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현대엘리베이터·KT, 엘리베이터 DX 확장하기 위한 MOU 체결

 

현대엘리베이터(대표이사 송승봉)와 KT(대표이사 구현모)가 29일 광화문 KT 사옥에서 ‘엘리베이터 DX(Digital Transformation·디지털 혁신) 확장 사업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하고, 양 사가 보유한 기술 교류를 통해 엘리베이터와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자율주행 로봇을 연계한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현대엘리베이터 송승봉 대표이사와 KT 박종욱 경영기획부문장(사장)을 비롯해 양 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과거 속도 경쟁에 치중했던 엘리베이터 산업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과 함께 e-모빌리티로 진화하면서 새로운 사업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음성과 휴대전화를 통해 접촉 없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물론 자율주행 로봇이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고객이 원하는 곳까지 택배·음식을 배달하는 고객 접점의 서비스를 비롯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운행 효율 증대 및 선제적 유지 관리와 보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문에 IT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 송승봉 대표이사는 “엘리베이터와 IT 기술 융합으로 고객에게 효율성과 편리성·안전성을 제공하는 미래 엘리베이터(Vertical e-Mobility)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는 그간 정체했던 승강기 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T 박종욱 경영기획부문장은 “업계 1위 현대엘리베이터의 원격 관리 기술과 KT의 디지털 플랫폼(디지코) 기술 융합을 통해 엘리베이터 DX 분야에 새로운 경쟁력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KT 핵심 역량인 AI, Big Data, Cloud 차별화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MOU로 현대엘리베이터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접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를 9월까지 개발하고 KT의 음성 인식, 로봇 기술을 접목해 아파트·호텔·빌딩 등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다양한 공간에서 DX 확장을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나아가 안면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승객 상황을 분석해 조명 조절, 음악 및 콘텐츠 제공 등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Personalized) 엘리베이터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새마을금고중앙회, “집중호우 피해 복구" 성금 10억·금융지원 실시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행정안전부의 집중호우 피해복구 총력지원에 동참하여 최근 전국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를 본 주민들을 위해 10억 원의 성금을 전달하고, 긴급 금융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집중호우 등 수해로 재산 피해가 발생한 △가계, △소상공인, △중소기업, △공제계약자 등 지원 대상을 확인하여 긴급자금대출, 만기연장, 원리금 상환유예 및 공제료 납입유예 등을 통한 금융지원을 할 예정이다. 피해 수습을 지원하기 위한 긴급자금대출은 1인당 최고 3천만원을 한도로 최대 3년의 기간 동안 지원된다. 기존 대출고객에 대한 금융지원으로는 대출 만기연장의 경우 최대 1년, 원리금에 대한 상환유예는 6개월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새마을금고는 공제계약자들 중 지원 대상에 대하여 신청일로부터 12월 31일까지 공제료 납입을 유예한다. 납입유예 기간 동안 공제료를 납부하지 않아도 계약이 실효되지 않고, 동일한 보장을 받을 수 있다. 금번 금융지원은 수해로 재산 피해가 발생한 새마을금고 고객이라면 모두 대상에 해당하며, 지자체가 발급한 “재해피해사실확인서”등 관련 증빙 제출 시 지원 가능하다. 지원 접수는 다음 달 29일까지이며, 새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