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오스템파마, 구강케어 일반의약품 2종 약국 출시

구강 건조증 치료제 '제로미아'·구강 소독제 '오스템 클로르헥시딘액 15ml' 선봬

 

오스템임플란트 자회사 오스템파마(대표이사 문병점)가 구강케어 일반의약품 2종을 출시하고 약국 입점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새롭게 선보인 '제로미아'와 '오스템 클로르헥시딘액 15ml'는 우수한 성능은 물론 휴대성도 겸비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제로미아'는 구강 건조증 치료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이용해 뛰어난 보습 기능을 갖추고 있다.

 

CMC는 자연 타액과 유사한 점탄성을 제공하며 구강 점막에 균일하게 분포해 젖음성을 높이고 보습 효과도 우수하다. 실제로 CMC 기반 인공 타액은 자연 타액보다 구강 점막과 치아 법랑질에서 더 우수한 습윤성을 보여 구강 건조증 완화에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한다는 골자의 논문도 다수 등재돼 있다.

 

새롭게 출시한 오스템파마의 '제로미아'는 간편한 스프레이 타입으로 언제 어디서나 휴대 가능하며 사용이 용이하다. 사용법은 입안이 건조할 때 스프레이를 고르게 분사한 후 삼키지 않고 잠시 머금어 점막에 흡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간단하다. 은은한 복숭아 향을 사용해 분사 시 느낄 수 있는 거부감도 줄였다.

 

'오스템 클로르헥시딘액 15ml'는 휴대성을 강조한 구강 소독제로 지난 2020년 출시한 100ml, 500ml의 추가 라인업이다.

 

이 제품은 보철에 의한 염증, 아구창 등의 구강 내 칸디다 감염증, 치은염, 인두염, 아프타성 구내염 등 염증 완화와 치근막 수술 후 살균소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오스템임플란트에서 특허 등록을 완료한 '착색 부작용이 개선된 구강용 살균소독제'(TSP 시스템) 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해 치아 착색률도 크게 낮췄다.

 

‘오스템 클로르헥시딘액 15ml'는 휴대가 간편한 스틱 파우치 형태로 위생적이며, 1회 분량만큼만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도 우수하다. 사용감 역시 민트향 및 네오탐을 첨가해 상쾌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사용법은 1일 2회 약 1분 동안 제품을 사용해 입을 헹구기만 하면 끝이다. 신규 출시한 2종의 일반의약품은 오스템임플란트 공식 캐릭터 '레오거'를 적용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이는 오스템임플란트 고유의 정체성을 친근한 캐릭터를 통해 전달하기 위함으로 향후 출시할 모든 제품은 레오거 캐릭터 디자인을 적용해 일관성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레오거는 제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 없는 연구활동과 새로운 발상으로 세상을 개척해나가는 오스템의 기업 문화와 인재상, 비전을 반영한 캐릭터다.

 

오스템파마 관계자는 "'제로미아'와 '오스템 클로르헥시딘액 15ml'는 전국 약국에서 만나볼 수 있는 일반의약품으로 뛰어난 휴대성과 간편한 사용 방법으로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향후에도 소비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글로벌 구강 건강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신제품 출시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