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CJ, 美 버클리 음대 교수와 CJ음악장학생 협연 개최...26일 티켓 오픈

내달 24일 CJ아지트에서 ‘CJ X 버클리 밴드’ 무대

 

CJ그룹(회장 이재현)의 사회공헌재단인 CJ문화재단이 내달 24일 서울 마포구 CJ아지트에서 미국 버클리 음악대학(Berklee College of Music, 이하 ‘버클리 음대’)과의 협업 공연을 펼친다고 26일 밝혔다.

 

CJ문화재단은 “기업은 젊은이의 꿈지기가 되어야 한다”는 CJ그룹 이재현 회장의 사회공헌 철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음악산업을 이끌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자 2011년부터 ‘CJ음악장학사업’을 통해 버클리 음대 및 세계 유수의 음악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는 대중음악 전공 유학생을 지원하고 있다.

 

오는 10월 24일 홍대 일대에서 열리는 ‘제75회 재즈 라이브 클럽 데이’의 일환으로 ‘CJ아지트 스테이지’를 진행하며 ‘CJ X 버클리 밴드’가 공연한다. 이는 CJ문화재단과 버클리 음대가 2016년부터 함께 선보이고 있는 ‘CJ X 버클리 뮤직 콘서트’의 연장선에서 진행하는 공연으로, 버클리 음대 교수들이 CJ음악장학생들과 협연한다.

 

올해는 버클리 음대 피아노학과의 존 폴 맥기(John Paul McGee) 교수, 앙상블학과의 보컬리스트 케이미 마세(Kaimy Masse) 교수가 CJ음악장학생인 김태현 드러머, 전창민 베이시스트와 합을 맞춰 재즈 연주를 펼친다. 

 

김태현은 12세에 드럼 신동으로 이름을 알린 후 15세부터 버클리에서 유학해 18세에 최연소로 졸업한 인재다. 전창민은 한국 재즈 신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뮤지션으로 용재오닐, 대니구, 이상순, 하림 등 다양한 유명 뮤지션들과 함께 활동했다.

 

‘라이브 클럽 데이’는 홍대 일대의 라이브 클럽과 공연장이 주체가 되어 진행하는 무경계 음악 축제로, 단 한 장의 티켓으로 공연장을 모두 방문할 수 있다. 이번에는 재즈를 주제로 운영되며 CJ아지트를 비롯한 5개 공연장이 참여하여 13개 팀이 무대에 오른다. 

 

‘CJ아지트 스테이지’에는 ‘CJ X 버클리 밴드’ 외에도 ‘SM 재즈 트리오’의 공연이 펼쳐진다. 티켓은 금일 26일부터 멜론티켓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은 4만 원이다.

 

또한, CJ문화재단은 오는 10월 19일 미국 최고의 예술대학이라 불리는 버클리 음대 교수들이 뮤지션을 꿈꾸는 청소년 음악 입문자들을 위해 음악 클리닉을 제공하는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한다. 존 폴 맥기 교수와 케이미 마세 교수가 음악에 관심 있는 한국의 청소년들을 지도한다.

 

CJ문화재단은 지난해 CJ나눔재단의 ‘CJ도너스캠프 문화동아리’ 음악부문 학생 30여 명을 대상으로 첫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한 데 이어 올해는 참가자 규모를 확대해 CJ문화재단의 ‘튠업음악교실’을 통해 지원하고 있는 다문화 청소년들도 참여한다.

 

CJ문화재단 관계자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공연을 접근성 높은 재즈 라이브 클럽 데이에서 만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다”며 “최고의 뮤지션들이 만나 펼치는 흔치 않은 무대인 만큼 관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공연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롯데건설, ‘제18회 대한민국 소통어워즈’ 2년 연속 대상 수상 롯데건설의 유튜브 채널 ‘오케롯캐’가 지난 1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8회 대한민국 소통어워즈’에서 ‘대한민국 소셜미디어대상’ 건설·아파트 브랜드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으로, 일회성 유행이나 단기적 인기가 아닌, 꾸준하고 진정성 있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노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한민국 소통어워즈’는 한국인터넷소통협회(KICOA)가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국회가 후원하는 국내 대표 커뮤니케이션 시상식이다. 소통지수·콘텐츠경쟁력지수·VOC(고객의 소리)·운영성 등을 종합 평가해 수상 기업을 선정하며, 올해로 18회를 맞았다. 롯데건설은 이번 시상에서 건설/아파트 부문 최고상인 대상을 수상하며 ‘지속적 신뢰 소통’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았다. 이번에 수상한 ‘오케롯캐’는 롯데건설이 단순한 기업 홍보가 아닌 브랜드 소통형 채널로 운영해왔다. ‘Build Home, Beyond House(집을 넘어, 삶의 가치를 짓다)’라는 브랜드 철학 아래, 아파트를 단순한 상품이 아닌 삶과 경험의 이야기로 풀어내며 정기적인 콘텐츠를 바탕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해왔다. 이러한 방향성은 다양한 콘텐츠에서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