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최대 무현금 결제 시스템 지캐시(GCash)가 자국 내 구글 페이 공식 출시에 이어 구글의 보안 결제 시스템과도 완전 통합을 마쳤다. 아직은 일부 지캐시 사용자만 구글 페이를 이용할 수 있지만 곧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서비스가 확대될 예정이다. 그렇게 되면 필리핀 국민 수백만 명이 지캐시 지갑을 구글 페이에 연결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막힘없이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지캐시 계정을 구글 페이에 연결하려면 먼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구글 지갑(Google Wallet) 앱을 다운로드해야 한다. 이어서 지캐시 앱을 열고 프로필을 터치한 후에 내 연결 계정(My Linked Accounts)으로 가서 구글 페이를 선택한다. 정보를 검토한 후 조건에 동의하고 마지막으로 생체 인증을 한다. 완료되면 로그인 안내 메시지를 따라 구글 앱으로 이동한 후 로그인을 하면 된다. 이번 통합을 계기로 지캐시의 독보적 시장 지배력과 신뢰가 구글 페이의 글로벌 인프라와 만나 디지털 및 오프라인 상거래 양상이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각종 거래 시 구글 페이의 자금원으로 지캐시를 선택할 수 있다. 또 구글 페이에서 지캐시를 사용하면 거래가 더 빠르고 안전해진
AI 콘텐츠 생성 플랫폼 '캐럿'의 운영사 패러닷(대표 장진욱)이 기업 전용 서비스 '캐럿 비즈니스'가 누적 고객사 100곳을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캐럿은 영상•이미지•음악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생성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이다. 별도의 디자인 툴이나 편집 프로그램 없이 AI와의 대화만으로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LG유플러스, 메리츠화재, CBS 등 주요 기업을 비롯해 패션•뷰티 커머스, 출판, 교육 등 다양한 업종에서 캐럿을 도입했다. 특히 부산광역시 등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정책 홍보 및 대민 소통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며 공공 분야로의 확산이 두드러지고 있다. 캐럿 비즈니스는 ▲전담 매니저 및 강사의 AI 전환(AX) 교육을 통해 AI 활용 경험이 없는 기업도 손쉽게 전문가급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캐럿 비즈니스 도입 시 챗GPT, 미드저니, 클링AI 등 주요 AI 모델을 개별 구독하는 것 대비 최대 75% 이상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장진욱 패러닷 대표는 "캐럿은 누구나 손쉽게 고품질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리딩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가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인 미국 GPTW(Great Place To Work Institute)가 주관하고 GPTW 코리아가 주최하는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의 날'에서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2년 연속, '대한민국 여성 워킹맘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3년 연속 선정됐다. 또한, 유수연 대표가 '대한민국 일터를 빛낸 위대한 CEO'에 선정됐으며, 인사부 김은영 상무가 'GPTW 탁월한 공헌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GPTW는 전 세계 150개국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기업의 신뢰경영지수를 평가하는 글로벌 인증 기관이다. '밀레니얼' 부문은 만 19세~34세 직원의 평가를 중심으로, '워킹맘' 부문은 워킹맘이 일하기 좋은 인프라와 여성 임직원 비율, 신뢰경영지수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된다. 멀츠는 개인의 업무 성향을 존중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실현하기 위해 제도를 마련하는 등 세대와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구성원이 일하기 좋은 기반을 마련해 왔다. 사내 직원 대표 기구인 Merz Employee Council(MEC)을 통해 직원들의
기후 변화로 인해 전 세계 위기의 규모와 심각성이 심화하는 가운데,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ducation Cannot Wait, ECW)가 재난 지역의 임시 학교에 대한 새로운 친환경 표준을 정립하고자 아룹(Arup) 및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WWF)과 컨소시엄을 맺고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에 65만 달러의 건립 촉진(Acceleration Facility)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세계 정상들이 COP30에 모여 지속 가능하고 회복탄력적인 미래를 건설할 방안을 활발하게 논의 중인 가운데,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후 변화 대응 활동과 재난 지역 교육 환경 간의 밀접한 연관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방글라데시의 난민촌부터 남수단의 홍수 피해 지역에 이르기까지, 위기 상황에 놓인 아이들에게 임시 학교는 생명줄이나 다름없다. 그런데도 인도적 구호 활동 분야에는 임시 학교를 환경적 책임감, 회복탄력성, 포용성을 겸비한 방식으로 설계, 건설,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명확한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명확한 기준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임시 학교는 환경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아이들의 학습 여건을 더 악화
SC25에서 AI 스토리지 기업 웨카(WEKA)는 기존의 성능•비용 한계를 넘어서는 차세대 WEKApod™ 어플라이언스를 공개했다. 새롭게 선보인 WEKApod Prime은 혼합 플래시 구성에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배치해 가격 대비 성능을 65% 끌어올리면서 속도 저하 없이 비용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WEKApod Nitro는 최신 하드웨어를 적용해 단위 공간당 성능을 두 배로 확장함으로써 조직의 AI 및 고성능컴퓨팅(HPC) 혁신을 가속하고 GPU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더 많은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밀도 설계는 성능을 유지하면서 대규모 객체 스토리지 환경과 AI 데이터 레이크 구축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WEKApod 어플라이언스는 대규모 AI 가속화를 위해 설계된 세계 유일의 스토리지 시스템인 WEKA의 NeuralMesh™를 가장 쉽고 빠르게 도입하고 확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WEKApod는 플러그 앤 플레이 환경과 개선된 설정 유틸리티를 갖춘 검증된 구성으로 제공돼 NeuralMesh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유연한 구성•확장성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기업은 최소 8대의 서버로 시작해 필요에 따라 수백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CTA)®는 밥 스턴펠스(Bob Sternfels) 맥킨지 앤드 컴퍼니(McKinsey & Company) 글로벌 매니징 파트너와 헤만트 타네자(Hemant Taneja) 제너럴 카탈리스트(General Catalyst) CEO가 기업가이자 엔젤 투자자이며 올인(All-In) 팟캐스트의 공동 진행자인 제이슨 칼카니스(Jason Calcanis)와 함께 2026년 CES® 기조연설에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비즈니스 팟캐스트를 생방송 녹화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번 기조연설에서 이 세 명의 날카로운 비즈니스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인공지능(AI)이 글로벌 전략, 투자, 혁신을 어떻게 재정의하고 있는지 탐구할 것이다. 킨지 파브리지오(Kinsey Fabrizio) CTA 사장은 "이번 기조연설은 아이디어, 영향력, 혁신이 결합된 2026년 CES의 최고 순간"이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맥킨지와 제너럴 카탈리스트의 리더들과 함께 '올인' 팟캐스트 생방송 녹화를 진행하면서 이 순간의 열기를 담아낼 것이다. AI는 단순히 산업을 재편하는 데 그
세계 최대 슈퍼컴퓨팅 콘퍼런스 'SC25'에서 AI 스토리지 기업인 웨카(WEKA)가 오늘 NeuralMesh™에 탑재된 증강 메모리 그리드(Augmented Memory Grid™)의 상용화를 발표했다. 이 혁신적인 메모리 확장 기술은 AI 혁신의 발목을 잡는 근본적인 병목 현상인 GPU 메모리 문제를 해결한다.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racle Cloud Infrastructure, OCI)와 주요 AI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검증된 이 기술은 GPU 메모리 용량을 기가바이트(GB)에서 페타바이트(PB) 수준으로 1000배 확장하고, 첫 토큰 생성 시간(Time-to-First-Token)을 최대 20배 단축한다. 이를 통해 장문 맥락 추론과 에이전틱 AI(agentic AI) 워크플로를 대폭 간소화하며, 기존에 확장성이 낮았던 추론 작업의 효율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킨다. 혁신에서 상용화로: AI 메모리 벽 해결 2025년 엔비디아 GTC(NVIDIA GTC)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증강 메모리 그리드는 OCI를 시작으로 주요 AI 클라우드 환경에서 강화•테스트•검증 작업을 거쳤다. 초기 검증 결과와 마찬가지로, AI 시스템이 코딩 코파일럿부터 연구
올해로 3회를 맞이한 사우디 국제 공예 주간 축제인 '바난(Banan)'이 공식적으로 막을 올렸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의 프린세스 누라 빈트 압둘라흐만 대학교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오만, 바레인, 요르단 등 40여 개국에서 온 400명 이상의 장인이 함께한다. 올해에는 특별히 중국이 주빈국(Guest of Honor)으로 참여하여 행사를 빛낸다. 게다가 2025년은 공예의 해(Year of Handicrafts 2025)로 지정된 해라 이번 축제의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11개 전문 위원회 중 하나인 사우디 유산위원회(Saudi Heritage Commission)가 이 행사를 주관하는데, 사우디 유산위원회는 이번 행사를 통해 공예품이 사우디 문화유산의 핵심임을 부각하고, 전 세계 저명한 장인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교류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공예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우디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장화(Zhang Hua)는 주빈국 대표 자격으로 중국관을 방문하여 '바난'에 특별 초청된 전통 예술 계승자들의 시연을 참관했다. 장인들은 대를 이어 계승해 온 전통 공예품을 전시해 많은 방문객의 이목을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아부다비 금융주간(Abu Dhabi Finance Week, ADFW) 2025가 12월 8일부터 11일까지 '자본의 수도' 아부다비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DGM, Abu Dhabi Global Market)이 주최하고 ADQ가 헤드라인 파트너로 참여한다. 이 행사에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금융기관, 정책 결정자, 투자자, 시장 리더, 혁신가들이 총집결할 예정이다. 2025년 일정에는 60여 개 이벤트, 300개 이상의 주제별 세션, 약 750명 이상의 세계적 연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올해 행사에는 전 세계에서 미화 62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는 기관의 CEO, 회장, 대표, 창립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 세계 GDP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다. H.E. 아흐메드 자심 알 자아비(H.E. Ahmed Jasim Al Zaabi) ADGM 회장은 이번 행사의 의의에 대해 "ADFW 2025는 아부다비가 글로벌 금융 허브로 진화하는 다음 장을 여는 행사로, 정책 결정권, 투자 거물, 기술 선도자들이 '자본의 수도' 중심부에 한자리에 모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마이크로소프트 다이나믹스 365 비즈니스 센트럴(Microsoft Dynamics 365 Business Central)을 기반으로 한 전사적 자산 관리(EAM) 솔루션 분야의 세계 선두 기업인 베로소포트(Verosoft)가 오늘 단순히 질문에 답하는 수준을 넘어 정비 작업을 직접 진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최초의 에이전틱 AI 생태계인 모비멘토 AI(mobiMentor AI)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오늘날 정비 팀은 날로 심화하는 인력 부족 현상, 갈수록 복잡해지는 장비, 그리고 더 적은 자원으로 장비 가동 시간을 극대화해야 하는 압박에 시달린다. 기술자가 여전히 일과 중 많은 시간을 행정 작업에 허비하는 실정인데, 모비멘토 AI가 산업 부문에 사용자를 대신해 행동하는 AI라는 획기적인 기술 개념을 제시한다. 알렉시스 터전(Alexis Turgeon) 베로소포트 혁신 담당 이사는 "기술자가 장비 수리라는 본연의 업무보다 복잡한 시스템 사용법과 씨름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낭비한다"라고 지적하고, "모비멘토 AI는 작업 현장에서 파트너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기술자가 '이 작업 완료 처리해 줘'나 '저 펌프에 대한 작업 요청서 작성해 줘'라고 말하면, 모비멘토
캐나다수출개발공사(Export Development Canada, 줄여서 EDC)가 한국에서 손꼽히는 유통 대기업 롯데쇼핑에 2억 달러 대출을 실시한다고 오늘 밝혔다. EDC로서는 한국에서 처음 있는 대출 거래다. 이는 또 지난 9월 롯데쇼핑과 EDC가 체결한 마켓 리더십 파트너십(MLP) 프로그램 양해각서(MOU)에 따른 첫 거래이기도 하다. 이 각서에 따르면 EDC는 향후 3년간 롯데쇼핑에 5억 달러까지 금융 지원을 할 수 있다. 이번 거래는 은행 파트너인 스미토모 미쓰이(Sumitomo Mitsui Banking Corporation) 은행이 1억 5천만 달러 EDC 보증을 제공하고, 롯데쇼핑에 5천만 달러를 직접 대출해 주는 형태로 진행된다. 조달된 자금은 롯데쇼핑이 자본 지출을 늘리고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 이커머스 플랫폼 등 유통 사업 전반을 강화하는 용도로 쓰이게 된다. 유통 선도기업 롯데쇼핑은 2024년 12월 현재 전 세계에 점포 902곳을 운영 중이다. 대부분은 한국에 있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는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롯데쇼핑은 대한민국에서 다섯 번째로 큰 대기업 롯데그룹의 계열사다. 대출은 원화(KRW)로 표시되는데 EDC에게
GAC 그룹(GAC Group)이 자사 브랜드와 신차 모델의 호주 시장 진출을 기념하여 11월 18일 시드니에서 성대한 행사를 열고 호주 현지 전략인 'GAC: 호주 신뢰 증진(GAC: Growing Australian Confidence)'을 정식으로 공개했다. 이날의 기념비적인 행사는 GAC의 범세계적 전략인 'ONE GAC 2.0'을 호주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공개 선언이자, 남태평양 시장 공략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웨이 하이강(Wei Haigang) GAC 인터내셔널(GAC INTERNATIONAL) 사장은 "GAC는 오랜 세월을 함께하겠다는 마음으로 이곳 호주에 진출했다. GAC는 '호주에서, 호주를 위해, 호주와 하나가 되고, 호주에 봉사하며, 호주에 공헌하겠다'는 지금의 각오를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다. GAC의 목표는 호주 고객에게 즐거운 주행 경험을 보장하는 환경친화적이고 지능적인 자동차를 선보여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번 행사의 백미로는 GAC가 호주에 동시에 출시한 세 가지 전략적 주력 모델이 꼽힌다. 넓은 실내 공간을 자랑하는 지능형 SUV AION V, 호주 최초의 고급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