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키스, '빛의 여정: 울트라맨 60주년 기념전'의 단독 전략 파트너로 선정

7월 2일, 많은 기대를 모았던 '빛의 여정: 울트라맨 60주년 기념전(Journey of Light: A Glimpse into Ultraman's 60th Anniversary)'의 언론 시사회가 상하이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7월 5일부터 일반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울트라맨 테마 전시의 단독 전략 파트너로는 중국 조립식 캐릭터 완구 브랜드 블로키스(Blokees)가 참여하여, 새로운 블로키스 울트라맨 모델 키트 시리즈를 공개했다. 또한, BFC의 울트라맨 테마 작품 약 100점을 전시해 울트라맨 IP와의 강력하고 오랜 파트너십 관계를 드러냈다.

 

 

블로키스는 2021년 중국 본토에서 '울트라맨' 시리즈의 독점 라이선스 에이전트인 뉴 크리에이션(New Creation)과 파트너십을 맺고 '모델 키트' 카테고리에 진출했다. 2022년에 최초의 울트라맨 클래식 모델 키트를 출시하며 울트라맨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지난 4년간 블로키스는 울트라맨 IP를 HERO10, Legend, preCOOL 등 3개의 핵심 제품 시리즈에 적용해 왔으며, 지금까지 140개 이상의 다양한 울트라맨 캐릭터를 대표하는 10종 이상의 주요 에디션과 80종 이상의 울트라맨 모델 키트를 제작했다.

 

블로키스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연구개발(R&D)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5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소비자를 위한 혁신적인 캐릭터 기반 제품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블로키스는 전용 전시 구역에서 약 100점의 울트라맨 테마 BFC 작품을 선보이며, 울트라맨 60주년 테마 전시에서 오리지널 유저 창작물을 선보인 최초의 중국 브랜드가 됐다. 이 작품들은 BFC 창작자들이 직접 제작했다. 현장에서는 울트라맨 테마의 BFC 창작 대회가 열려 참가자들은 BFC 창작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창작자들은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울트라맨 세계를 구축하며 조립 문화의 재미와 매력을 전달했다.

 

블로키스는 'BFC 창작 문화'에 지속적으로 주력해 왔으며, 매년 BFC 창작 대회(BFC Creative Competition)를 개최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블로키스 모델 키트를 사용하여 독창적인 창작물을 조립한다. 수상작은 블로키스와 함께 국제 전시회에 출품될 기회도 주어진다. 현재 BFC 커뮤니티는 전 세계 플레이어들을 연결하고, 브랜드의 창의적 생태계를 이끄는 핵심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블로키스는 강력한 R&D 역량과 혁신적인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보편적 매력, 단계적 가격 책정, 글로벌 홍보(Universally appealing, Stepwise pricing, Globally promoting)' 전략을 구현하고 있다. 앞으로도 블로키스는 혁신적인 제품과 커뮤니티 문화를 통해 전 세계 플레이어들을 계속 연결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