ifaf.co.kr)가 지난 10월22일부터 12일간 아트하우스모모와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영화사진전, 영화 상영 등을 선보인 후 성황리에 쳤다. 

이탈리아영화예술제는 첫 해부터 ‘영화와 사진’이라는 키워드로 이탈리아 체세나에서 개최되는 ‘클릭착영화사진공모전(CliCiak)’의 수상작들을 전시해왔다. 



영화와 영화사진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경험을 관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시작해온 전시가 올해는 그 목적을 실현했다. 영화사진공모전에서 수상했던 작품들의 영화를 상영하게 되었으며,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젊은 감독들의 영화를 중심으로 올해의 주제인 ‘드라마 인 코메디(Drama in Comedy)’의 장편 18편, 단편 13편으로 31편의 작품들을 상영했다. 


폐막작으로 다니엘레 치프리(Daniele Cipri)의 ‘아들이었다(È stato il figlio)’와 푸피 아바티(Pupi Avati)의 ‘조반나의 아버지(Il papa di Giovanna)’를 상영하였다. 

상영에 앞서 한국과 이탈리아 교류의 장인 파티를 가졌다. 아리랑 티비 최현철 피디의 사회로 진행된 파티에서는 주한이탈리아대사인 마르코 델라 세타(Marco della Seta)는 “영화라는 매개가 오랜 전통을 가진 이탈리아영화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국영화를 연결시키길 희망한다”며, “영화제를 개최한 이탈치네마에게 감사 인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 김시홍 교수는 이탈리아영화에 대한 역사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해주는 축사를 했다. 소프라노 정꽃님이 오페라 자니스키키의 ‘나의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O mio babbino)’ 축가를 불렀다. 주한이탈리아문화원장 안젤로 조에(Angelo Gioè), 이탈리아 무역공사 무역관장 파올라 벨루쉬(Paola Bellusci) 등의 이탈리아와 국내 학자, 문화예술인들이 참석하여 양국의 만남의 장이 되었다. 

행사를 주최한 이탈치네마(www.italcinema.com)의 정란기(lanki Jung) 대표는 “이탈리아를 사랑하는 분들이 영화와 문화예술을 매개로 함께 하는 행사가 되었으면 한다”며 “제8회 이탈리아영화예술제를 준비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2회 진행으로 알리는데 주력했다면 내년 제8회부터는 전반기에 1회 진행으로 이탈리아영화를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행사가 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란기 대표는 “이탈치네마의 주요 사업인 ‘이탈리아영화사진전’, ‘이탈리아 감독 특별전’, ‘이탈리아로 갈 한국단편영화공모전’ 이외에 양국 교류 및 학술연구도 계속된다”고 말했다. 


이탈치네마 소개 
이탈치네마는 이탈리아 영화에 관심을 가진 분들을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사이트를 통해 이태리 영화사, 영화 감독, 영화 소개, 영화 정보, 베니스 영화제, 배우 등에 대한 정보를 만날 수 있다.
출처: 이탈치네마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