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가스공사, “2024년 흑자 전환은 전사적인 노력의 결실”

요금 부담 완화 노력·해외사업 성과·경영 효율화 등 복합 작용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2024년 당기순이익이 1조 1,490억 원을 기록하며 큰 폭으로 흑자 전환한 것은 2023년의 적자를 만회하기 위한 전사적인 노력에 힘입은 결과라고 4일 밝혔다. 

 

먼저, 가스공사는 국제 정세 급변과 에너지 위기 일상화로 가중된 국민 가스 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무엇보다 가스공사는 요금에 영향을 주는 LNG 원료비를 낮추고자 기존 장기 계약에 대한 가격 재협상, 신규 저가 장기 물량 도입에 노력했다.

 

이와 함께 할당관세 영세율 적용 및 수입부과금 30% 감면 등 정책 제안을 통한 미수금 축소에도 힘쓰는 한편, 예산 절감액과 해외 배당금 수익을 가스 요금 인상 억제에 활용했다.

 

또한, 가스공사는 천연가스 생산·공급시설 민간 임대 수익을 가스 요금 인하 재원으로 삼아 국민 후생 증진과 설비 이용률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해외사업에서는 모잠비크 법인의 영업이익이 2023년 381억 원 적자에서 지난해 870억 원 흑자로 돌아섰고, 호주 Prelude 법인은 LNG 물량 다섯 카고를 판매해 2019년 생산단계 전환 이후 최대 성과를 달성하는 등 주요 해외 사업장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개선됐다.

 

특히, 2017년 이후 판매 대금이 연체됐던 우즈벡 사업은 정부와의 협업으로 배당금 461억 원을 회수했고, 2014년 IS 사태로 중단된 이라크 아카스 사업은 약 120회에 이르는 대면 회의 등 끈질긴 노력 끝에 매우 이례적으로 투자비 682억 원을 돌려받았다.

 

그 결과, 가스공사는 2년 연속으로 해외사업에서 연간 회수액 1조 원을 달성해 재무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었다.

 

재무 분야에서도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따른 채권 발행 최적 시기 선정, 외국계 은행과 정책금융을 통한 저금리 외화 차입 등 이자비용 절감에 힘써 지난해 말 차입금 잔액이 2023년 말 39조 원과 유사한 39.1조 원임에도 순이자비용은 오히려 1,454억 원 줄었다.

 

특히, 2022년 말 50%를 넘었던 단기 차입금 비중이 지난해 말 30% 이하로 축소되는 등 미수금 14조 원과 차입금 39.1조 원에도 불구하고 ‘부채의 질’은 다소 개선됐다.

 

아울러, 가스공사는 경영 효율화 측면에서 경비 절감 목표를 100억 원 올려 1,202억 원을 아꼈으며, 스마트 공급관리소를 기존 16곳에서 28곳으로 늘리는 등 인건비 124억 원을 절감하는 성과도 거뒀다.

 

그리고 수요예측 모델을 적극 개선해 지난해 연평균 재고량을 약 14% 낮춤으로써 평균 차입금 5,261억 원과 이자비용 197억 원을 아끼는 효과를 냈다.

 

다만, 여전히 국제 천연가스 시세에 미치지 못하는 민수용 요금으로 인해 가스공사의 미수금은 오름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8월 도시가스 주택용 요금 인상(1.41원/MJ, 서울 소매요금 기준 6.8%)과 가스공사의 전사적인 노력으로 미수금 증가분은 2023년 4.4조 원보다 크게 준 1조 원 수준이나, 이미 14조 원까지 쌓인 미수금과 400%를 넘는 부채비율은 큰 부담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LNG 원료비 인하 노력을 통해 국민 여러분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낮추고, 가스공사의 재무구조를 정상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보다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조속한 미수금 해소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하나은행, 글로벌자산관리센터(GWM) 통해 국내 최초로 국경 없는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한다!!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지난 23일 서울 삼성동 Place1에 글로벌자산관리센터(Global Wealth Management Center)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오픈한 글로벌자산관리센터는 자산의 글로벌 재배치가 본격화되는 흐름에 맞춰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자산관리센터에는 신탁 컨설턴트,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애널리스트 등 분야별 최고의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 ▲리빙트러스트 ▲부동산&주식 ▲대체투자뿐 아니라 ▲국제조세 ▲글로벌부동산 ▲거주국 변경 등 복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한다. 특히, 해외로 이주한 손님에게는 현지 하나은행 영업점 및 제휴기관과 직접 연계하여 투자이민, 가업승계 등 현지 기반의 맞춤형 자산관리 컨설팅을 제시하고, 국내로 귀국한 역이민 손님에게는 해외체류 경험 및 해외 비즈니스 커리어를 반영한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 환리스크 관리 등 최고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하나은행은 전 세계 27개 지역 112개의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손님이 원하는 지역이라면 어디든지 최상의 글로벌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이번 오픈에 맞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